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크모드
  • 목록
  • 아래로
  • 위로
  • 댓글 0
  • 쓰기
  • 검색

디즈니 애니 장편 정주행 후기 1편 - <백설공주와 일곱난쟁이(1937)>부터 <밤비(1942)>까지

조윤빈 조윤빈
219 0 0

제 올해 프로젝트 중 하나가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장편 작품들을 정주행하는 겁니다! 언젠가 이 영상을 감명 깊게 본 이후로 디즈니와 애니메이션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기 때문이죠. 디즈니가 애니메이션 장르에 어마어마한 영향력을 준 것을 알게 된 것이죠😄

 

오늘은 <백설공주와 일곱난쟁이(1937)>부터 <밤비(1942)>까지 총 5편을 감상한 후기를 전해드리겠습니다.

 

0208003655105321.jpg

초기 5작품들의 극장 포스터

 


목차

1. <백설공주와 일곱난쟁이(1937)>

2. <피노키오(1940)>

3. <환타지아(1940)>

4. <덤보(1941)>

5. <밤비(1942>

6. 마치며..

 


 

1. <백설공주와 일곱난쟁이(1937)>

 

 

이 작품은 동화책을 열면서 시작을 알립니다.
저는 이 동화책 오프닝을 보면서 감탄이 나왔습니다. 굉장한 의미가 담겨져있다고 보았거든요.

  • 관객 입장에서는 잠깐 책의 문자를 읽다가 비주얼과 대사로 전해지는 애니로 전환되자 그 흡입력이 대단했기 때문입니다.
  • 영화 상영 전 잠깐 흥미를 돋우기 위한 번들 취급을 받았던 애니메이션이 이제는 하나의 작품임을 선언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1]
  • 디즈니 애니라는 프랜차이즈의 정체성은 동화책을 읽어주는 포지션, 다시 말해 아동 문학을 각색해서 보여주는 애니임을 선언하는 것으로 보였습니다.(이는 라이온킹이 순수 각본으로 만들어질 때까지 죽 이어지죠)

여러모로 영리하면서도 뜻깊은 시작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백설공주와 라푼젤.jpg

그림 형제의 동화들을 원작으로 하지만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같은 그림 형제의 동화를 각색한 라푼젤과도 비교해보면 재밌습니다.[2] 현재 두 캐릭터가 매우 다르게 인식되는 것도 디즈니의 영향력이 그만큼 크다는 뜻이겠지요. 동화에서는 두 주인공 모두 운명을 개척한다거나 모험을 떠나지는 않지만, 2010년의 <라푼젤>에서는 진취적이지죠. 두 주인공의 차이점은 캐릭터송에서도 드러납니다. 언젠가 나의 왕자님이 올거야, 일할 때 휘파람 불러요로 대표되는 백설공주와 '용기를 내, 난 할 수 있어'의 가사가 담긴 내 인생 언제 시작될까? (reprise2)와 타워 바깥세상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불빛이 보여를 비교해보면 그렇습니다. 물론 1937년의 백설공주를 현재시점에서 비판한다는 것은 어색할 뿐입니다. 왕비를 피해 난쟁이 집에 머무르게 될 때 설거지, 청소, 요리 등 집안일을 하면서 난쟁이들의 위생관념까지 교화시키는, 가정 내 역할을 톡톡히 수행하니까요.

 

Adriana Caselotti in Snow White and the Seven Dwarfs (1937)Roy Atwell, Eddie Collins, Pinto Colvig, Billy Gilbert, Otis Harlan, and Scotty Mattraw in Snow White and the Seven Dwarfs (1937)

 

Eddie Collins, Marion Darlington, Purv Pullen, and Bill Thompson in Snow White and the Seven Dwarfs (1937)Adriana Caselotti, Eddie Collins, Pinto Colvig, and Billy Gilbert in Snow White and the Seven Dwarfs (1937)

 

