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평론계의 이단아, 아몬드 화이트의 리뷰들
![golgo](http://img.extmovie.com/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243/243.jpg?20150526221556)
<레벨 문> 관련 해외 기사 보다가, 미국서 악명 높은 평론가 아몬드 화이트의 이름이 눈에 띄어서....
그가 쓴 로튼토마토 리뷰들을 좀 찾아봤습니다.
보수적인 흑인 게이 기독교인 평론가라던데...
대부분 평론가들이 찬양하는 영화는 혹평하고, 그 반대의 영화들을 찬양하는 사례가 많은 독특한 평론가라고 합니다.^^
https://www.rottentomatoes.com/critics/armond-white/movies
혹평한 영화들
<듄: 파트 2>(2024) - 로튼토마토 신선도 93%
피터 잭슨의 <반지의 제왕> 영화들처럼 모든 게 공허하다... 빌뇌브의 <듄> 시리즈는, 인류의 역사와 운명에 대한 신화적 이해를 되살리는 잭 스나이더 감독의 <레벨 문>에 비할 바가 못 된다.
<가여운 것들>(2023) - 92%
요르고스 란티모스 영화들에 대한 기본적인 반응은 거부감이다. <프랑켄슈타인의 신부>를 깐죽거리며 음란하게 망가트린 <가여운 것들>을 반기는 사람이라면, 여느 때와 다름없는 란티모스의 타락에 홀릴 것이다.
<추락의 해부>(2023) - 96
그녀의 스토리텔링은 너무나 성실해서 (쥐스틴) 트리에의 “모호함”도 예측 가능하다는 게 아쉽다.
<메이 디셈버>(2023) - 90%
<메이 디셈버>는 음란하고 음흉하다. 사실을 거짓으로 전달하는 것은 범죄의 집행유예를 어기는 행위다.
<바튼 아카데미>(2023) - 97%
이 신세 한탄하는 영화는 너무나 평이하게 우화적이다.
<패스트 라이브즈>(2023) - 96%
할리우드의 로맨틱 아이콘들은 평판이 안 좋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레타 리와 유태오는 감정 표현이 단조로운 연기자여서, 마치 연기 훈련을 받지 않은 다큐멘터리의 피사체처럼 무미건조하다.
<플라워 킬링 문>(2023) - 93%
<플라워 킬링 문>이 저지른 죄악은, 스콜세지의 갱스터 영화 스타일이 낡아 빠진 탓에 그 끔찍한 역사를 정당하게 다루지 못한 것이다.
<올드보이>(2003) - 83%
<올드보이>는 요란하지만, 박찬욱의 명백한 재능과 최민식의 거친 머리, 거친 눈빛, 뼈아프게 광기로 추락하는 모습 사이에 도덕적, 사회적 단절이 존재한다.
<트루먼 쇼>(1998) - 94%
(감독 피터) 위어는 텔레비전의 기만과 천치 같은 일반 대중에 대한 시나리오 작가 앤드류 니콜의 지루한 비판에, 아트하우스적 번지르르함을 더했다.
<오펜하이머>(2023) - 93%
놀란의 정치성은 언제나 모호하기 때문에, 그의 영화가 매끄러우면서 공들였고 복잡하고 무기력해지는 것은 좋은 일이다. 그렇지 않았다면 <오펜하이머>처럼 뒤틀리고 비도덕적인 서사는 위험할 수 있다.
<매그놀리아>(1999) - 82%
로버트 알트만의 1993년 영화 <숏 컷>을 노골적으로, 그리고 길게 모방한 앤더슨의 영화가 이렇게나 높은 평가를 받는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헤어질 결심>(2022) - 94%
올해 본 가장 당황스럽고 불쾌한 영화 중 하나.
<더 배트맨>(2022) - 85%
F. W. 무르나우의 여전히 충격적인 <노스페라투> 이후 정확히 100년 뒤에 개봉하는 <더 배트맨>은 예술적 데카당스라고 불릴 자격이 없다. 사회적 공포에 대한 묘사를 제대로 상상해내지 못했다. 무르나우가 건드렸던 정신적 반발의 핵심에 결코 도달하지 못한다.
<파워 오브 도그>(2021) - 94%
(감독 제인) 캠피온의 모순된 이야기 반전은, 미국 역사와 영화 역사에 무지한 이 시대에는 심오한 것으로 통할지도 모른다.
<드라이브 마이 카>(2021) - 97%
체호프풍 하마구치 영화에 월계관을 씌워주기가 달갑지 않은 이유는, 그의 신중한 스타일이 체호프의 졸작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드라이브 마이 카>는 생동감이 전혀 없다.
<미나리>(2020) - 98%
잘난 척하는 평론가들은 정이삭의 평이한 스타일을 유창함이나 매력으로 오독할 것이다. 하지만 깨어 있는 영화 관객이라면 감동 없는 상상력 부족으로 느낄 것이다.
<노매드랜드>(2020) - 93%
<노매드랜드>는 사회학적이면서 관광지 영상처럼 보이는데, 미국을 딱하게 여기도록 가르치는 시청각 강의다.
