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보이의 시나리오 작가가 취소된 대규모 예산의 헬레이저 속편을 쓴 바 있다.

깊이 파고든 공포 팬들만이 현존하는 "헬레이저" 영화가 11편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입니다. 클라이브 바커는 바커의 소설 "지옥에 갇힌 심장"을 원작으로 한 1987년작 "헬레이저"의 각본과 감독을 맡으며 이 작품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이 영화는 수수께끼의 나무 퍼즐 상자인 '라탄 구성'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이 퍼즐 상자는 해결되면 공포스러운 세노바이트의 간부들을 평행한 차원에서 소환할 수 있습니다. 세노바이트는 본질적으로 소환사를 고문하여 죽이는 것처럼 보이는 언데드 사도마조히스트입니다. 그러나 S&M 중독자이기 때문에 고문은 궁극적인 성적 경험이 될 수 있습니다. 그들에게 고통과 쾌락은 하나이며 동일합니다.
1988년에 "Hellbound: Hellraiser II"라는 제목의 후속작이 있었습니다. 토니 랜델 감독이 연출한 속편은 첫 번째 영화의 성적 집착을 매우 초현실적인 영역으로 가져갔습니다. 속편의 대부분은 리바이어던이라는 지각 있는 건물 크기의 오벨리스크가 감독하는 미로 같은 영역인 지옥을 배경으로 합니다. 세 번째 "Hellraiser III: Hell on Earth" 영화는 앤서니 히콕스 감독이 연출한 미국 작품으로, 보다 전통적인 슬래셔 영화의 비트를 따라가며 세노바이트 핀헤드(두그 브래들리)가 지옥에서 탈출하여 지구에서 살인을 저지르고 싶어하는 악당으로 등장합니다. (별로 좋지 않습니다.) 네 번째 극장용 "Hellraiser" 영화는 1996년에 개봉한 "Hellraiser: Bloodline"으로, 매우, 매우 문제가 많은 작품을 제작했습니다. (앨런 스미티의 공로를 인정받았지만, SFX의 구루 케빈 야거가 감독을 맡았습니다.)
그 후 프랜차이즈는 감독-비디오(DTV) 시장으로 진출하여 저예산 후속작(대부분은 평범했습니다)을 연이어 출시했습니다. 하지만 시나리오 작가 피터 브릭스(2004년작 '헬보이')가 일곱 번째 '헬레이저' 영화가 될 작품을 썼기 때문에 속편 중 하나가 훌륭했을 것 같습니다. 그의 영화 제목은 "헬레이저: 개탄"이었고, 그는 2021년 블러디 디스트로징과의 인터뷰에서 자세히 이야기한 모든 치료법을 썼습니다.
피터 브릭스는 헬레이저라는 영화에 대한 치료법을 썼습니다: 한탄
미라맥스 필름
BD 인터뷰에서 브릭스는 2003년 "프레디 대 제이슨"(그가 "개발 지옥" 대본 초안을 작성한 적이 있는)의 성공 이후 자신의 "헬레이저" 프로젝트에 대해 접하게 되었다고 회상했습니다. 그 당시 가장 최근의 "헬레이저" 영화는 2002년의 "헬레이저: 헬시커"로, 이 영화는 여섯 번째 작품이었습니다. 브릭스는 1991년에 "에일리언 대 프레데터"의 초기 초안을 작성했기 때문에 할리우드에서도 잘 알려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영화는 수년 동안 개발 지옥에 있었고 2004년 초까지 본격적으로 완성되지 않았습니다. (궁극적으로 브릭스는 영화 작업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지 못했습니다.)
2000년대 초반에 "Hellraiser"를 소유했던 미라맥스는 브릭스에게 그의 후속작인 "Hellraiser"에 대해 치료를 요청한 스튜디오였습니다.
