• 다크모드
  • 목록
  • 아래로
  • 위로
  • 댓글 17
  • 쓰기
  • 검색

'오징어 게임'은 어떻게 세계인의 마음을 사로잡았나. 일본 칼럼 번역

golgo golgo
5698 20 17

<기생충> 때도 좋은 칼럼을 써냈던 일본의 영화평론가 '오노데라 케이'의 글입니다.

 

다짜고짜 <오징어 게임>이 표절작이라고 해버린 다른 일본 찌라시 기사 보고 혀를 찼다가...

 

이글 보고서 공감되는 부분이 많아서 옮겨야겠다 마음 먹었는데, 글이 좀 어려워서 애먹었습니다. 의역이 꽤 좀 들어갔어요.

잘못된 부분 지적해주시면 확인해보겠습니다.

https://realsound.jp/movie/2021/10/post-878490.html

 


<오징어 게임>은 어떻게 세계인의 마음을 사로잡았나. 데스게임으로서의 새로운 접근법.

 

01211.jpg

 


한국의 넷플릭스 드라마 시리즈 <오징어 게임>가 쾌거를 이뤘다. 한국 드라마로선 최초로 미국을 포함해 모든 (국가들의) 넷플릭스 랭킹에서 1위를 기록한 것이다. 자국 콘텐츠가 강하다는 인도에서도 인기를 얻었고, (프랑스) 파리에서는 작품 세계를 맛볼 수 있는 팝업 스토어에 많은 인파가 몰리는 등, 아시아권 드라마로서는 드물게 세계적인 붐을 일으키고 있다.


그런데 어째서 이 시리즈가 이렇게까지 전 세계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었던 걸까? 이 글에서는 그 수수께끼를 가능한 한 깊게 파고들어 보고자 한다.

 

012120211012-squidgame-02.jpeg.jpg


총 9화로 구성된 이 시리즈는 ‘데스게임’이라는 장르에 해당되는 작품이다. 그것은 등장인물들이, 패하면 죽을 수도 있는 게임에 참가하게 된다는 내용으로, <큐브>(1997), <쏘우>(2004) 등 ‘솔리드 시츄에이션 스릴러’와도 겹치는 부분이 많은 장르다.


영화 등 영상 작품으로 <배틀로얄>(2000), <카이지> 시리즈와 <인랑 게임> 시리즈, <신이 말하는 대로>(2014), <리얼 술래잡기>(2015), 넷플릭스 시리즈 <아리스 인 보더랜드>(2020) 등이 있듯이, ‘데스게임’ 장르에 있어서 일본산 작품은 전 세계에서 대단히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일본은 데스게임 작품에 관한한 세계에서도 톱이라 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산 작품이 이렇게까지 히트한 현상은, 일본에게 있어서는 ‘자존심을 빼앗긴’ 모양새라고 할 수 있다.


일본에서 이렇게나 데스게임이 인기 장르가 된 것에는 몇 가지 요소가 존재한다. 우선 <카이지>나 <라이어 게임>으로 대표되는, 거액이 걸린 게임을 소재로 한 만화 작품들이 히트하고 있는 토양이 형성돼 있다는 점. 그와 동시에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배틀로얄>의 개봉을 통해 학생들이 서로 죽고 죽이는 과격한 내용이 물의를 빚으면서도 화제가 됐듯이, 만화나 영상분야 등이 서로 시너지 효과를 일으키면서 데스게임 장르의 인기를 끌어올려왔던 것이다.


그런 작품들이 나오게 된 배경에는, 버블 붕괴 후 경제 침체로 가라앉은 분위기가 일본 사회 전체를 뒤덮고 있는 상황이 된 점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한때는 ‘총중류 사회(인구 대부분이 중산층)’로 불렸던 일본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극단적인 경제 양극화 사회로 변해가는 가운데, 데스게임에 참여해 거액을 손에 쥐려는 창작물 속 등장인물에게 절실한 리얼리티가 부여되고 만 것이었다. 극소수의 승자와 빈곤에 허덕이는 대부분의 패자들.... ‘데스게임’ 장르는 점점 힘겨워지는 사회 상황과 현실 속 사람들의 인생을 응축한 것으로서, 한층 스릴 있는 매력을 발산하고 있다.


