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크모드
  • 목록
  • 아래로
  • 위로
  • 댓글 9
  • 쓰기
  • 검색

정성일 평론가가 뽑은 시네필로의 영잘알 100편 본문전체

타쓰마 타쓰마
35496 13 9

 영상자료원에 있던 자료인데 원본 링크가 어째서인지 모두 날아갔기에 백업 용도로 옮겨봅니다.

 우리나라 영화평론가 중에 가장 독보적이신 정성일 영화인께서 뽑아주셨습니다.

 이것 말고도 정성일 아카이브에 그가 쓴 멋진 글들이 참 많습니다 ^^

 

 

 

영화 여행을 시작하는 시네필을 위한 안내서

-편집자의 여는 말

 

누구나 한 번쯤 특정 영화에 매혹되어 영화를 더 보고 싶고, 더 읽고 싶고, 더 알고 싶었던 경험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시네필(Cinephle). 굳이 이 부담스러운 그룹에 속하지 않더라도, 우리는 영화로 인생을 느끼고, 배우고, 즐기고 싶어하는 당신이 어딘가에 있다고 믿는다. 우리는 당신을 '영화 초심자'라고 명명한다. 그리고 도대체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는 당신을 위해 작은 안내서를 준비했다. 물론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우선, 「영화천국」이 마련한 영화 여행의 안내자, 정성일 평론가의 제안을 믿고 따라가보자. 새 학기가 시작되는 봄, 이제 막 시작하는 당신의 영화 여행에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라 믿는다.

 

 

 

 


[시네필 안내서] 서문: 시네필의 세계로 들어서고 싶은 당신에게


가장 먼저 해야 할 말. 당신이 오해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이 특집은 오로지 시네필의 세계에 ‘入門’하기 위한 분들을 위한 것이다. 말 그대로 ‘문에 들어서기’. 무엇보다 여기에 추천한 영화들과 책은 친절한 목록들이다. 그러니 먼저 세 부류의 사람들은 그냥 건너뛰시기 바란다. 첫째, 이 목록은 영화를 학문적으로 공부하는 아카데미와는 아무 상관이 없다. 둘째, 영화를 만들고자 하는 초보들에게도 별로 도움이 안 될 것이다. 그런 결심을 한 분들이 있어야 할 곳은 극장이나 안방 모니터 앞이 아니라 길거리이다. 거기서 카메라를 들고 있어야 한다. 셋째, ‘덕후’들도 피하시기 바란다. 아마 당신들은 오래전에 이 단계를 지나쳤을 것이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이 특집은 입문자들을 위한 것이다.

누구든지 처음 시작할 때는 막막한 법이다. 예를 들 수 있다. 고전음악을 듣기 위해서 찾아간 음반 코너에서 길을 잃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그 유명한 베토벤 교향곡 5번 음반을 살 때조차 어마어마한 레퍼토리 앞에서 질리게 된다. 심지어 고전음악을 한참 듣다가 갑자기 방향을 바꿔 하드 밥 재즈를 듣겠다고 결심했을 때 문득 자신이 오래전에 겪었던, 처음 시작할 때의 그 자리로 되돌아왔음을 깨달을 것이다. 문학을 알고 싶을 때 어디서부터 읽어나가야 할까. 제일 바보는 그때 문학전집을 사는 사람들이다. 철학을 배우고 싶을 때 플라톤에서부터 읽어나가는 것이 가장 좋은 시작이라고는 아무도 생각하지 않는다. 언젠가는 읽어야겠지만 거기서 시작하는 것은 좋은 선택이 아니다.

