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박스, 롯데시네마 합병 MOU
메가박스-롯데시네마 손잡는다…‘위기’ 영화산업 재편되나
롯데그룹과 중앙그룹은 영화관 운영 및 영화 투자·배급 사업을 영위 중인 롯데컬처웍스와 메가박스중앙의 합병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현재 롯데그룹의 롯데쇼핑이 롯데컬처웍스의 지분 86.37%, 중앙그룹의 콘텐트리중앙이 메가박스중앙의 지분 95.98%를 보유하고 있다. 합작 법인은 양사가 공동 경영하게 된다.
양사는 신규 투자 유치 및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 결합 심사를 최대한 신속하게 진행할 예정이다.
메가박스중앙은 메가박스(영화관)와 플러스엠엔터테인먼트(투자배급사), 플레이타임중앙(실내 키즈 테마파크), 롯데컬처웍스는 롯데시네마(영화관)와 롯데엔터테인먼트(투자배급사), 샤롯데씨어터(극장) 등을 운영하고 있다. 영화관 수만 보면 롯데시네마가 133개, 메가박스가 121개다.
이번 결정은 최근 어려움에 직면한 영화산업에서 돌파구를 찾기 위한 결정으로 보인다.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순제작비 30억원 이상의 한국 상업영화는 팬데믹 이전인 2019년 45편이 개봉했으나 이듬해 25편, 2021년 17편으로 50% 이상 감소했다. 지난해 영화시장 전체 매출액은 1조1945억원으로 2022년(1조7064억 원)과 비교해 5000억원 넘게 감소했다. 지난해 상업영화 37편 중 손익분기점을 넘긴 영화는 10편에 불과했다. 극장 관객 수도 지난해 1억2313만 명으로 코로나 이전(2019년 2억2668만 명)의 절반 수준이다.
양사는 합병을 통해 기존 극장 및 영화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신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운영 노하우와 마케팅 역량 등을 통합해 시너지를 창출하는 한편, 중복된 투자나 비용을 줄여 수익성을 개선한다.
더불어 적극적인 신규 투자유치를 통해 재무건전성을 높인다. 확보된 재원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와 차별화된 특별관을 확대해 고객 서비스의 질을 높여 나갈 방침이다.
또한 각 사에서 확보한 지식재산권(IP)과 축적된 제작 노하우를 활용해 양질의 신규 콘텐츠 투자를 강화하고, 개선된 수익을 시장 활성화를 위해 다각도로 재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한다는 것이 목표다.
이번 합병으로 영화산업의 경쟁구도를 완화해 산업 안정화에 기여하고, 상영 배정 편중을 해소해 국 영화 다양성 확보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롯데와 중앙은 “이번 MOU는 급변하는 콘텐츠 산업 환경 속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고, 고객 중심의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이라며 “콘텐츠 다양성 확대, 관객 서비스 개선 등 영화산업 생태계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1
댓글 쓰기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자세한 익무 규칙은 여길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