이와 비슷한 상황은 물론 다른 나라들에서도 벌어지고 있다. 따라서 일본처럼 데스게임이 히트할 수 있는 배경이, 사실은 이미 갖추어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해외에서 리메이크된 <카이지> 시리즈 등 일부 작품을 제외하곤, 일본의 영상 작품이 세계적으로 상영될 기회가 드물었던 것이, 일본 작품이 세계적인 붐으로 이어질 기회를 얻지 못한 요인이었다고도 이야기할 수 있다.

 

012120211012-squidgame-03.jpeg.jpg


그렇다면 <오징어 게임>과 같은 조건으로,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아리스 인 보더랜드>는 왜 지금과 같은 붐을 일으키지 못했던 걸까. 그것을 단순히, 종합적인 작품의 질적 측면에서 압도적인 차이가 있었다고 해버리면, 너무 쉬운 결론이 되어버린다. 그 대신에 내용물을 자세히 음미해보면 일본의 많은 데스게임 작품이 달성하지 못했던 점을, <오징어 게임>이 실현시켰다는 것이 확실해진다.


애당초 데스게임 장르의 약점으로 지적되는 것이 드라마 부분의 빈약함이었다. 그렇게 된 이유로는, 여러 일본의 데스게임 작품들의 공통점인, 구조상의 문제가 관련돼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것은 게임의 내용 그 자체와 그것을 극복하는 멋들어진 계책이 볼거리가 되고, 거기에 초점을 맞춰 이야기가 구성돼 있다는 점이다.


데스게임이기 때문에 게임 그 자체의 묘사가 중요하다는 건 두말할 필요도 없다. 하지만 주인공이 놀라운 발상으로 수많은 함정과 심리전을 돌파해 나가는 것을 카타르시스로서 그려나가는 내용은, 현실 사회 속 약육강식의 구조를 인정해 버리는 흐름이 되어버리기 십상이다. 물론 여러 작품들에서 게임의 주최자는 최종적으로 규탄의 대상이 된다. 하지만 게임에서 살아남아 승자가 된 주인공 역시 고통스런 사회를 만드는 세력에 가담하게 될 위험성도 있는 것이다.


데스게임에 따라붙는 모순된 문제를 그대로 테마로 삼아 그리다.


데스게임 장르에서는 주인공을 어디까지나 약자의 편에 서게 하거나, 일방적으로 게임에 말려들게 하는 설정을 함으로써, 윤리적인 문제를 커버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인륜을 저버린 게임에 참가하여 승리한 주인공에게 일정한 공감대를 갖고 방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오징어 게임>의 접근법은 정반대이다. 즉, 주인공이 게임에서 이기는 것의 꺼림칙함 그 자체를 강조해 드라마의 주축으로 삼는 식으로, 데스게임에 따라붙는 모순된 문제를 그대로 테마로 삼아 그리고 있는 것이다.

 

01212.jpg


이정재가 연기하는 <오징어 게임>의 주인공 성기훈은, 다른 참가자들과 마찬가지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하고 현실적으로 도저히 어찌할 수 없는 사정을 견디다 못해, 목숨을 건 게임에 참가하게 된다. 이 시리즈는 먼저 그러한 캐릭터의 배경 묘사에 주력한다. 데스게임 장르치고는 늘어진다고 느껴지는 부분이 있는데, 잘 생각해보면 드라마가 기본적으로 인간을 그리는 것인 만큼, 배경 묘사를 최소화시키는 접근 방식이야말로, 오히려 너무 '성급'한 묘사였던 것이 아닐까 싶다. <오징어 게임>의 차분한 태도야말로, 데스게임 장르에 필요로 했던 것처럼 느껴진다.


