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즈메의 문단속' 소타의 주문 해석

https://www.facebook.com/playmovie/posts/pfbid0pQvSTa68YakhhbXH1RsCazaESUfeR6xAcesM8UHkBymKoXk7cRvWLnT5JLPneGibl
신카이 마코토 감독이 직접 지은 주문이라고 하네요.
일본 사이트에 뜻풀이를 해놓은 게 있어서 요약해봤습니다.
https://kazuhand2017.com/movie/suzumenotozimari_kimezerihu/
1. 아뢰옵기도 송구한 히미즈의 신이시여
かけまくもかしこき日不見の神よ
“카케마쿠모카시코키(かけまくもかしこき)는 액막이 의식을 하면서, 입에 담기도 두려울 때 쓰는 말. 히미즈(日不見)는 두더지과 포유류를 뜻하는 단어인데, (일본에서) 그런 신은 없기 때문에 작품 속 가공의 신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입에 담기도 송구한 두더지신이여”라는 뜻이 됨.
2. 머나먼 선조의 고향 땅이여
遠つ御祖の産土よ
토오츠(遠つ) = 머나먼
미오야(御祖) = 선조(조상)
우부스나(産土) = 산토신(産土神)의 약자를 가리키기도 하고, 혹은 사람이 태어난 토지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함.
즉, “머나먼 선조가 태어난 땅이여”라는 의미가 됨.
3. 오래도록 배령 받은 산과 하천이여!
久しく拝領つかまつったこの山河
히사시쿠(久しく) = 오랫동안
하이료우(拝領 배령) = 윗사람으로부터 (무언가를) 받았다는 뜻
츠카마츠루(つかまつる) = OO하다의 겸양어
산가(山河 산하) = 산과 하천
즉, “오랫동안 (맡아서) 관리해왔습니다. 이 산천을.”
4. 경외하고 경외하오며 삼가
かしこみかしこみ 謹んで
신에게 무언가를 빌면서 발언할 것을 허가해달라면서, 다시 한 번 정중한 태도로 부탁(삼가)
즉, “정말 정말 죄송하지만 부탁드릴 게 있습니다.”라고 저자세로 말하는 느낌.
6. 돌려드리옵나이다
お返し申す
말그대로 “돌려드립니다.”
전체를 풀이하면
“입 밖에도 꺼내기 두려운 두더지신이시여
먼 조상이 태어난 땅이여
오랫동안 관리해온 산과 하천을
송구스럽지만 삼가 돌려드립니다.”
.........................................
우리말 자막에서 "산과 하천이여"... 라고 한 부분을 "산과 하천을"...로 했으면 더 매끄러웠을 것 같네요.
golgo
추천인 6
댓글 6
댓글 쓰기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자세한 익무 규칙은 여길 클릭하세요



지렁이를 먹고 사는 두더지를
수호신으로 삼았군요

그렇게 이어지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