저는 개인적으로 캐릭터송 이외에도 난쟁이들의 침대에 표기된 이름 - Doc(박사), Grumpy(심술), Happy(행복), Dopey(멍청...) 등 - 을 통해서 등장인물들이 어떤 인물인지 대번에 나타내주는 연출도 아주 참신해보였습니다. 연출의 모범·교과서처럼 느껴졌습니다. 이렇게 모인 백설공주와 일곱난쟁이가 요들송 Silly Song에 맞춰 춤을 추는 장면은 지금 들어도 유쾌하고, 제가 가장 좋아하는 장면이기도 합니다😄
 

 

2. <피노키오(1940)>

 

Pinocchio (1940)Pinocchio (1940)

 

백설공주가 책의 액자식 구조였다면, 피노키오는 지미니 크리켓의 스토리텔링 액자식 구조입니다. 오프닝에서 지미니는 그 유명한 When You Wish Upon a Star를 부릅니다! 나중엔 디즈니 오프닝 송이 되지요. 역시 OST하면 디즈니!라고 할 정도로 여기서도 훌륭한 명곡들이 각축전을 벌입니다! 피노키오가 움직일 수 있게 되었을 때, 지미니 크리켓이 피노키오의 보호자가 되었을 때 등 극이 다음 단계로 넘어갈 때마다 분위기를 너무나도 잘 살리는 어울리는 곡이 꼭 나왔습니다. 저는 피노키오가 실제 아이가 되었을 때 제페토가 너무 기뻐해서 같이 춤출 때 쾌감을 느꼈습니다.

 

Pinocchio (1940)Pinocchio (1940)

"나랑 돈벌고 스타가 되어보지 않을래?"

"뭐 하는거냐!"

 

음악도 좋지만, 백설공주보다 더 탄탄해진 완성도가 이 작품의 주 매력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직 양심이란 것도 잘 모르는 피노키오를 꼬드겨서 돈벌이를 시키려는 어른들의 어두운 측면은 현실감을 배가시키고, 지미니 크리켓이란 조연(양심의 보호자) 역할이 일곱 난쟁이의 그것보다 한 층 더 가까이 다가간 느낌이 있죠. 계속해서 피노키오의 내면을 검토함으로써 피노키오를 부끄러운 거짓말쟁이에서 정직하고 용감한 자기희생자로 변모하도록 입체적으로 만들어주는 중요한 역할이다보니 사실상 피노키오와 대등한 중요도를 차지하지 않나 싶기도 합니다. 또한 디즈니 애니의 주된 테마인 '희망하는 것은 이루어진다'는 것도 모험극과 어우러지니 더욱 활기있게 느껴졌습니다. 백설공주가 불쌍한 일을 당한 것에 비하면 스스로 뉘우치고 제페토를 구하는 피노키오에게서 입체감은 한 층 진화한 것으로 보입니다.

 

Dickie Jones and Christian Rub in Pinocchio (1940)Thurl Ravenscroft in Pinocchio (1940)

 

그 외에도 바다 한가운데서 고래와 난투극을 벌일 때 파도를 지금봐도 압도적이죠.[3] 보시다보면 피노키오에 대한 리스펙을 만끽하실 겁니다!

 

3. <환타지아(1940)>

 

Fantasia (1940)

Leopold Stokowski in Fantasia (1940)Fantasia (1940)Fantasia (1940)

 

제가 초등학교 때 <환타지아 2000>을 선생님이 틀어주셨던 기억이 있습니다. 요요를 갖고 노는 반항아 홍학(동물의 사육제)과 방주에서 연인과 재회하는 도날드 덕(위풍당당 행진곡)의 장면이 아직도 생생하군요. 이 작품의 원형이 되는 <환타지아(1940)>는 애니메이션 장르의 개척을 위한 실험적 작품이지요. 저도 이 작품을 보기 전에는 '음악회라고 생각하고 보자'고 다짐하고 도전했었네요^^

 

추상적으로 시작하여 자연, 지질 시대, 그리스 신화, 미키 마우스, 동물들, 어둠의 심연과 빛의 희망으로 나열되는 노래와 이미지들은

마치 지구를 노래한 대서사시를 압축한 듯한 기획의도로 보여서 이를 단편 모음집으로 오해하면 안 될 것 같습니다.

