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한국 철수하면 영상 속도나 화질 문제 없나요?

아무래도 넷플릭스가 저토록 강수를 둔것 보니 한국 철수도 염두에 두고 있는것 같네요
꿀이 흐르는 한국 컨텐츠 포기할리는 없으니 한국 컨텐츠 제작 스튜디오 하우스는 국내에 유지할것 같고
만약 한국시장에서 철수하면 결국 아마존프라임 처럼 서비스할것 같은데
그래도 영상 속도나 품질 문제 없을까요???
사전심의제는 적용 안받으니 그것 하난 좋을듯 하네요
추천인 4
댓글 12
댓글 쓰기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자세한 익무 규칙은 여길 클릭하세요

해외망이 좋지 읺은 이통사를 이용하거나 지역 케이블 인터넷 사업자망을 이용하면 화질이 엄청 떨어지겠죠. 해외망에민 의존하던 국내 진출 초기엔 KT 빼곤 모두 화질 인 좋고 버퍼링 오래 걸렸고, KT애서도 시간이 지날수록 화질 저하 발생한 경우도 있거든요. 해외망 케이블 사고라도 나면 서비스 먹통되고요. 유플러스가 한 몇 개월 그랬던 적 있어요. 해저망 절단 사고로 시청 불가할 수준이었어요. 4K는 딩연히 꿈도 못 꿀테고요. 이통사에서 해외망은 대역폭 제한 걸 수 있는 걸로 알아요.

hbo max 얼른 국내 진출하길

밍이용료라는 게 정액제가 아니라 가입자가 많고 가입자당 시청시간이 길어질수록 그만큼 망이용료가 비례해서 증가합니다. 그렇다면 디즈니에 서버를 임대해준 업체가 이통사에 지불할 금액이 증가하고 그 증가한 비용만큼을 다시 서버 업체가 디즈니에 청구하겠죠. 그 비용이 나날이 증가하면 어떤 입장을 취하게 될지는 모를 일입니다. HBO max도 마찬가지일텐데, 한국은 망이용료가 엄청나네? 이렇게 되어버리면 직접 진출에 대해 고민할 것 같아요. 서버를 임대헤서 서비스해야 하는 디즈니나 HBO도 결국 청구서를 받아들면 고민에 빠질 거에요.
그렇다고 해서 그 증가한 망이용료 비용 일체를 서버 업체가 온전히 감당하려 하지도 않을 테구요.
맘만 먹으면 망이용료 부과 하나만으로 외국계 OTT를 다 몰아낼 수 있긴 하죸

흠...그렇군요
뭔가 정치적인 상황으로 보이네요
타 서비스들도
한국에서 서비스 안정화시키고
국내 컨텐츠 제작 스튜디오 설립한 후
어느시점에서 한국 지점 폐쇄 수순으로 갈수도 있겠네요
그게 아니면 통신사중 문제없는곳으로만 계속 서비스 하거나?
뭐가 되었건 선택지가 줄어들면 소비자들도 불만이 커질텐데 앞으로의 결과가 궁금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