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수다 제작비 2억 손익분기점 4억 흥행수입이 1억이면 얼마 손해일까요? 그리고 망작 정리
- ivuque
- 2250
- 3
제작비 2억 손익분기점 4억 흥행수입이 1억이면 얼마 손해일까요?(마케팅비 무시)
보통 언론이나 사람들이 손익분기점 4억인데 흥행수입이 1억이면 1억 - 4억 = 3억 손실이라고 말을 합니다.
어이없지 않나요? 제작비가 2억인데 3억 손실이라니요?
손익분기점을 계산할 때
제작비가 2억인데 4억이 손익분기점인 이유는
극장과의 부율 5 : 5를 고려하면 4억의 흥행수입이 발생해야 배급사에 2억이 떨어지기 때문이죠.
따라서 손익분기점 자체에 극장의 수입이 포함되어 있는 겁니다.
따라서 손익분기점이 4억인데 흥행수입이 1억이면 손익분기점과의 차액 3억 * 배급사 부율 50% = 1.5억 손실
이 맞는 계산인 것입니다.
오해하는 사람들이 꽤 많네요.
그리고 영화의 손익분기점 계산시 영화의 박스오피스 성적을 기준으로 산출하기 때문에 2차시장 성적이나 해외 판권 판매수입은
원칙적으로 고려하지 않습니다. 최근에는 손익분기점을 낮춰서 흥행한 것처럼 보이기 위해 선판매된 금액을 고려하기도 하더군요.
물론 손익분기점의 정확한 정의에 따른다면 해외 판권 판매수입을 고려하는 것이 맞지만 한국영화는 기본적으로 내수시장을 대상으로
계산하기에 과거부터 해외 판권 판매수입은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할리우드와 같이 해외에도 직배하는 경우는 당연히 해외 박스오피스 성적도 포함됩니다. 한국영화는 해외 수출시 판권을 넘기고
MG받고 흥행수입에 따른 오버리지를 받는 구조라면 할리우드 영화는 직배하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뭐 암튼 복잡한 얘기 그만하고 마케팅비(마케팅비는 배급사들이 정확히 밝히지 않습니다)를 제외한 순제작비 기준으로
역대급 망작 정리해 봤습니다.
망작들 기준이기에 손익분기점은 고려하지 않고 제작비와만 비교했습니다.
(단위 : USD) | ||||||
순위 | 구분 | DOMESTIC | INTERNATIONAL | WORLDWIDE | 순제작비 | 제작비초과액 |
1 | 위시 | 34,543,942 | 17,301,743 | 51,845,685 | 200,000,000 | (148,154,315) |
2 | 화성은엄마가 | 21,392,758 | 17,840,920 | 39,233,678 | 150,000,000 | (110,766,322) |
3 | 더마블스 | 78,226,186 | 110,270,161 | 188,496,347 | 274,800,000 | (86,303,653) |
4 | 론레인저 | 89,302,115 | 171,200,000 | 260,502,115 | 250,000,000 | 10,502,115 |
5 | 존카터 | 73,078,100 | 211,061,000 | 284,139,100 | 263,700,000 | 20,439,100 |
6 | 플래시 | 108,133,313 | 162,500,000 | 270,633,313 | 220,000,000 | 50,633,313 |
7 | 디워 | 10,977,721 | 64,131,096 | 75,108,817 | 23,349,938 | 51,758,879 |
8 | 인어공주 | 298,172,056 | 271,454,233 | 569,626,289 | 250,000,000 | 319,626,289 |
물론 위시는 개봉한지 9일밖에 되지 않았고 주요 영화시장인 일본, 한국, 프랑스, 독일, 호주 등이 반영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억까이긴 하지만 9일차 북미기준만 따져도 망작리스트에서 빠질 수 없을 듯 합니다.
저 리스트에서 인어공주는 선녀죠. 저 수치만 봤을 때 선녀라는 것이지 현재 디즈니를 나락으로 빠뜨린 데는 일등공신이지만요.
추천인 3
-
유군택 -
이안커티스 -
golgo
댓글 3
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인어공주는 미녀와 야수, 알라딘 실사 만큼이나 대박 났어야 했는데.. 똔똔 된 게 고작이면 문제가 있는 거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