 

Deems Taylor in Fantasia (1940)Fantasia (1940)


인터미션 이 끝나고 지휘자가 선 하나를 데려와 각 악기별 사운드롤 알려주는 짧은 강연(?)도 매우 인상적이죠. 악기에 대한 구별을 할 수 있는 지식, 교양도 톡톡 얻어가세요! 환타지아는 스토리보단 음악이 이끌어가는 구조이기 때문에 길게 얘기하기는 어렵겠네요..^^ 클래식 문외한이기도 하거든요. 사실 영화도 문외한이지만..ㅠㅠ 제가 소개하는 것보다 직접 관람하시는게 더 효과적이겠네요. 클래식을 즐기시려는 분들은 특히 좋아하실 겁니다!

 

4. <덤보(1941)>

 

아까 소개드렸던 환타지아가 쫄딱 망하는 바람에.. 비교적 저렴하게 만들어진 애니라고 하네요. 그런데 작품을 보다보면 질이 낮아보인다는 느낌은 전혀 받지 않았습니다! 아무래도 고래씬 같은 스펙타클이 빠지는 대신 아기자기한 그림으로 채워 넣어서 매력을 보완한 거 아닌가 싶네요^^

 

Dumbo (1941)Edward Brophy in Dumbo (1941)


이 영화를 보고나서 딱 <미운 오리 새끼>가 떠올랐습니다. 커다란 귀 때문에 처음엔 못생겼다, 멍청이다(dumbo...)라고 무시받다고 서커스를 망쳐서 미운털이 잔뜩 박혔다가 나중엔 스타가 되는 스토리인데 단점을 장점으로 승화한 것으로 그렸다는게 참으로 감동적이었습니다.

 

dumbo1.png.jpgdumbo2.png.jpg

 

그런 덤보를 예뻐해주는 건 엄마 코끼리 점보, 그리고 티모시 마우스 뿐. 자식 사랑 때문에 감금(!)당한 엄마를 잠깐 뵈러가는 덤보와 티모시를 보다보면 애처롭기 짝이 없습니다.. 그리고 외모갖고 놀리지 않고, 어떻게 코끼리가 나무 위로 올라왔는지 납득이 안간다는 이유로 웃는 까마귀들도 다른 동물들과는 차별적이죠. 우리가 본래 타고난 것이 아닌, 후천적으로 획득한 것에 대한 가치를 높게 사는 이 까마귀들은 덤보의 불쌍한 처지를 알고 비행술을 팍팍 알려주죠. <갈매기의 꿈> 조나단이라던가 <와일드 로봇>의 비행 교관이 떠오르네요. ㅎㅎ 비상하라!

 

0208014044600898.jpg

 

오프닝을 보다보면 공중에서 각 동물들의 새끼들이 지상으로 내려와 배달됩니다! 아이를 하늘로부터 받는다는 이 설정이 굉장히 아련하달까요? 동심방어 DNA는 디즈니의 정신 같습니다😅 그런데 핑크 코끼리는 뭐랄까요 무섭네요..ㅎㅎ 아이들에게 음주의 위험을 알려주는 우리의 디즈니!

 

한편으로는 덤보와 동물들이 계속 서커스 안에 머무르게 되는 것은 좀 안쓰럽네요. 시대의 한계라고 봐야할까요? 실사 영화에서는 자유로워졌다고 하는데 어떻게 이야기가 재구성 되었을지 궁금하네요! 실사 영화도 봐야겠습니다.

 

5. <밤비(1942)>

 

Bambi (1942)

 

이 영화도 스펙터클보단 귀여움으로 승부한 작품입니다! 덤보에게서는 충만한 귀여움이 뿜어 나온다면, 밤비에게는 작고 앙증맞은 귀여움이 나옵니다.😊 하지만 이 영화의 진정한 매력은 성장 스토리, 자연에 대한 찬미, 다음 세대로 이어지는 영웅 서사시 같은 장대함이라고 봅니다.

 

 

020803031451643.jpg

밤비와 라이온 킹은 어딘가 닮은 구석이 있다.