물론 가장 좋은 방법은 무작정 시작하고 참담하게 몇 번이고 실패해보는 것이다. 그러면서 하나씩 자신의 취향을 찾아가는 것이다. 다만 한 가지 문제는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린다는 것이다. 그래서 여기서는 다소 시간을 절약하면서 요령 있게 시네필의 세계로 들어서기 위한 당신을 위해 약간의 도움을 드리고자 애써보고 싶다는 마음으로 목록을 제시하려고 한다. 물론 내가 진정 바라는 것은 이 목록을 훑어보면서 반발감을 갖고 스스로 당신 자신만의 목록을 만들어나가는 것이다. 그때 당신은 문득 더 이상 ‘入門’이 필요치 않은 세계로 들어섰음을 느끼게 될 것이다. 적어도 그날까지는 「영화천국」 이번 호를 늘 곁에 두고 차례로 목록을 지워나가주시기 바란다. 언젠가 모두 지웠을 때 당신은 호기롭게 웃으면서 이제부터는 내 목록을 써나갈 거야, 라고 호언장담할 것이다. 나도 그 목록이 보고 싶다.

 

 

[시네필 안내서] 100편의 영화


처음 시작할 때 누구나 추천받는 세 편의 영화, 하지만 거만한 시네필이 될 즈음 갑자기 무조건 세 번은 부정하(거나 무시하)는 영화의 목록, 혹은 오슨 웰스, 장 르누아르, 장-뤽 고다르의 진정한 걸작은 이 영화들이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한 번쯤은 쾌감을 느껴본 이름들, 그러나 언젠가는 다시 돌아와서 누구라도 여기서 시작할 수밖에 없었다는 사실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세 편의 명단.

•<게임의 규칙>(장 르누아르, 1939, 프랑스)
•<시민 케인>(오슨 웰스, 1941, 미국)
•<네 멋대로 해라>(장-뤽 고다르, 1960, 프랑스)


하지만 이 세 편의 명단을 본 다음 아무래도 이것을 받아들이기에는 왠지 망설여진다고 할까, 끝내 반항해보고 싶다는 마음에서 대안적 명단을 만들어서라도 이 세 편의 목록을 필사적으로 피해보고 싶을 때 약간 수줍긴 하지만 그래도 왠지 이 정도의 명단은 내밀어야 시네필이라고 스스로에게 다짐해볼 수 있을 것만 같은 세 편의 명단.

•<동경 이야기>(오즈 야스지로, 1953, 일본)
•<이탈리아 여행>(로베르토 로셀리니, 1954, 이탈리아/프랑스)
•<밤과 안개>(알랭 레네, 1955, 프랑스)


이렇게 뽑아놓고 나니 단 한 편의 무성영화도 없다는 사실이 부끄러워지면서 무슨 일이 있어도 미리 보아두어야 할 최소한의 목록 열 편. 말하자면 고전에 대한 고전이라고 생각만 하다가 비로소 보고 나서 아아, 영화란 얼마나 현대적(modern)인가, 라고 감탄하게 만들 제목들. 그래서 보고 나면 왠지 영화에 대해서 다시 질문해보고 싶어지게 만드는 영화들. 만일 이 영화들을 탐닉하는 지경에 접어들게 되었다면 영화책 독서를 함께 시작할 것.

•<셜록 주니어>(버스터 키튼, 1924, 미국)
•<탐욕>(에리히 폰 슈트로하임, 1924, 미국)
•<전함 포템킨>(세르게이 M. 에이젠슈타인, 1925, 소련/러시아)
•<메트로폴리스>(프리츠 랑, 1927, 독일)
•<선라이즈>(프리드리히 W. 무르나우, 1927, 미국)
•<잔 다르크의 수난>(칼 테오도르 드레이어, 1928, 프랑스)
•<안달루시아의 개>(루이스 부뉴엘, 1929, 프랑스)
•<카메라를 든 사나이>(지가 베르토프, 1929, 소련/러시아)
•<시티 라이트>(찰리 채플린, 1931, 미국)
•<태어나기는 했지만>(오즈 야스지로, 1932, 일본)


영화에서 ‘고전주의’라고 할 만한 경계의 끝까지 온 다음 아, 영화가 할 수 있는 건 여기까지였을지도 모른다는 탄식을 자아내는 세 편의 할리우드 영화의 목록. 아마 반드시, 라고 해도 좋을 만큼 보아야 할 영화. 그래서 꼭 시네필이 아니라도 인간 된 도리로서 이 영화들만큼은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싶게끔 만드는 제목들.

