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수녀들) 아시아 흥행 좋네요. 인도네시아 2주연속 1위
국내에서 160만명이라는 손익분기점을 넘어서며 뜨거운 흥행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인도네시아에서 누적 관객수 100만명을 돌파해 이목이 집중된다. 또한 필리핀에서도 개봉 이후 2주 연속 박스 오피스 1위를 기록해 영화를 향한 글로벌 관객들의 높은 관심을 실감케 한다.
==========
제가 지난주에 검은 수녀들의 아시아 흥행에는
"1. 송혜교라는 아시아 한류스타 2. 파묘 아시아 흥행 .이런 효과가 분명있을거다",
라고 말씀드렸는데
또 " 만약 2주차에도 흥행 이어진다면 [검은 수녀들]이란 영화 자체가 아시아에 통한 것일수 있다"라는 취지의 글을 쓴셈인데요.
결과적으로 송혜교의 스타파워와 더불어서 영화자체의 힘도 통한 모양이네요
=======
사실 이 말을 하면서.. 검은 수녀들에 대한 한국의 어마어마한 비판이 딱 생각나요
아마 [이렇게 엉망인 영화를 누군가 즐긴다??]는걸 못받아들이는 분들 있을거에요
사실 제가 영화 해운대나 몇몇 영화에 대한 독과점 관련 억지 비판을 ... 반박한 경험이 있습니다.
실제로, 나무위키같은데나 각종 영화 사이트 조차도, 말도 안되는 거짓 비판이 많더라구요
즉, 그 영화 완성도가 떨어진다는건 개인 판단이지만, 실제로 독과점이라는게 상영관 숫자부터해서 딱 객관적 자료가 나오잖아요
특히 해운대에 전후무후한 독과점으로, 다른 영화 상영을 막아버렸다는 둥 어처구니 없는 주장이 사실처럼 퍼지는거 웃겼습니다.
실제로는 해운대는 그해개봉한 영화중에서 헐리웃 영화등에 밀려서 상영관 숫자가 5위안에도 못들어가더군요.
해운대과 1주일 차이로 개봉한 해적 영화와 쌍끌이 흥행으로 그해 1,2위였더라구요. 즉, 독과점으로 다른 영화 싹을 잘랏다는 둥.. 그분들의 믿음과는 달랐죠. 그외에도 사례는 많습니다.
즉, [이 영화는 누구에게도 사랑받지 못할 영화인데.. 이 영화의 흥행은.. 거대 배급사의 우격다짐 독과점 배급과 과장 광고로 인한 거짓 관객이다]라고 여기는 분들이 많은걸 그때 알았죠.
제가 그런 경험으로 인해서... 인터넷 영화 매니아 입맛에 딱 맞는.... [웰메이드]영화에 대한 환상이 없는거죠
인터넷 영화 매니아가 딱 싫어하는.. 신파 국뽕 가득한 명량이니 부산행이니 오징어 게임도.. 이후 해외 흥행이후.. 국내 반응이 달라진것만으로도...충분히 사랑받을 만한 영화라는걸 알게됏죠
물론 저도 검은수녀들이란 영화가. 별로 즐기지 못할 영화가 아닐까 싶기도 해요. 내가 좋아할 영화는 아닐것같다는 거죠.
하지만 저 개인적으론 [웰메이드 영화]에 대한 환상이 없는 편이구요. 내가 못 즐겨도 누군가 즐기면 그 사람에겐 의미있는 영상물인거죠
해운대, 국제시장, 신과함께 등 욕먹는 영화에 대해서 ... "어떤 영화도 관객이 받아들였다면 나름의 가치가 있다 "고 생각하는 편이죠
오히려.. 과거부터 히치콕이 장르영화 감독으로써 평론가들에게 무시당했거나 ( 이후 공포영화가 하나의 예술로 받아들여지는데 시간이 필요했죠. 오히려 영화라는 장르기 가존의 예술가들에게 예술로 받아들여지는데 시간이 필요햇듯이요.. 또 영화중에서 장르영화가 예술로 대접받는대도 또 시간이 필요햇죠)
21세기에는 오히려. 인터넷 영화매니아들 파워가 강해지면서, 오히려 [장르영화]에 대한 평가가 급격히 높아져요
장르영화 대가인 봉준호, 타란티노, 김지운, 박찬욱 등이 대접받는 시대죠 ( 타란티노, 박찬욱같은 분들은 영화매니아가 영화감독이 된거니까. 더욱 감성을 공유한다고 할까요)
즉, 인터넷 영화 매니아들 입김이 엄청 높아지고.. 로튼토마토 등 인터넷 영화 매니아들이 큰 소리 치는 시대죠
사실 인터넷 영화 매니아들은.. 과거 영화 무시하던 예술가들이아... 장르영화 무시하던 영화 평론가들보다더 배타적이라서
국뽕영화 무시하고, 신파영화 무시하고.. 뭐 그런거 많습니다.
그래서 그런가 신파영화로 폄하되는 영상물이.. 해외에서 대접받으면.. 한국에서 오히려 반응이 좋아지는 경우가 꽤 있죠
대표적인게 부산행이고.. 오징어게임도 신파라고 엄청까였죠
근데 해외에서 너무 반응좋으니.. 한국의 인터넷 영화 매니아들도 차마 대놓고 비판은 못해요
사실 오징어게임만해도.. 한국의 유튜브 영화매체에서 엄청 비판했죠.. 특히 신파의 절정인것같은... 오징어게임 에피소드6편은
저 개인적으론... 역대로 영화 포함 가장 감정적인 극한을 보여주는 성공적인 영상물으로 보이는데... 국내에서 대차게까였죠
어쨌거나.. 우뢰매는 어린이들이 좋아하고.. 국제시장은 국내 노인 관객이 좋아하고.. 명량은 국뽕 좋아하는 분들 좋아하면 각자 역할이 있다고 생각하니까
뭐.. 검은 수녀들도 .. 필리핀에서 뭔가 어필 포인트가 있지 않을까 싶네요
추천인 5
댓글 5
댓글 쓰기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자세한 익무 규칙은 여길 클릭하세요
그리고 한국 사람이 한국어 대사 듣기가 어려운 사운드 문제는 외국인에겐 자막으로 해결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