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의 모든> 리뷰_ 새벽의 모든 이들에게 비치는 이타적 별빛
온기가 차오른다! 차가운 겨울의 공기가 어느덧 따뜻한 봄의 공기로 변할 때쯤 관객은 비로소 스크린을 투영해 전달되는 온기를 오롯이 받아들인다. 그것도 서서히, 그리고 적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은 차갑지만 그래서 더 따뜻함을 느끼고 그 소중함을 알게 되는 영화다. 그 계기는 멀리서 조심스러운 몸짓으로 서로에게 이타적 별빛을 비추는 두 주인공에게 기인한다.
후지사와(가미시라이시 모네)와 야마조에(마츠무라 호쿠토)는 아동용 과학 키트를 만드는 작은 회사의 선후배 사이다. 옆자리에 앉아 있지만, 절대 친하지 않다. 데면데면하던 이들은 서로가 가진 병을 알게 되면서 조금씩 가까워진다. 후지사와는 PMS(월경전증후군)로 인해 한 달에 한 번은 억제할 수 없는 짜증을 표출하고, 야마조에는 공황장애로 갑작스럽게 발작을 일으킨다. 병은 다르지만, 그 아픔은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는 이들은 일말의 동질감을 느낀다. 그리고 조심스럽게 서로를 도울 방법을 찾는다.
미야케 쇼가 연출한 은 진부한 격언이 떠오른다. 이를테면 “동트기 직전이 가장 어둡다”는 말이 바로 그것. 극 중 대사에도 나오는 이 말은 후지사와와 야마조에의 현 상황을 말하는 듯하다. 마음의 병으로 끝없이 짙은 어둠이 깔린 터널을 지나고 있는 이들은 새벽이 오기 전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 행복보다 절망의 순간을 자주 맛보는 이들은 서로를 이해하고 도와주며 묵묵히 버텨나간다.
다른 작품이었다면 이런 이들의 다음 단계는 ‘사랑’이겠지만, 영화는 관객의 기대를 저버린다. 미야케 쇼는 로맨스 장르의 관습에 전혀 기대지 않는다. 대신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고 이 힘든 세상을 살아가는 현대인으로서의 동질감 느끼고, 질병으로 힘겨워하는 삶을 이해하는 시선을 유지하며, 관계를 이어나간 다. 사랑보단 연대를 내세우며, 힘겨운 싸움을 해나가는 두 주인공은 마음이 아닌 손을 맞잡는다.
영화만의 차별성은 연대 말고도 두 주인공의 ‘거리감’에 있다. 이들은 가까이도 그렇다고 멀지도 않은 적정 거리를 유지한다. 뭔가 더 나은 삶을 위해 서로의 일거수일투족을 지켜보며 도와주는 게 아니다. 가깝지도 그렇다고 멀지도 않은 거리에서 질병으로 삶이 무너질 때 기꺼이 손을 내미는 정도다.
극 중 야마조에는 PMS에 늪에 빠진 후지사와의 감정을 알아차리고 함께 사무실 밖에 나와 회사 자동차 세차를 함께 한다. 그녀가 짜증을 내도 받아주며, 안정될 때까지 지켜봐 준다. 그러면서 그녀에게 한 달에 한 번은 꼭 도와주겠다고 약속한다. 후지사와도 마찬가지로 대중교통을 이용하지 못하는 야마조에게에게 집에서 노는 자전거를 주거나 직접 머리를 잘라주기도 한다. 서로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최대한 도움과 관심을 전하는 그 거리의 길이는 엔딩크레딧이 올라갈 때까지 유지된다.
초반 이들이 숱하게 말하는 ‘미안합니다. (스미마셍, すみません。)’는 그 적정 거리를 찾는 시행착오처럼 보인다. 이 과정을 지나온 주인공들은 비로소 서로에게 미안한 대상이 아닌 이해와 공감, 위로를 전하는 대상이 된다. 감독은 이런 거리감을 유지하는 것이야말로 나와 다른 이의 삶을 이해하고 서로가 일상을 평화롭게 유지하는 첫 단계라고 말하는 듯하다.
영화는 이 거리감을 ‘별’로 치환한다. 이름 없는 작은 별이라도 작지만 아름다운 빛을 멀리 떨어진 또 다른 별을 향해 비춘다는 극 중 대사는 마치 두 주인공을 연상케 한다. 그 빛이 오랜 시간이 걸려 도착함에도 그 행위 자체로서 위안과 힘을 얻는다는 점은 영화의 주제와 일맥상통한다. 이는 후반부 이동용 플라네타륨(천체 투영기) 행사장에서 별자리를 관찰하는 장면에서 나오는데, 특별한 사건 없이 담백하게 진행되면서 차곡차곡 쌓인 관객의 감정이 이 부분에서 탁 터진다. 마치 기나긴 겨울을 지나 봄을 맞이하듯 따뜻한 감동이 전해진다.
참고로 이 장면에서 행사 참여자들에게 별자리에 관한 이야기를 전하는 이는 후지사와다. 이 역을 맡은 가미시라이시 모네는 의 미츠하 역의 목소리 연기를 맡을 정도로 특유의 맑고 깨끗한 목소리가 강점. 이 장점이 이 장면에서 잘 발휘된다.
두 주인공만큼 빛나는 건 작은 별과도 같은 회사 사람들이다. 후지사와와 야마조에를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배려하는 것은 물론, 회사 구성원으로서의 단체 생활을 강요하지 않고, 자기 일을 묵묵히 하는 것에 만족해한다.
이들은 대단한 일을 하는 사람들이 아니다. 과학 키트를 사용할 학생들을 위해 부단히 상품을 조립하고 포장하며 각 학교에 전달하는 일을 한다. 마치 30년 전 똑같은 행사를 준비했던 회사 사장 동생의 음성 기록 및 메모가 두 주인공에게 큰 힘이 된 것처럼, 회사 사람들도 30년 후 자신들이 만든 키트를 접한 학생들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맡은 바 일을 멋지게 할 수 있도록 작은 빛을 비추는 일을 한다. 누가 알아주지 않아도 묵묵히 그 빛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는 이들의 모습은 북극성 보다 더 찬란해 보인다.
은 아름다운 영화다. 비록 두 주인공의 삶이 힘들고 비루할지언정, 전반적으로 깔린 사람의 온기가 숨겨진 아름다움을 빛낸다. 이는 감독의 전작 과 마찬가지로, 16mm 필름과 자연광을 활용한 아날로그 감성을 담아냈기 때문. 연속해서 힘든 삶을 살아가고 있다면 영화가 주는 공감과 위로, 그리고 희망의 메시지를 가슴에 품길 바란다. 언젠가 어둠이 걷히고 새벽을 알리는 광명을 마주할 그날을 기다리며.
덧붙이는 말: 16mm 필름과 자연광을 활용한 아날로그 감성이 듬뿍 담긴 의 메이킹 영상이다. 극장 가기 전 이 영상을 보며 영화의 느낌을 고스란히 마음속에 저장해 보면 좋을 듯 싶다!
평점: 4.0 / 5.0
한줄평: 새벽을 기다리는 모든 이들의 빛나는 연대!
추천인 5
댓글 4
댓글 쓰기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자세한 익무 규칙은 여길 클릭하세요
거리감 유지하며 상대를 지탱해준다는 게 일본영화적인 감성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