•<수색자>(존 포드, 1956, 미국)
•<현기증>(알프레드 히치콕, 1958, 미국)
•<리오 브라보>(하워드 혹스, 1959, 미국)


고전이라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컬트의 전당에 오른 세 편의 할리우드 영화. 아마 누군가의 명단에서는 고전의 목록으로 선정될 수도 있는 영화.

•<오즈의 마법사>(빅터 플레밍, 1939, 미국)
•<카사블랑카>(마이클 커티즈, 1942, 미국)
•<멋진 인생>(프랭크 카프라, 1946, 미국)


위의 세 편을 보고 자라난 세대가 우리도 그와 같은 역할을 마찬가지로 하고자 했지만 아무래도 역시 고전의 자리를 인정하게 만들 수밖에 없었던 1970년대 포스트 고전주의 영화의 안타까운 열 편의 할리우드 영화의 목록.

•<마지막 영화관>(피터 보그다노비치, 1971, 미국)
•두 편의 <대부>(프란시스 F. 코폴라, 1972/1974, 미국)
•<비열한 거리>(마틴 스콜세지, 1973, 미국)
•<황무지>(테렌스 맬릭, 1973, 미국)
•<관계의 종말(감독판)>(샘 페킨파, 1973, 미국)
•<차이나타운>(로만 폴란스키, 1974, 미국)
•<내쉬빌>(로버트 앨트만, 1975, 미국)
•<배리 린든>(스탠리 큐브릭, 1975, 미국)
•<애니 홀>(우디 앨런, 1977, 미국)
•<천국의 문>(마이클 치미노, 1980, 미국)


이 둘 사이를 연결하는 할리우드 영화들의 지나치게 유명한 제목들. 조금도 물러서지 않을 법한 다른 열 편의 영화가 눈앞에서 어른거리는데도 불구하고 결국에는 이렇게 결정할 수밖에 없다는 안타까운 생각을 하면서 뽑은 열 편의 영화.

•<스텔라 달라스>(킹 비더, 1937, 미국)
•<필라델피아 스토리>(조지 쿠커, 1940, 미국)
•<설리번의 여행>(프레스턴 스터지스, 1941, 미국)
•<사느냐 죽느냐>(에른스트 루비치, 1942, 미국)
•<그들은 밤에 산다>(니콜라스 레이, 1948, 미국)
•<화이트 히트>(라울 월시, 1949, 미국)
•<사랑은 비를 타고>(스탠리 도넌/진 켈리, 1952, 미국)
•<바람에 쓴 편지>(더글라스 서크, 1956, 미국)
•<어페어 투 리멤버>(레오 맥캐리, 1957, 미국)
•<쿠퍼의 분노>(앤서니 만, 1958, 미국)


잠시 멈춘 다음 다시 되돌아가서 유럽에서 할리우드 고전주의라 할 만한 역할을 맞받아쳐보려고 했으나 유감스럽게도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는 바람에 미처 하지 못하고 가까스로 파시즘이 그들을 위협하기 전에 만들어진 세 편의 유럽영화, 혹은 망명 이전에 만들었거나 그만 세상을 떠나버린 안쓰러운 고전.

•< M >(프리츠 랑, 1931, 독일)
•<라탈랑트>(장 비고, 1934, 프랑스)
•<위대한 환상>(장 르누아르, 1937, 프랑스)


그렇게 고르긴 했지만 전쟁이 끝나고 난 다음, 하지만 아직 누벨바그 세대들이 영화를 만들기 위해 거리에 나서기 직전까지 유럽에서 만들어진 유명한 열 편의 영화. 시네필들이 도래하기 전 아직은 ‘영화광’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던 세대들이 걸작의 명단에 종종 언급하는 영화의 목록. 이 중에는 지금 다시 보면 실망스러운 제목들도 있고 혹은 누군가에게는 놓친 영화를 발견하는 기쁜 순간이 될 수 있을 자리.

