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계곡의 나우시카 (1984) IMDb 트리비아
![익스트림무비](http://img.extmovie.com/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564/005/5564.jpg?20130806215716)
일본 애니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은퇴 발표 이후
해체설까지 나오고 있는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지브리'
한때 애니팬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았던 지브리사 작품들의
IMDb 트리비아를 순차적으로 올려볼까 합니다.
그 첫 번째로 1984년에 제작된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트리비아입니다.
http://www.imdb.com/title/tt0087544/trivia?ref_=tt_ql_2
(본문 펌질은 자제 부탁드려요.)
※ <바람계곡의 나우시카>는 미야자키 하야오가 일본 잡지 '아니메쥬'에 1982년부터 1994까지 연재했던 동명 만화의 1, 2권을 영상화했다. 원작 만화는 애니메이션보다 훨씬 길고 복잡하며, 더 많은 캐릭터와 세계를 다루고 있다.
※ 이토 카즈노리가 이 작품의 각본 초고를 썼다(<기동경찰 패트레이버> <공각기동대> <가메라 3부작>의 각본가).
※ 많은 이들이 이 작품을 스튜디오 지브리의 것이라고 착각하는데, 사실은 지브리가 설립되기 이전에 제작됐다. 지브리사의 첫 작품은 <천공의 성 라퓨타>(1986)다.
※ 이 작품을 완성하는데 (전통 방식으로 그린) 56,078장의 셀화가 사용됐다.
※ 후반부의 거신병 장면은, 훗날 가이낙스 스튜디오에서 <에반게리온>의 감독으로 이름을 날리게 된 안노 히데아키가 그렸다.
※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오리지널 인터내셔널 컷 버전(편집판)에 화가 나서, 디즈니 중역들에게 사무라이 칼과 함께 “노 컷”이라고 간단하게 쓴 메모를 보냈다.
※ <바람계곡의 나우시카>를 아동용으로 새로 뜯어 고치다시피한 편집판(Warriors of the Wind - B영화의 제왕 로저 코먼의 영화사가 편집)이 1985년 미국서 공개된 이후, 미야자키 하야오는 자기 작품의 해외 배급사에게 "절대 편집하지 말 것"과 "오리지널 그대로 번역하고 더빙할 것"을 요구했다. (<루팡 3세 극장판>을 제외하고) 미야자키 하야오 작품들의 배급권을 가진 디즈니측은 감독의 그러한 요구를 존중했다.
※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의 특정 버전(해외판)은 원래의 색감을 살리지 못한 탓에, 시청자가 나우시카가 하늘을 나는 장면에서 스커트 아래가 노팬티인 것으로 착각하는 일도 벌어졌다. 팬티 색깔이 나우시카의 살색과 비슷했기 때문이다.
※ 이 작품에는 총 263가지 색이 쓰였다.
※ 나우시카라는 이름은 호머의 서사시 <오디세이아>에서 따온 것이다(위키 백과 참고: http://ko.wikipedia.org/wiki/%EB%82%98%EC%9A%B0%EC%8B%9C%EC%B9%B4%EC%95%84)
※ 나우시카가 이용하는 동력 글라이더 ‘메베’의 명칭은 독일어 갈매기(Möwe)에서 따왔다.
※ 오무(王虫)는 일본어로 ‘벌레들의 왕’이라는 뜻이다.
※ 극중 토르메키아 군대가 사용하는 무기와 차량 등은 2차대전 시기 독일의 것과 유사해 보인다. 예를 들어 그들의 대형 수송기는 독일의 메서슈미트 323 ‘기간트’ 수송기와 비슷하고, 무기 역시 독일의 FG-42 공수부대용 소총과 닮았다. 또한 토르메키아의 탱크도 독일의 장갑차량 ‘3호 돌격포’와 유사하다.
※ 바람계곡을 침공해오는 토르메키아 군용기들의 날개 끝이 노란색으로 칠해져 있다. 이는 2차대전 때 히틀러의 루프트바페(공군) 전투기들이 주변국을 침공할 때 칠했던 도장과 유사하다.
[감독의 트레이드마크]
※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이 자주 그리는 비행 장면이 메베를 타는 나우시카를 통해 자주 등장한다. 엔딩 크레딧에는 나우시카가 아이들에게 메베 타는 법을 가르치는 모습도 나온다.
익스트림무비
댓글 1
댓글 쓰기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자세한 익무 규칙은 여길 클릭하세요
처음에 해적만화로 접하고는 이거 찾는다고 ...ㅠㅠ
아직도 만화로는 못봤어요..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