브릭스는 각본을 쓴 적은 없지만 "헬레이저: 라멘트"의 15페이지 분량의 개요를 썼습니다. 그의 영화는 이전 두 편의 DTV 속편을 무시하고 "헬레이저: 블러드라인"의 사건을 직접 이어갔을 것입니다. "블러드라인"처럼 현재와 먼 과거를 배경으로 한 역사를 아우르는 영화가 될 것입니다. "라멘트"의 핵심 자만심은 핀헤드와 그의 수행원들이 피 흘리기에 너무 열성적이 되어 현재 지옥에서 포로로 잡혀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회상 장면을 통해 1750년대에 작업하던 광부 팀이 초기 미국의 외딴 산에서 신비한 금속을 인양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브릭스는 이 금속이 리바이어던의 파편으로, 어떻게든 지옥에서 벗겨져 준설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금속은 라멘트라는 작은 마을의 기초가 될 것입니다. 한편 광산 작업은 미키 코트렐이 연기한 '블러드라인'의 캐릭터인 듀크 드 리슬이 이끌 예정이었습니다. 그런 다음 이 이야기는 주요 액션이 펼쳐질 현재로 빠르게 넘어가게 됩니다.
한탄은 헬레이저 속편 중 가장 흥미로운 속편처럼 들립니다
현재 브릭스는 계속해서 주인공인 문제 많은 십대 소녀를 포함한 꽤 표준적인 캐릭터 세트를 소개했습니다. 그러던 중 한 지역 과학자가 오랫동안 묻혀 있던 리바이어던 파편을 발견하고 방사선을 쏘아 그 파편이 무엇인지 알아냈고, 실수로 핀헤드를 지옥 입구를 통해 감옥에서 석방했습니다. 포털이 가까울 수도 있지만, 가디너라는 캐릭터는 자신이 지옥 포털의 비밀을 풀기 위해 라멘 금속에 대한 계산을 하는 BDSM 애호가임을 드러냈습니다. 지옥에 대한 집착이 지옥의 구멍을 여는 데 직접적으로 이어진다는 개념은 "헬바운드: 헬레이저 II"에서 소개된 주제입니다
다양한 캐릭터들은 결국 개인적인 동기에 따라 지옥의 문을 열거나 닫으려고 할 것입니다. "라멘트"는 핀헤드가 "블러드라인"에 소개된 고대 악마 세노바이트인 안젤리크와 대결하면서 절정에 이를 것입니다
브릭스는 자신이 '라멘트'에 출연하는 '헬레이저'가 아니라고 인정했지만, 연구에 능숙했다고 말했습니다:
"당시 저는 ['헬레이저']와 관련된 모든 것을 손에 넣을 수 있는 것처럼 밖에 나가서 샀던 기억이 납니다. 저는 워쇼스키의 '헬레이저' 만화를 읽고 있었고, 놓쳤던 영화들을 모두 보았습니다. [...] 제 말은, '헬레이저'의 전문가라고 주장하지는 않겠지만, 누군가 저에게 프로젝트를 맡기면 제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찾아내서 연속성을 관리하려고 노력합니다. 그래서 분명히 연속성 안에 들어맞고, 시작과 끝, 사건이 그 안에서 일어나는 만큼 스스로 감춰진 이야기입니다."
결국 예산 문제로 인해 프로젝트가 중단되었습니다.
DTV "헬레이저" 영화는 개당 약 200만 달러에 제작되었지만, 브릭스의 플래시백과 헬 워는 상상하기에는 너무 비쌌을 것입니다. 브릭스는 "그게 전부였다"고 회상했습니다. "라멘트"는 더 이상 나오지 않았습니다. 대신 일곱 번째 "헬레이저" 영화는 2005년작 "헬레이저: 데더"의 형태로 싸구려 영화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소리만 들어도 "라멘트"가 훨씬 더 흥미로웠습니다.
https://www.slashfilm.com/1815720/hellraiser-sequel-hellboy-screenwriter-cancelled/
hera7067
추천인 1
댓글 0
댓글 쓰기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자세한 익무 규칙은 여길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