•<밀회>(데이비드 린, 1945, 영국)
•<자전거 도둑>(비토리오 데 시카, 1948, 이탈리아)
•<분홍신>(마이클 파월/에머릭 프레스버거, 1948, 영국)
•<제3의 사나이>(캐럴 리드, 1949, 영국)
•<어느 시골 사제의 일기>(로베르 브레송, 1951, 프랑스)
•<황금 투구>(자크 베케르, 1952, 프랑스)
•<공포의 보수>(앙리 조르주 클로조, 1953, 프랑스)
•<길>(페데리코 펠리니, 1954, 이탈리아)
•<센소>(루키노 비스콘티, 1954, 이탈리아)
•<로라 몽테>(막스 오퓔스, 1955, 프랑스)


누벨바그 영화 세대를 중심으로 한 1960년대 유럽영화 열 편. 한 시절에는 누구라도 열중할 법한 목록들. 여기서부터는 그냥 본다, 라기보다는 이 영화들을 둘러싼 해설을 뒤지기 시작하고 혹은 영화책을 뒤적이며 보게 되는 영화들, 그러니 부디 여기서 탈락하지 마시길. 무엇보다도 이 영화들은 당신처럼 시네필에서 시작한 첫 번째 세대의 목록이라는 사실을 떠올려주시길. 아마도 어느 순간 이들의 영화에 머리로서가 아니라 감정적으로 동요하는 자신의 심장을 느낄 수 있을지도 모르는 명단.

•<정사>(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1960, 이탈리아)
•<비리디아나>(루이스 부뉴엘, 1961, 스페인)
•<어느 여름날의 연대기>(장 루슈/에드가 모랭, 1961, 프랑스)
•<쥴 앤 짐>(프랑수아 트뤼포, 1961, 프랑스)
•<지난해 마리엥바드에서>(알랭 레네, 1961, 프랑스)
•<장거리 주자의 고독>(토니 리처드슨, 1962, 영국)
•<8과 1/2>(페데리코 펠리니, 1963, 이탈리아)
•<경멸>(장-뤽 고다르, 1963, 프랑스)
•<페르소나>(잉마르 베리만, 1966, 스웨덴)
•<적과 백>(미클로슈 얀초, 1967, 헝가리)


이 영화들을 고르고 난 다음 누벨바그 영화의 그림자 아래서 무한한 자유가 열린 것 같기도 하면서 왠지 막다른 골목에 들어선 것만 같은 기분에 차서 영화를 만들던 1970년대 유럽 모더니즘 영화의 새로운 길을 열기 위해 무진 애를 쓴 유명한 열 편의 영화. 누군가의 취향에는 환호할 만하지만 누군가는 다시 위로 올라가서 고전이라고 부르던 영화의 목록에 머물고 싶다는 생각이 어쩔 수 없이 들 수도 있는 명단. 만일 그렇다면 그냥 건너 뛰어도 구태여 당신을 탓하고 싶지는 않은 열 편의 목록.

•<순응자>(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1970, 이탈리아)
•<아귀레, 신의 분노>(베르너 헤어조크, 1972, 독일)
•<역사수업>(장-마리 스트로브/다니엘 위예, 1972, 독일)
•<엄마와 창녀>(장 외스타슈, 1973, 프랑스)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1974, 독일)
•<잔느 딜망>(상탈 에커망, 1975, 벨기에)
•<유랑극단>(테오 앙겔로풀로스, 1975, 그리스)
•<인디아 송>(마르그리트 뒤라스, 1975, 프랑스)
•<시간의 흐름 속으로>(빔 벤더스, 1976, 독일)
•<우든 크로그>(에르마노 올미, 1978, 이탈리아)


아시아에서 만들어진 영화들을 대상으로 (일단 한국영화를 뒤로 미루어놓고) 누구라도 한 번쯤은 보아야 할 몹시 유명한 고전적인 제목 열 편, 아쉽게도 일본영화들이 대다수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지만 어쩔 수 없다는 체념을 안고 뽑아본 목록.