<1917>(2019) - 89%
참호와 야전 전투에 대한 멘데스의 배회하는 카메라의 비전은 충격을 주지만 놀랍지는 않다. 로저 디킨스의 자유로운 카메라가 다양한 조명을 비춘 장소들을 통과하는 동안, 개연성은 그럴싸한 스턴트에 의해 사라진다.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2019) - 97%
(감독 셀린) 사실, 시아마는 자신이 다루는 매체의 표현성을 믿지 않는다. 능숙한 기술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노골적인 선동을 연출한다.
<아이리시맨>(2019)
쓸데없이 공들인 <아이리시맨>은 죄악에 대한 미국식 가부키 공연 같은데, 동시에 그 죄악을 즐기기도 한다. “오늘날 우리가 처한” 타락의 상징과도 같다.
<조조 래빗>(2019) - 80%
인간 행동과 정치사에 대한 와이티티의 극도로 단순한 관점은, 인디아나 존스의 재치 있는 문화적 요약(“나치... 난 그 놈들이 싫어!”)보다도 세련되지 못하다.
<기생충>(2019) - 99%
봉준호는 재미없는 극단주의자다. <기생충>에서 그는 상류층 가족에 대항하는 하위 계층 사기꾼 무리를 설정해 핵가족의 개념을 파괴한다.
<다크 나이트>(2008) - 94%
이러한 비관적 정서를 받아들이는 소비자 세대는 그 제품이 가진 도덕성의 훼손을 그냥 지나치지 못한다. 대신에 <다크 나이트>의 공포에 대한 그들(전복에 사로잡힌 십대들)의 흥분은 제품에 대한 충성심을 불러일으킨다.
호평한 영화들
<레벨 문: 파트 1 - 불의 아이>(2023) - 21%
잭 스나이더는 직접 촬영도 맡아서 내러티브를 판타지 아티스트 프랭크 프라제타처럼 건장하게 만드는데, 관능적 대담함은 <바그다드의 도둑>에 맞먹을 정도의 역학 예술, 경이로움을 창출한다.
<15시 17분 파리행 열차>(2018) - 23%
전형적인 다큐 드라마 그 이상이며,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의 빈틈없는 정치적 본능과 예술적 대담함을 확인시켜준다.
<저스티스 리그>(2017, 조스 웨든 감독판) - 39%
<저스티스 리그>는 코믹북 그래픽의 미학적 잠재성을 실현하고 꼭 필요한 영화적 운동 역학을 달성한, 잭 스나이더의 놀라운 블록버스터 중 하나다.
<발레리안 : 천 개 행성의 도시>(2017) - 48%
<스타워즈>, <반지의 제왕>, <매트릭스> 등을 하나로 묶고, 장난스런 유머 감각이 있는 좋은 감독에 의해 재구성됐다고 상상해 보라.
<트랜스포머: 최후의 기사>(2017) - 16%
<트랜스포머> 시리즈는 또다시 부조리함에 가까워졌지만, 베이 감독의 팝아트와 미래주의적 영화 제작이 보여주는 독특한 대형 스크린 스펙터클에 비하면 사소한 문제다.
<그레이트 월>(2016, 장예모 영화) - 35%
워싱턴 DC에서 길거리에 이르기까지, 소위 저항이라고 하는 것이 부도덕한 수단으로 이용되는 요즘. <그레이트 월>은 미학적으로 강력한 코믹북적 휴식과 예술적 원칙을 진지하게 상기시켜준다.
golgo
추천인 9
댓글 14
댓글 쓰기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자세한 익무 규칙은 여길 클릭하세요
![profile image](http://img.extmovie.com/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243/243.jpg?20150526221556)
![profile image](http://img.extmovie.com/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297/000/038/38000297.jpg?20190425153513)
이쯤되면 영화평론계의 펠레 ㅋㅋㅋㅋ
![profile image](http://img.extmovie.com/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243/243.jpg?20150526221556)
주관이 정말 뚜렷한 평론가로군요.ㅋ
![profile image](http://img.extmovie.com/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143/005/5143.jpg?20161211190116)
호평하신 영화들은 제가 혹평한 영화고,
혹평한 영화들은 (안본 영화 몇개 빼고) 대부분 만점을 준 영화들인데...
특히나 트랜스포머를 팝아트 컬쳐라고 생각하시다니..
색다른 관점이긴 하네요 ㅎㅎ
(참고로 전 졸았습니다 ㅡㅡㅋ)
![profile image](http://img.extmovie.com/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243/243.jpg?20150526221556)
![profile image](http://img.extmovie.com/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542/281/018/18281542.jpg?20190125000351)
호평한 영화들은 갸웃가리게 되는데, 혹평한 영화들은 나와 겹치는 부분이 꽤 있는 사람이네요.. 음...
![profile image](http://img.extmovie.com/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302/195/018/18195302.gif?20170317041634)
![profile image](http://img.extmovie.com/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243/243.jpg?20150526221556)
![profile image](http://img.extmovie.com/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177/009/9177.jpg?20130703180651)
![profile image](http://img.extmovie.com/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370/047/004/4047370.jpg?20140327155316)
발레리안은... 음... 어... 예쁜 화면은 좋은데 저런 평가를 들을 정도인가는 잘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