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커] K-어느 가족, 코레에다가 재구성한 한국 드라마
<어느 가족>은 굉장한 영화였습니다.
"사회 안전망 밖에서 법을 어기며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들이 가족이 아닌가?"
일본 사회에서는 생각할 수 없던 질문을 던지는 영화에
당시 일본 총리가 황금종려상 수상에도 축하는 커녕 침묵했을 정도였죠.
<브로커>는 어떨까요?
<어느 가족>과 <브로커>의 스포일러가 되는 내용이 있습니다.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촬영 이후
http://www.baby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0
일본 현지에서 화제가 되었던 아기 포스트의 영화화를 고민하던 코레에다 감독은
한국에서는 베이비 박스라는 이름으로 일본보다 더 많은 아이들이 맡겨진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래서 무대는 한국이 되었고 예전에 작품을 함께 했던 배두나 배우,
영화제에서 이야기를 나눴던 송강호, 강동원까지 합세해서 영화 제작에 나섭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브로커>는 기존 코레에다 히로카즈 영화와는 다른 연출로
여러가지 의미로 당혹감을 가져왔습니다.
1) 식상함과 신선함
<브로커>의 최대 단점은 우리가 보기에는 식상한 내용이라는 점입니다.
우리는 이미 <나의 아저씨>에서 이지은의 연기를 봤으며
강동원은 늘 보던 강동원 같습니다.
어떻게 아역이 저렇게 대사 숙지를 잘하는 거지? 하는 위화감이 들고
송강호의 연기는 늘 보던 안정적인 그 연기에서 벗어나지 않은 느낌이 듭니다.
물론 해외에서도 '코레에다의 실수' 같은 평이 있고 호불호가 갈리긴 합니다만,
송강호는 해외 기준으로는 <기생충> 기택에 이어 세상에는 이런 아버지도 있다는 걸 드러내주면서
코레에다 히로카즈 영화 속 아버지 중, 또 다른 모습의 아버지로 남게 되었습니다.
한국 문화에 얼마나 익숙한가에 따라,
또 코레에다 히로카즈의 영화에 얼마나 익숙한가에 따라
식상함과 신선함이 공존할 수 있는 오묘한 영화입니다.
그래도 내가 연출한 영화에서 상을 받게 되어 죄송하다는 감독님의 코멘트도 있긴 했지만
정말로 식상한 연기였다면 칸의 선택을 받았을까 싶어요.
(개인적으로는 코레에다 감독님이
아역 배우가 대사를 끊김없이 좔좔좔 쏟아내는 부분에서 문화충격 받지 않으셨을까도 싶은ㅋㅋ)
2) 분명 직설적인데 친절하지는 않은
<브로커>의 또 다른 특징은 기존 코레에다 히로카즈 영화처럼
인물의 대사나 행동에서 상황과 감정을 굳이 잡아내지 않아도 된다는 점입니다.
많은 분들이 당황하시고 저도 순간적으로 입틀막을 했던
'태어나줘서 고마워'가 대표적인데요.
저도 처음에는 이게 어떻게 된 걸까 싶었는데
<나의 아저씨>, <사랑의 불시착>, <이태원 클라쓰>, <동백꽃 필 무렵>, <오징어 게임>
등의 한국 드라마를 봤다고 했었고
영상으로 표현되는 것이 강렬해서 단숨에 보게 된다(golgo님 번역글 인용)
는 감독님의 인터뷰를 읽은 뒤로
한국 드라마식으로 의도된 연출로 받아들이게 되었습니다.
일상 연기하다가 갑작스럽게 심각한 상황으로 넘어가도
감정을 전하는데 거리낌이 없고, 빙빙 돌려가면서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코레에다 감독이 한국 드라마 식으로 본인의 연출을 재구성했다고 봅니다.
그런데 그러면서도 '등장인물 중 누구의 시선으로 이야기를 보느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지죠'
라는 부분이 인상깊었습니다.
결말의 급전개에 정말로 많은 의견이 오고 가고 있습니다.
상현이 태호를 살해했다고 보는 쪽이 정설입니다만
정말로 상현이 죽인 게 맞냐고 보는 분들도 있지요.
사실 저도 상현이 죽인 게 아니라고 생각을 해요.
정말로 손씻고 동업을 하자고 했던 건데
소영이 자수를 한 시점이라
고용주가 아기 납치를 사주했던 걸 들킬까봐 입막음을 하려고 살해했다고 보는 쪽입니다.
한국에서 살인자가 자기가 몰던 그 차를 그대로 몰고 다닐 수 없는 걸 생각하면 더욱 그래요.
(동수는 자기가 혼자 하고 바보같은 형은 나한테 속아서 같이 다녔던 거라고 했을 것이고)
뉴스를 상현이 보고 있었다는 것 하나만으로
상현이 태호를 살해했다는 해석이
결말이 급전개로 보이는 원인이 아닐지...
사실 상현이 했다! 고 확실하게 단정지을 수 있는 연출이 없는 점에서
처음부터 한국 드라마처럼 표현에 거리낌이 없다가
결말 부분에서야 코레에다 감독 스타일로 돌아가다보니
호불호가 갈리게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3) 한국 드라마를 통한 <어느 가족>에 대한 코레에다의 대답
<어느 가족>의 경우 원 제목이 <좀도둑 가족>이 아니라 <소리내어 불러줘> 였습니다.
하지만
하츠에도
쇼타도
가짜였지만 진짜였던 가족에게 소리내어 전하지 못합니다.
그런 점에서
<브로커>는
한국 현실에 맞춘 가짜 가족을 통해
<어느 가족>에서는 소리내지 못했던
가짜였지만 진짜였던 가족에 대한 마음을
태어나줘서 고마워
한국 드라마 식으로 소리내어 전하는
코레에다 감독 나름의 대답인 작품이라 생각합니다.
제게는 포스터 낚시(?)와 매끄럽지 못했던 몇몇 번역투 대사 말고는 만족스러운 작품이었습니다.
추천인 12
댓글 7
댓글 쓰기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자세한 익무 규칙은 여길 클릭하세요
감독님이 말하고 싶은, 전하고 싶은 메세지가 너무 확고해요ㅋㅋㅠㅠ
어떻게 <브로커>를 감독 최고작 <어느 가족>과 비교할 수 있겠냐는 의견도 보긴 했었는데
<어느 가족>을 다시 보니까 <브로커>로 할 말을 하겠다는 의도로 보이더라구요...
그래서 지금까지 코레에다 감독님 아역 연기는 날것(?)
아이 그대로의 느낌이 있었는데
이번에는 아역이 제일 연기 잘한다 vs 너무 청산유수라 그 나이대에 안 맞고 부자연스럽다
의견이 엇갈리기도 하죠
개인적으로는 이것도 한국 드라마 느낌이 아닐까 싶었는데요😂

후기 잘 봤습니다.

확실히 그 대사 부분은 감독이 꼭 하고 싶었던 이야기였던거 같네요. 뭔가 의지마저 느껴지는 부분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