•<인정 종이풍선>(야마나카 사다오, 1937, 일본)
•<작은 마을의 봄>(페이 무, 1948, 중국)
•<만춘>(오즈 야스지로, 1949, 일본)
•<오하루의 일생>(미조구치 겐지, 1952, 일본)
•<7인의 사무라이>(구로사와 아키라, 1954, 일본)
•<부운>(나루세 미키오, 1955, 일본)
• 아푸 3부작 <길의 노래> <정복되지 않는 사람들> <아푸의 세계>(샤티야지트 레이, 1955~1957, 인도)
•<구름에 가린 별>(리트윅 가탁, 1960, 인도)
•<협녀>(호금전, 1971, 대만)
•<네온 불빛 속의 마닐라>(리노 브로카, 1975, 필리핀)


지리적으로 가깝기도 하지만 1980년 ‘이후’ 미국 영화 바깥에서 가장 힘센 영화들로 불리는 세 개의 화어권(중국 본토, 대만, 홍콩) 영화 열 편. 게다가 너무 유명한 나머지 영화에 관한 책을 읽거나, 비평에서 자주 인용되거나, 혹은 관객과의 대화에서 종종 언급되어서, 당신의 취향과 관계없이 한 번은 보아야 할 영화들. 하지만 주의할 점. 이 감독의 그저 대표작인 경우도 있고 (그래서 이 감독의 최고 걸작을 뽑아야 한다면 다른 영화를 뽑아야 할 수도 있고) 단지 가장 유명한 영화여서 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경우도 있으며, 아무래도 정색을 하고 뽑으면 다른 명단이 되기는 하겠지만, 일단은 여기서 시작해야 할 1980년 ‘이후’의 화어권 영화 열 편의 목록.

•<황토지>(첸 카이거, 1984, 중국)
•<영웅본색>(오우삼, 1986, 홍콩)
•<비정성시>(허우 샤오시엔, 1989, 대만)
•<고령가 소년 살인사건>(에드워드 양, 1991, 대만)
•<애정만세>(차이밍량, 1994, 대만)
•<중경삼림>(왕자웨이, 1994, 홍콩)
•<칼>(서극, 1995, 홍콩)
•<와호장룡>(리안, 2000, 미국/대만)
•<흑사회> 2부작(두기봉, 2005/2006, 홍콩)
•<스틸 라이프>(지아장커, 2006, 중국)


두 번 다시 보기에 쉽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시네필의 반열에 들기 위해서 꾹 참고 한 번은 보아야 할 영화 열 편의 목록. 하지만 보고 난 다음 문득 당신의 영화에 대한 태도가 바뀔 수도 있는 무시무시한 영화들의 목록. 보고 나면 둘 중 하나가 될 텐데, 하나는 그저 보았다는 사실만으로도 자랑스럽거나 아니면 아, 이 영화야말로 내 생애의 걸작이로구나, 하고 베스트 열 편의 목록 안에 포함시킬 ‘장편’ 영화.

•<엠파이어>(앤디 워홀, 1964, 미국)
•<아웃 원>(자크 리베트, 1971, 프랑스)
•<우공은 어떻게 산을 옮겼을까>(요리스 이벤스, 1976, 중국)
•<히틀러>(한스 위르겐 지버베르크, 1977, 서독/프랑스/영국)
• 산리즈카 7부작
<일본해방전선, 산리즈카의 여름>
<일본해방전선, 산리즈카>
<산리즈카, 제2차 강제측량 저지투쟁>
<산리즈카, 제2요새의 사람들>
<산리즈카, 돌산에 철탑이 나타났다>
<산리즈카, 헤타부락>
<산리즈카, 오월의 하늘> (오가와 신스케, 1968~1977, 일본)
•<칠레전투; 비무장 민중의 투쟁> (파트리시오 구즈만, 1975~1979, 칠레)
•<베를린 알렉산더 광장>(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1980, 독일)
•<쇼아>(클로드 란츠만, 1985, 프랑스)
•<사탄 탱고>(벨라 타르, 1994, 헝가리)
•<영화사(들)>(장-뤽 고다르, 1988~1998, 스위스/프랑스)