 

오프닝과 엔딩을 보면 저를 비롯한 현 세대의 많은 분들이 '아! 이거 라이온 킹과 비슷데?' 하고 떠오르실 겁니다. 사슴 킹 주인공 밤비 왕자의 탄생과 자식의 탄생이 수미상관을 이루는 구조를 이루기 때문입니다. 이 시작과 끝 사이에 밤비는 자연을 배우고, 친구와 만나고, 사랑의 찌릿함과 애정사수 싸움을 벌이고, 인간들의 침범에 어머니를 잃고, 아버지와 만나 숲 속 친구들과 애인을 구하려 희생하는 등 왕가(王家) 드라마에서 볼법한 사건들이 벌어집니다.

 

Bambi (1942)Bambi (1942)

밤비는 마치 계절의 연속처럼 흘러가는 듯 하다. 다시 봄, 그러나 다음의 봄인 상태로...

 

여기서 저는 인간들보다 자연이 오히려 캐릭터같다는 느낌을 주었습니다. 인간들은 그저 숲 속을 위협하는 존재로만 위치하는 뒷배경같은 느낌을 준 반면, 자연은 수풀과 비내림, 꽃과 같은 아름다움을 주면서도 겨울이나 산불같은 재앙이 줄만한 위협감도 주었기 때문입니다. 밤비의 어머니가 사망하는 것도 사건이 아닌 사고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심바는 아비를 잃는 대조도 있네요) 아이러니하게도 이러한 이중적인 자연의 모습이 극을 앞으로 이끌어주는 원동력을 제공한다는 게 제 의견입니다.

 

여담으로 노래도 꽤 빼어난 곡들이 많이 있었는데, 비 내리는 장면에서 나온 Little April Shower가 가장 좋았습니다. 또한 사슴의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한 노력들이 돋보여서 좋았습니다^^

 

0208024518832264.jpg

세월이 흘러도 정신은 이어진...진화한다!?

 

 

6. 마치며..

디즈니 첫 5작품은 정말 하나같이 다 빼어났습니다! 오늘날 우리 세대가 즐기는 애니메이션과 비교하면,  따뜻한 정성이 담긴 그림체, 동심을 지키려는 태도, 간명하고 힘있는 플롯 등이 우리에게 순도높은 행복감을 안겨줄 것입니다! 다음에도 디즈니 애니들의 종합 후기를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1] 미국으로 한정하지 않는다면, 이전에도 극장에 상영된 장편 애니메이션 작품들은 있었으나 <아흐메드 왕자의 모험>은 무성 영화였고, <Peludópolis>는 평단의 호응을 받았으나 흥행에는 실패했고 현재는 로스트 미디어입니다. 또한 미국에서 <Academy Award Review of Walt Disney Cartoons(1937)>라는 작품은 백설공주보다 7개월 전에 릴리즈 되었지만, 백설공주 홍보를 위한 단편선집 형태의 영화라 진정한 의미의 장편 애니로 취급받지는 못합니다. #1 #2

 

[2] 백설공주와 라푼젤은 각각 디즈니의 첫번째와 50번째 애니메이션으로 극화되었으며 개봉시기는 73년이나 차이납니다.

 

[3] 물은 애니나, CG 등에서 표현하기가 대단히 까다롭다고 합니다.

조윤빈 조윤빈
3 Lv. 1544/1740P

서른 즈음에 시네필이 되고 싶어진 영혼.