일본에서도 친숙한, 한국의 옛날 ‘아이들 놀이’를 응용한 이 시리즈의 게임 자체는, 매우 단순 명쾌해서, 주인공이 복잡한 계책들을 끄집어낼 여지가 없게끔 돼 있는 것도 흥미로운 점이다. 그 대신에 <오징어 게임>에서는 참가자들의 심리 상태 그 자체에 접근해 간다. 그리고 이겨낼 때마다, 게임의 내용은 참가자들을 비인도적인 행위의 공범자로 만들어 간다.

 

01213.jpg


시체들이 쌓여나가는 가운데, 극소수의 사람이 막대한 금액을 챙기는 게임. 그것은 현대의 약육강식 자본주의 경제가 도달하게 될 막장의 세계이며, 거기서 살아남은 강자는 간접적으로 혹은 직접적으로 죄를 짊어지는 존재가 된다. 이 신랄한 경제 격차 표현은 진상이 밝혀지는 에피소드에서 찰스 디킨스의 소설을 인용하면서 고전적인 문학성마저도 끌어들이려 한다. 지향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사회의 왜곡된 모습을 드러내는 것, 그리고 거기에 사는 인간의 존재를 그리는 것이다.


상징적인 것은 비참한 처지의 외국인 노동자가 더욱 착취당하는 구조를 그리는 부분이다. 일본에서도 <카이지> 시리즈의 원작 만화에서 외국인을 등장시키는 시도가 있었지만, <카이지>에서는 어디까지나 주인공과 함께 싸우는 약자로서 그려져 있고, 주인공의 정당성을 강조하는 역할을 맡고 있는 것에 비해, <오징어 게임>에서는 그와는 반대의 묘사 방식을 취하고 있다. 작품 속 여성의 묘사도 포함하여, 자국의 이미지에 해를 끼칠 수 있는 부분까지도 통렬하게 표현하고 있다. ‘뼈를 깎는 자세’가 있다는 점에서, 이 시리즈는 정치적인 면에서도 전 세계에서 공감하고 받아들이기 쉬운 균형성을 갖고 있다.

 

01214.jpg


연출 및 각본을 쓴 황동혁 감독은 복지시설에서 벌어진 아동 성학대를 그린 <도가니>(2011)의 감독이기도 하다. 약자가 계속 희생당하는 사회의 왜곡된 구도를 주제로 삼았다는 점에서, <오징어 게임>에서도 볼 수 있는 황감독의 강한 문제의식을 포함한 풍자적인 자세가, '데스게임'이 본래 지니고 있던 잠재력을 기존의 어떤 작품들보다도 정확하게 잡아냈다고 할 수 있다.


지금껏 이야기한 대로, <오징어 게임>은 기존의 여러 데스게임 작품들을 흡수, 그것들의 약점을 강점으로 바꾸고, 탄탄한 드라마를 준비함으로써, 장르의 결정판이라고 할 수 있는 지위를 획득한 세계적인 작품이 되었다. 앞으로는 이 <오징어 게임>이 데스게임 장르를 판단하는 하나의 큰 기준이 되고, 후발 작품들은 그로 인해 깊은 고민에 빠질 것이다.


허나 일본의 창작자들에게 있어서 이것은 불행한 일이 아니다. 영상 분야에 있어서 데스게임 장르에는 국경을 초월할 수 있는 큰 가능성이 있다는 걸 알게 된 지금, 하나의 큰 이정표로서, 그리고 작품 제작의 참고용으로 <오징어 게임>을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동시에 전 세계 창작자들 역시 데스게임 장르에 적극적으로 도전할 것이고, 아마도 할리우드 역시 움직이게 될 것이다. 데스게임에 기대를 품은 관객, 시청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상황은 그 어느 때보다도 흥분되는 일일 것이다.
 

golgo golgo
90 Lv. 4134467/4500000P


익스트림무비 스탭
영화, 영상물 번역 / 블루레이, DVD 제작
영화 관련 보도자료 환영합니다 email: cbtblue@naver.com

신고공유스크랩

추천인 20


  • 하루또하루

  • 아딜
  • 아무도아닌
    아무도아닌
  • 오뜨
    오뜨
  • 장르영화러버
    장르영화러버
  • 현성
    현성
  • SPP
    SPP
  • sayhoya
    sayhoya
  • Nashira
    Nashira

  • 아오시마
  • FutureX
    FutureX

  • MEGAB□X
  • 옥수수쨩
    옥수수쨩
  • 누가5야?
    누가5야?