이상하게 이제까지의 목록에서 그만 빠져버렸으나 그 제목을 언급하지 않고 넘어간다면 너무 유명한 나머지 아쉬운 마음 때문에 차마 끝낼 길이 없어서 아무래도 뒤죽박죽이 될 각오를 하고 한자리에 모아놓은 열 편의 (아직 20세기 머물러 있는) 영화 제목. 하지만 여기서 <스타워즈>나 < E.T. >를 언급하는 것은 아무래도 지나치다는 생각이 들 수밖에 없는 한계 속에서 뽑아 든 목록.

•<모던 타임즈>(찰리 채플린, 1936, 미국)
•<라쇼몽>(구로사와 아키라, 1950, 일본)
•<제7의 봉인>(잉마르 베리만, 1957, 스웨덴)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스탠리 큐브릭, 1968, 미국)
•<거울>(안드레이 타르콥스키, 1975, 소련/러시아)
•<살로 소돔의 120일>(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1975, 이탈리아)
•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
(세르지오 레오네, 1984, 이탈리아/미국)
•<천국보다 낯선>(짐 자무시, 1984, 미국)
•<블루 벨벳>(데이비드 린치, 1986, 미국)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압바스 키아로스타미, 1987, 이란)


여기 살고 있는 시네필이 한국에서 누릴 수 있는 유일한 특권으로서 마음껏 뽑아볼 수 있는 한국영화 열다섯 편. 어떤 카테고리 없이 단지 자주 이야기되고 적어도 한국 시네필로서 이 정도는 보아야 부끄럽지 않다고 생각하는 명단(개인적인 걸작 명단과는 완전히 다른 명단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실 것).

•<자유부인>(한형모, 1956)
•<하녀>(김기영, 1960)
•<오발탄>(유현목, 1961)
•<마부>(강대진, 1961)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신상옥, 1961)
•<혈맥>(김수용, 1963)
•<휴일>(이만희, 1968)
•<별들의 고향>(이장호, 1974)
•<바보들의 행진>(하길종, 1975)
•<영자의 전성시대>(김호선, 1975)
•<최후의 증인>(이두용, 1980)
•<만다라>(임권택, 1981)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배용균, 1989)
•<파업전야>(장산곶매, 1990)
•<경마장 가는 길>(장선우, 1991)


추신 _ 그런 다음 의도적으로 나는 1996년 영화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이후’의 영화를 뽑지 않았다. 두 가지 이유에서다. 하나는 ‘이후’의 현대 영화들 중에서 어떤 영화가 시간을 견딜지 잘 모르겠다. 아직 그 영화들은 취향의 문제다. 둘째는 ‘이후’의 영화들은 모두들 열심히 본다. 시네필이 되기 위해서가 아니라 대화에 끼어들기 위해서 본다. 그러므로 구태여 여기서 추천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겠다. 한 가지 더. 이 명단을 본 다음 1996년 ‘이후’의 명단은 당신께서 뽑아보시길 권한다.

마지막으로 21세기를 느껴볼 수 있는 영화 열 편. 이 영화들이 21세기에 만들어진 최고 걸작들의 명단은 아니지만 무언가 이 영화들을 보고 나면 새로운 영화의 세기가 시작되었구나, 라는 걸 느껴볼 수 있는 (약간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누구라도 한 번쯤 들어봄직한 비교적 잘 알려진 제목들을 중심으로 해서 뽑아본) 서로 다른 경향의 영화 열 편의 다소 경황없는 목록.

