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키 17 손익분기점 관련

미키 17 나무위키에
제작비랑 박스 월드 오피스에서 번 돈을 보면 손이 분기점을 이미 넘은 게 아닌가요??ㅋㅋ
제작비랑 손익분기점하고는 다른건가요??
제작비
|
1억 1,800만 달러[7]
|
월드 박스오피스
|
$121,300,141 (2025년 3월 31일 기준)
|
댓글 14
댓글 쓰기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자세한 익무 규칙은 여길 클릭하세요


그래서 북미흥행이 더 중요하죠. 외국 개봉한 영화는 몇단계거쳐야해서.. 헐리웃 제작자 손에 수익이적게들어오죠
그래서 북미매출이 헐리웃 제작사에 분배비율이 가장 많은 편이죠.
( 배트맨 시리즈, 스타워즈 시리즈, 블랙팬서 등 북미 매출 비중이 높은 영화들이 생각나네요)
한때 어마어마한 수익을 줬던 중국이 바로 외국 영화가 떼는게 정말 많은 나라죠
그래서, 중국 자본은 일부 투입하게해서.. 미중 합작으로 하면 중국에서 엄청난 매출이 제대로 헐리웃수익으로 들어와요. 분노의 질주 시리즈나 트랜스포머가 미중합작으로 중국 매출로 크게 돈벌었음 ( 실제로 중국 투자액은 크지 않았음)

Domestic (36.2%)
$44,104,880
International (63.8%)
$77,700,000
Worldwide
$121,804,880
북미흥행이 너무 저조하네요.
원래 대략 북미 1 대 해외1~1.5. 정도되고..
북미흥행이 유난히 좋은 영화는 간혹 북미흥행이 해외흥행의 1.5~2배인경우도 있죠. (전체흥행의 2/3인셈)
1.2억달러였어도, 북미가 1/3 밖에 안되는걸로 봐서.. 제작사 적자가 더 크겠네요
이런식이면 월드와이드 흥행이 제작비의 3배는 되어야 손익분기넘겠네요
매출을 제작사가 다 가져가는 게 아닙니다. 보통 제작사와 극장이 1:1로 가져가죠. 그래서 최소 제작비의 2배는 되어야 본전 맞추는데, 홍보비 등에도 많은 돈을 쓰기 때문에 2.5배는 되어야죠


2차 시장(Blu-Ray/VOD/OTT 등)에서 손익분기 달성하겠죠. 오리지널 프로젝트+무명 IP로 극장에서 예산의 반을 수익으로 거두었기 때문에 한편으로는 다행이라고 봅니다. 일각에서는 (개봉전부터) 저것보다 훨씬 저조할거라 예상했는데, 봉준호 감독님의 스타성으로 초반 월드와이드 관객동원력을 보여주었고 그렇게 월드 박스오피스 1위도 2주 연속 기록했으니까요. 아직 개봉 안한 나라들이 많은데 마지막 까지 힘냈으면 좋겠습니다.

빠시는? 역시 닉값 답게, 천박하고 저급하기 그지없네요 ㅋㅋㅋ 추하다? 현생에서 실패하고 열폭이나 해대는 댁의 인생이 추한거겠죠 ㅋㅋㅋ 딱 봐도 음지의 소굴에서 기어들어와 음침하게 싸질러대는 부류 같은데, 한심하기 짝이 없습니다. 논리는 없고 그저 빼애액 밖에 할줄 모르는 버그 같은 존재 😂🤣 이야, 익무가 많이 죽긴 했네요. 이런 버그들 관리가 깔쌈하게 잘되던 시절이 그리움.
그래도 난 당신처럼 남 x꼬나 빨고다니지는 않아요 ㅋㅋ 꿈속에서 헛소리하지마시고 인생을 좀 현실감있게 사세요 워낙 한심하신거같아서 불쌍하기까지하네요ㅋㅋ 그리고 영화산업에 x도 모르면서 어디서 영잘알 흉내를 냅니까 부끄럼도 못느끼는게 능력인가보네요 ㅋㅋ 같이 말섞는것도 창피해서 차단박습니다 ㅋㅋ


홍보비, 배급 수수료 등도 들어가기 때문에 할리우드 영화은 제작비 대비 2배~2.5배는 벌어야 본전이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