  • 참나무방패소린

댓글 17

댓글 쓰기
추천+댓글을 달면 포인트가 더 올라갑니다
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자세한 익무 규칙은 여길 클릭하세요
2등
칼럼내용처럼 시기가 맞아떨어진게 세계적인 양극화시대에 누구나 문제가 뭔지는 알지만 해결책은 모릅니다. 제가 헝거게임 1편을 보고 느낀것도 극단적 위기상황에서 영리하게 머리를 써서 이성적인 해결책을 찾는게 메인이었는데 지금시대는 이성적인 해결책을 기대하기 어렵고 그런점에서 감성적으로 접근한것이 잘 먹혔네요.
23:43
21.10.12.
profile image 3등
우리나라 언론매체에서 이런 식의 심층분석 기사를 쓴 것이 있으면 좀 공유해주십시오. 아직까지 저는 우리나라 매체에서 오징어 게임 드라마 자체에 대한 만족스런 분석기사를 본 적이 없습니다. 대부분 여기저기서 떠도는 문단들을 짜집기한 것이었어요.
00:02
21.10.13.
profile image
golgo 작성자
겐테
일단 한국 매체의 필자들은 장르에 대한 이해가 잘 없는 것 같아요.
데스게임의 본거지(?) 답게 일본쪽에서 장르 이해를 잘 하는 거 같고요.
아래 일본 필자의 글도 놀라웠습니다.
https://extmovie.com/movietalk/68905474
00:04
21.10.13.
profile image
전 주한 대사놈이 썼다는 어이 없는 분석보다 훨씬 좋은 글이로군요.
00:03
21.10.13.
profile image
ㅎㅎ 간만에 익무에서 긴 글을 읽었네요. 수고하셨습니다~~
00:27
21.10.13.
유성군
삭제된 댓글입니다.
05:28
21.10.13.
profile image
최고의 칼럼이네요. 연기도 언급해줬으면 더 좋았을걸요.ㅎ
08:50
21.10.13.
profile image
기생충, 사랑의불시착 때도 느꼈지만 일본 기자들의 분석력이 정말 대단한 것 같습니다. 다만 여러 인프라 때문에 소재, 안목을 가지고도 만화 이외에는 활용할 수 있는 기회 자체가 적어보여서 안타깝네요
17:08
21.10.13.
profile image
golgo 작성자
쌀거미
획기적인 시스템 변화가 없는 한, 구조적으로 현상유지하겠더라고요. 일본은..
17:09
21.10.13.
profile image
jbpress 읽어보니깐 그렇다고 하는 기사라기보다는 그냥 네티즌논란이나 중국논란관련 내용이나 잘봤다는 후기네요. 한국욕설이 제대로 번역안되서 아쉽다 등
09:56
21.10.14.
profile image
golgo 작성자
rlekflek3322_google
다시 읽어봐도. Jb프레스글은 교묘하게 표절이란 식으로 단정짓고 쓴 글로 읽힙니다.. 일본만화 영향 받았단 감독 얘기도 쏙 빼놓고 말이죠.
10:01
21.10.14.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HOT Bakeneko: A Vengeful Spirit (1968) 범작이지만 군데군데 ... BillEvans 7시간 전00:10 268
HOT 송중기 <보고타> 넷플릭스 영화 글로벌 1위입니다. 7 하이데 하이데 7시간 전00:23 1128
HOT 2025년 2월 5일 국내 박스오피스 golgo golgo 7시간 전00:00 920
HOT ’쥬라기월드 리버스‘ 공식 뉴스틸들 NeoSun NeoSun 8시간 전23:07 621
HOT <9월 5일: 위험한 특종>을 보고 나서 (스포 O, 추천) ... 3 톰행크스 톰행크스 8시간 전23:34 306
HOT <부탁 하나만 들어줘2> 첫 포스터 공개 1 뚠뚠는개미 8시간 전22:53 870
HOT 쥬라기 월드 리버스 티저 한글자막!! 4 zdmoon 9시간 전22:11 988
HOT ‘쥬라기월드 리버스’ 첫 트레일러, 포스터 5 NeoSun NeoSun 9시간 전22:01 1300
HOT 아이유 콘서트 보러 왔어요 (태국) 9 라라랜더 라라랜더 11시간 전20:04 948
HOT "故 서희원(구준엽 아내) 고별식 없다" 동생 서... 4 손별이 손별이 11시간 전20:23 2059
