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영 감독의 4.3 영화 '내 이름은' 촬영장 사진

스틸과 보도자료입니다.
4·3영화 <내 이름은>은 ‘정순’과 ‘영옥’이라는 이름을 고리로, 1948년 제주4·3으로 인한 상처가 1980년대 민주화 과정의 격랑과 진통을 거쳐 1998년에 이르러 그 모습을 드러내고, 2024년 오늘 어떤 의미로 미래 세대와 연결되는가를 찾아가는 작품이다. 제주4·3 평화재단과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가 공동으로 주최한 4·3영화 시나리오 공모전 당선작이다.
<부러진 화살>과 <블랙머니>, <소년들>로 우리 사회 기득권의 부조리함을 고발하며 관객과 함께 호흡해온 정지영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영화 <시민덕희>와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더 글로리>, <마스크 걸> 등 여성 캐릭터의 폭을 넓혀온 염혜란 배우가 제주4·3의 아픔을 간직한 정순 역을 연기한다.
<내 이름은>은 베테랑 감독과 작가가 오랜 시간을 공들인 시나리오와 제작비 최소화를 위한 최적화 작업, 그리고 도민사회의 전폭적 지원이 힘을 발휘해 지난달 3일 크랭크인 이후 두 달 가까이 이르며 3분의 2가량 촬영이 이뤄졌다.
의료법인 연강의료재단 연강병원은 주인공 정순이 4·3의 기억을 찾아가는 병원 상담 장면을 위해 장소를 무료 제공했다. 강지언 이사장은 많은 분들이 후원에 참여하기를 기대하며 솔선수범의 의미로 앞장서 1천만 원의 후원금을 쾌척했다.
서귀포시 표선면에 소재한 제주민속촌은 영화 속 4·3의 중심인 마을 장면을 위한 장소를 무상으로 제공했다. 이곳은 1890년대 배경의 옛날 제주가옥들이 원형 그대로 보존돼 있어 4·3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담아내기엔 적합한 곳으로 평가받는다. 제주민속촌 김현욱 상무는 “최근 제주도의 로케이션 유치 활성화 노력에 동참한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또,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촬영지로 유명한 제주시 오라2동 소재의 관광지인 오라동메밀밭도 장소를 협조했다. 문성욱 대표는 이곳은 작품 속 주요 장면을 위해 제작진과 협의해 1년 전부터 배경에 필요한 청보리를 심었고, 촬영 장비가 들어갈 수 있는 진입로를 직접 조성하고 소요된 경비 5백여만 원을 후원으로 지원했다.
조천리 조천포구와 신흥리의 마을 이장, 선주회장, 어촌계장 등의 협조로 10여대 선박의 촬영과 각종 장소와 편의를 폭넓게 제공받았다. 이 밖에도 제주 곳곳의 촬영장소에서 뜻하지 않은 크고 작은 도움과 편의는 촬영팀에게 4.3에 대한 각별한 의미를 되새기게 만들었다.
이에 정지영 감독은 “재미있는 작품을 만들어 사람들이 4·3이 무엇인지 스스로 찾아보고, 알게 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면서 “영화 <내 이름은>이 4·3의 진정한 이름을 찾는 시작점이 되길 바란다”고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했다.
영화 <내 이름은>은 우리 질곡의 현대사를 관통하는 아픈 통한의 역사인 제주4·3의 ‘이름 찾기’를 화두로 삼는다. 제주4·3의 제대로 된 이름을 찾고자, 텀블벅 크라우드 펀딩으로 10억 원이 넘는 모금액을 모았다. 제작비 30억 원을 달성하기 위해 <내 이름은>의 공식 홈페이지(https://mynameis-film.co.kr/)로 관객들이 후원에 동참할 수 있도록 진행 중이다.
영화 <내 이름은>은 6월까지 촬영을 예정하고, 2026년 4·3 주간 개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지영 감독님 영화가 늘 그렇듯 이번에도 잘 뽑혔음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