•<반다의 방>(페드로 코스타, 2000, 포르투갈)
•<멀홀랜드 드라이브>(데이비드 린치, 2001, 미국)
•<10>(압바스 키아로스타미, 2002, 이란)
•<철서구>(왕빙, 2003, 중국)
•<엘리펀트>(구스 반 산트, 2003, 미국)
•<열대병>(아핏차퐁 위라세타쿤, 2004, 태국)
•<기사에게 경배를>(알베르 세라, 2006, 스페인)
•<호수의 이방인>(알랭 기로디, 2013, 프랑스)
•<언어와의 작별>(장-뤽 고다르, 2013, 스위스/프랑스)
•<도원경>(리산드로 알론소, 2014, 아르헨티나)

 

 

신고공유스크랩

추천인 13


  • 필립
  • 스코티
    스코티
  • 테리어
    테리어
  • Nashira
    Nashira

  • 솅융

  • 한물결
  • Kyrie_Irving
    Kyrie_Irving
  • 텐더로인
    텐더로인

  • 팬텀
  • aflod14
    aflod14

댓글 9

댓글 쓰기
추천+댓글을 달면 포인트가 더 올라갑니다
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자세한 익무 규칙은 여길 클릭하세요
profile image 1등
이거 참고서적도 있는데 그건 볼만한데 영화는 너무 오래되고 많아서 ㅋㅋㅋㅋ
12:20
17.10.22.
profile image
타쓰마 작성자
aflod14
서적도 있고 영화사의 '순간'들도 뽑으셨었죠 ^^ 이건 영화만을 위해 글을 옮겨보았습니다 :)
12:40
17.10.22.
profile image 2등
https://seojae.com/critic/ ->정성일 아카이브. 저기 있는 작품중 <전함 포템킨>이 26일과 28일 한국영상자료원에서 상영됩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이번기회에 관람하시길.
12:37
17.10.22.
profile image
타쓰마 작성자
텐더로인
몰랐던 정보네요! 빈말이 아니라 정말 가서 관람해야겠습니다... n스토어에 있는 건 화질이 별로라고 해서 못 보고 있었거든요 감사합니다! :)
12:41
17.10.22.
profile image
타쓰마 작성자
Kyrie_Irving