HOT 새로 오픈한 용스엑에서 <위키드> 관람했습니다. 일단... 2 선우 선우 10시간 전21:04 574
HOT 'Presence'에 대한 단상 5 네버랜드 네버랜드 12시간 전19:41 511
HOT 영화 브로큰 이게 뭔가요 5 블루레이 12시간 전19:36 2824
HOT 오늘 개봉 '9월 5일: 위험한 특종' 로튼 리뷰 3 golgo golgo 14시간 전17:27 868
HOT 박훈정 감독의 [슬픈 열대] 스틸 공개 10 시작 시작 12시간 전18:45 3121
HOT <구스코 부도리의 전기> 개봉 당시 스기이 기사부로 ... 4 중복걸리려나 18시간 전13:23 565
HOT 9월5일: 위험한 특종 - 리뷰 6 소설가 소설가 15시간 전16:22 698
HOT 권력과 인간의 민낯 <브루탈리스트> 2 마이네임 마이네임 13시간 전18:15 936
HOT 영화<당탐1900>에서 주윤발 영어 연기 4 손별이 손별이 13시간 전18:06 653
HOT 중국애니메이션 <나타지마동요해> 개봉 8일만에 관객... 8 손별이 손별이 13시간 전17:57 644
1165707
image
e260 e260 20분 전07:23 52
1165706
image
e260 e260 21분 전07:22 57
1165705
image
e260 e260 21분 전07:22 64
1165704
image
e260 e260 22분 전07:21 59
1165703
image
e260 e260 22분 전07:21 64
1165702
image
쾌남홍길동 55분 전06:48 60
1165701
normal
그레이트박 그레이트박 6시간 전01:03 272
1165700
image
하이데 하이데 7시간 전00:23 1128
1165699
image
hera7067 hera7067 7시간 전00:22 444
1165698
image
hera7067 hera7067 7시간 전00:20 242
1165697
image
hera7067 hera7067 7시간 전00:16 278
1165696
image
hera7067 hera7067 7시간 전00:15 336
1165695
image
hera7067 hera7067 7시간 전00:14 323
1165694
image
BillEvans 7시간 전00:10 268
1165693
image
golgo golgo 7시간 전00:00 920
1165692
image
스콜세지 스콜세지 7시간 전23:56 162
1165691
image
hera7067 hera7067 7시간 전23:49 168
1165690
image
hera7067 hera7067 7시간 전23:46 224
1165689
image
hera7067 hera7067 7시간 전23:44 243
1165688
image
톰행크스 톰행크스 8시간 전23:34 306
1165687
normal
기다리는자 8시간 전23:21 267
1165686
image
NeoSun NeoSun 8시간 전23:07 621
1165685
image
전단메니아 전단메니아 8시간 전23:05 391
1165684
image
NeoSun NeoSun 8시간 전23:00 443
1165683
image
NeoSun NeoSun 8시간 전22:55 595
1165682
image
뚠뚠는개미 8시간 전22:53 870
1165681
normal
그레이트박 그레이트박 8시간 전22:49 374
1165680
normal
전단메니아 전단메니아 9시간 전22:30 358
1165679
normal
전단메니아 전단메니아 9시간 전22:26 259
1165678
normal
전단메니아 전단메니아 9시간 전22:19 1265
1165677
image
zdmoon 9시간 전22:13 364
1165676
normal
전단메니아 전단메니아 9시간 전22:12 414
1165675
image
카란 카란 9시간 전22:12 547
1165674
image
zdmoon 9시간 전22:11 988
1165673
image
전단메니아 전단메니아 9시간 전22:09 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