신고공유스크랩

댓글 0

댓글 쓰기
추천+댓글을 달면 포인트가 더 올라갑니다
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자세한 익무 규칙은 여길 클릭하세요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HOT 2025년 2월 7일 국내 박스오피스 golgo golgo 5시간 전00:02 742
HOT 2025 아카데미상 코난 오브라이언 포스터 1 시작 시작 5시간 전23:47 751
HOT 장난을 잘치는 타마키 후기 2 GI 5시간 전23:21 515
HOT 컴플리트 언노은. 티모시 멋짐 폭발. 👍 스포x 2 하늘위로 6시간 전23:00 785
HOT 마이키 매디슨 GQ HYPE 화보, 차기작 신중히 선택 중 1 NeoSun NeoSun 7시간 전21:36 661
HOT 오스카 시상식, 아리아나 그란데 & 신시아 에리보의 ‘위... 2 NeoSun NeoSun 7시간 전21:42 772
HOT 데이빗 린치 추모 엠파이어 매거진 커버 2 NeoSun NeoSun 7시간 전21:30 728
HOT 윌렘 데포 신작 [버스데이 파티] 스틸 공개 1 시작 시작 7시간 전21:15 891
HOT 'Queer'에 대한 단상 5 네버랜드 네버랜드 8시간 전20:35 771
HOT 파수꾼 (2010) 기간한정 공개 2 그레이트박 그레이트박 8시간 전20:05 684
HOT 보물섬 캐릭터 포스터 2 e260 e260 10시간 전19:01 722
HOT <기동전사 건담 지쿠악스 비기닝> 2025년 상반기 Comi... 3 넷플마니아 넷플마니아 9시간 전19:17 614
HOT 톰 크루즈 기절할 정도의 스턴트 강행 8 카란 카란 12시간 전16:05 2805
HOT 첫번째 키스 일본 관객 리뷰 2 GI 11시간 전18:03 413
HOT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 파죽지세 - 63개국 탑10... 2 NeoSun NeoSun 11시간 전17:45 847
HOT 30회 크리틱스 초이스 어워드 시상식장 첫 풍경 1 NeoSun NeoSun 11시간 전17:37 533
HOT CGV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 4DX 포스터 ... 3 taegyxl 11시간 전17:32 615
HOT [일본 오픈샷] 일드 '텐구의 부엌' 시즌1 블루레... 5 처니리 처니리 11시간 전17:09 316
HOT 제임스 카메론 '에일리언 2' (1986) 당시 흑백 프... 6 NeoSun NeoSun 12시간 전16:57 893
HOT <기생충> 5주년 기념 미국 재개봉, 봉준호 축하 영상 2 Balancist Balancist 12시간 전16:44 886
image
조윤빈 조윤빈 2시간 전02:08 219
1165965
image
손별이 손별이 4시간 전00:53 295
1165964
image
NeoSun NeoSun 4시간 전00:49 357
1165963
image
golgo golgo 5시간 전00:02 742
1165962
image
시작 시작 5시간 전23:47 751
1165961
image
GI 5시간 전23:21 515
1165960
normal
하늘위로 6시간 전23:00 785
1165959
normal
시작 시작 6시간 전22:49 361
1165958
image
내일슈퍼 6시간 전22:42 424
1165957
image
RandyCunningham RandyCunningham 6시간 전22:28 207
1165956
image
NeoSun NeoSun 7시간 전21:42 772
1165955
image
NeoSun NeoSun 7시간 전21:36 661
1165954
image
NeoSun NeoSun 7시간 전21:30 728
1165953
image
시작 시작 7시간 전21:15 891
1165952
normal
선우 선우 7시간 전21:09 562
1165951
image
네버랜드 네버랜드 8시간 전20:35 771
1165950
normal
그레이트박 그레이트박 8시간 전20:05 684
1165949
image
e260 e260 9시간 전19:50 604
1165948
image
e260 e260 9시간 전19:49 414
1165947
image
e260 e260 9시간 전19:49 550
1165946
image
golgo golgo 9시간 전19:33 803
1165945
image
넷플마니아 넷플마니아 9시간 전19:17 614
1165944
normal
하늘위로 9시간 전19:14 569
1165943
image
e260 e260 10시간 전19:01 722
1165942
image
e260 e260 10시간 전19:01 529
1165941
image
e260 e260 10시간 전19:01 439
1165940
image
NeoSun NeoSun 11시간 전18:04 473
1165939
normal
GI 11시간 전18:03 413
1165938
image
NeoSun NeoSun 11시간 전17:51 626
1165937
image
NeoSun NeoSun 11시간 전17:45 847
1165936
image
NeoSun NeoSun 11시간 전17:38 196
1165935
image
NeoSun NeoSun 11시간 전17:37 533
1165934
image
taegyxl 11시간 전17:32 494
1165933
image
taegyxl 11시간 전17:32 615
1165932
image
NeoSun NeoSun 11시간 전17:21 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