맞아요 ㅠ 유튜브에 그나마 고전영화들은 있더라구요

17:21
17.10.22.
정말 대단하다는 말밖에 안나오네요 ....언제쯤 저리스트에 있는영화들을 머리가아닌 마음으로 느낄수 있을까요 .. 
20:58
17.11.02.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로데오] 시사회에 초대합니다. 8 익무노예 익무노예 25.04.29.11:58 2539
공지 [케이 넘버] 시사회에 초대합니다. 9 익무노예 익무노예 25.04.24.11:24 4667
HOT <재벌집 막내아들> 시즌 2 본격적인 기획·개발 단계에... 4 NeoSun NeoSun 2시간 전11:01 829
HOT 웨스 앤더슨 '페니키안 스킴' 국내포스터 5월28일... 2 NeoSun NeoSun 2시간 전10:36 635
HOT 넷플릭스 <이 별에 필요한> 스틸들 1 NeoSun NeoSun 2시간 전10:31 504
HOT 오늘의 쿠폰 소식입니다^-^ 3 평점기계(eico) 평점기계(eico) 4시간 전08:39 716
HOT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일본 시사 반응 4 golgo golgo 4시간 전08:51 2486
HOT [미임파: 파이널 레코닝] 레드카펫 행사 안내 2 시작 시작 3시간 전10:05 694
HOT 매즈 미켈슨,감옥 드라마 <라스트 밀스> 출연 2 Tulee Tulee 5시간 전08:03 527
HOT 'GTA 6' 예고편 하루만에 4억7500만 조회수 돌파 3 golgo golgo 3시간 전09:28 757
HOT [파이널 데스티네이선] 영화의 컨셉을 잘 보여주는 옥외 광고 2 FutureX FutureX 3시간 전09:16 750
HOT ‘더 배트맨 파트 2’ 2026년 촬영 시작 목표 - 기사추가 3 NeoSun NeoSun 4시간 전08:43 771
HOT 미키 17 후기 (스포 ㅇ) 4 박광 5시간 전07:56 662
HOT 미셸 로드리게스-리처드 기어,비행기 생존 스릴러 <레프... 2 Tulee Tulee 5시간 전08:02 405
HOT 톰 크루즈 “목표를 세우고, 필요한 것을 리스트화한다” 4 카란 카란 13시간 전00:00 2060
HOT 레니 할린,생존 스릴러 <블랙 타이드> 연출 3 Tulee Tulee 4시간 전08:18 562
HOT <하이파이브> 6인 6색 캐릭터 포스터 공개 2 넷플마니아 넷플마니아 5시간 전08:03 863
HOT 에단 코엔 신작 ‘Honey Don’t’ 첫 트레일러 - 마가렛 퀄리, ... 1 NeoSun NeoSun 6시간 전06:51 596
HOT 성룡 Haute Living 1 e260 e260 5시간 전07:35 483
HOT 귀여운 스티치 배너~ 1 아믈랭 아믈랭 11시간 전01:36 557
HOT 스티븐 킹 원작 '롱 워크' 예고편 1 golgo golgo 12시간 전00:42 975
HOT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일본서 세계 최초 상... 6 카란 카란 12시간 전00:13 3588
1175080
image
호러블맨 호러블맨 9분 전13:03 41
1175079
image
GI 47분 전12:25 583
1175078
image
deskiya deskiya 54분 전12:18 228
1175077
image
NeoSun NeoSun 1시간 전12:02 224
1175076
image
NeoSun NeoSun 1시간 전12:02 284
1175075
image
NeoSun NeoSun 1시간 전12:02 347
1175074
image
호러블맨 호러블맨 1시간 전12:00 220
1175073
image
호러블맨 호러블맨 1시간 전11:58 220
1175072
image
단테알리기에리 1시간 전11:43 347
1175071
image
BillEvans 1시간 전11:36 257
1175070
image
NeoSun NeoSun 1시간 전11:32 305
1175069
image
NeoSun NeoSun 1시간 전11:25 424
1175068
image
golgo golgo 1시간 전11:20 387
1175067
image
카란 카란 2시간 전11:09 601
1175066
image
넷플마니아 넷플마니아 2시간 전11:03 265
1175065
image
NeoSun NeoSun 2시간 전11:01 829
1175064
normal
왈도3호 왈도3호 2시간 전10:56 599
1175063
image
golgo golgo 2시간 전10:41 560
1175062
image
NeoSun NeoSun 2시간 전10:36 635
1175061
image
NeoSun NeoSun 2시간 전10:31 504
1175060
image
NeoSun NeoSun 2시간 전10:31 416
1175059
image
넷플마니아 넷플마니아 2시간 전10:20 387
1175058
image
NeoSun NeoSun 2시간 전10:15 443
1175057
image
시작 시작 3시간 전10:05 694
1175056
normal
NeoSun NeoSun 3시간 전09:35 383
1175055
image
golgo golgo 3시간 전09:28 757
1175054
image
NeoSun NeoSun 3시간 전09:26 777
1175053
image
NeoSun NeoSun 3시간 전09:22 375
1175052
image
NeoSun NeoSun 3시간 전09:20 439
1175051
image
FutureX FutureX 3시간 전09:16 750
1175050
image
NeoSun NeoSun 3시간 전09:15 333
1175049
image
NeoSun NeoSun 4시간 전09:12 634
1175048
image
golgo golgo 4시간 전09:07 589
1175047
image
NeoSun NeoSun 4시간 전09:00 576
1175046
image
NeoSun NeoSun 4시간 전08:58 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