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크모드
  • 목록
  • 아래로
  • 위로
  • 댓글 9
  • 쓰기
  • 검색

'오펜하이머'를 보는 가장 좋은 8가지 방법

golgo golgo
29977 10 9

포브스지 기사입니다.

https://www.forbes.com/sites/bennyhareven/2023/07/14/the-top-8-best-ways-to-see-oppenheimer--and-why-imax-1570-is-the-winner/

 

<오펜하이머>를 보는 가장 좋은 8가지 방법과 IMAX 15/70이 승자인 이유

 

ilsoriwz9t0vj6o31zco.webp.jpg

 

 

(서문 생략)


2008년 <다크 나이트> 이후 놀란은 IMAX 포맷의 비공식 홍보대사가 되었다. 그는 비 다큐멘터리 영화에 필름 카메라를 사용한 최초의 감독으로, <다크 나이트>에서 28분 분량의 영상을 IMAX 필름 카메라로 촬영했으며, 이후 모든 영화에서 IMAX 필름 카메라를 사용했다. <오펜하이머>는 IMAX의 한계를 계속해서 넓혀가고 있으며, IMAX사와 협력하여 최초로 흑백 IMAX 필름을 제작하기도 했다.


<오펜하이머>는 IMAX 필름 카메라와 65mm 대형 포맷 필름을 혼합하여 촬영했으며, 말 그대로 IMAX 필름의 한계를 다시 한 번 뛰어넘었다. 러닝타임이 3시간에 달하는 이 영화는 IMAX 영화 중 가장 긴 영화로, 그 자체로 기술적 위업이다. 2014년 개봉한 <인터스텔라>의 러닝타임 2시간 49분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필름을 담는 플래터(platter)를 넓히는 IMAX가 필요했다. 이제 놀란은 또다시 그 일을 해냈다. 놀란은 콜라이더와의 인터뷰에서 “저는 그들(※IMAX인 듯)에게 가서 ‘좋아요. 여기 180페이지 분량의 각본이 있습니다. 딱 3시간짜리죠. 가능할까요?’라고 말했습니다. 우리가 살펴봤고, 그들은 플래터를 살펴본 후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플래터를 고정하는 지지대가 딱 맞닿아있기 때문에 그것이 절대적인 한계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저는 이것이 IMAX 필름 프린트 러닝타임의 외적 한계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IMAX 필름의 특별한 점을 간단히 살펴보겠다. 


오늘날 대부분의 영화들은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거나 필름으로 촬영하는 경우 35mm로 찍는다. IMAX 15/70 필름 프레임은 상당히 크다. 15라는 숫자는 각 프레임에 구멍이 15개 뚫려 있음을 의미하고, 이 구멍은 필름이 영사기를 통과할 때 필름을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70은 프레임의 높이가 70mm라는 뜻이다. 이는 구멍이 5개만 뚫려 있는 일반 70mm 또는 35mm 필름과 비교된다. (IMAX 필름은 영사기를 수평으로 통과하므로 구멍들이 상단에 있는 반면 다른 포맷은 수직으로 통과한다). 따라서 IMAX 15/70 프레임은 35mm보다 8.3배, 70mm보다 3.4배 더 크며, 그 결과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고화질을 보여준다.

 

01.webp.jpg

<덩케르크>의 IMAX 15/70 필름


이 대형 프레임은 훨씬 더 우수하게 디테일을 포착하므로, 더 풍부한 색상과 뛰어난 명암 대비를 제공한다. 최고 해상도의 디지털 시네마 카메라에는 8K 센서가 탑재되어 있으며 디지털 영사기의 최대 해상도는 4K이지만, 일부에서는 IMAX 필름의 해상도를 16K에 맞먹는 것으로 추정한다. 


크리스토퍼 놀란 본인이 IMAX 15/70에 대해서 “지금까지 고안된 최고 품질의 영상 포맷으로, 이미지에 대한 놀라운 몰입감을 선사합니다. 투명도, 선명도에서 최적의 기준입니다.”라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순수 IMAX 필름의 화면비는 1.43:1(높이 1미터당 가로 1.43미터)로 전통적인 와이드스크린 영화보다 이미지가 훨씬 더 크다. IMAX 1.43 시퀀스의 경우 바닥부터 천장까지 거대한 스크린을 가득 채우는 가능한 가장 큰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관객의 주변 시야를 가득 채우면서 숨 막히게 한다.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IMAX 영화관에서는 IMAX 15/70을 상영할 수 없다. 70mm IMAX 필름 영사기와 1.43:1 스크린이 필수이기 때문이다. 그 두 가지를 갖춘 곳은 점점 드물어지고 있으며, 전 세계 30개 극장에서만 오펜하이머를 이 궁극의 형식으로 상영 가능하다. (※글쓴이가 있는) 영국에서는 운 좋게도 맨체스터 프린트웍스, 런던 과학 박물관, 그리고 BFI IMAX, 세 곳이 거기에 포함된다. YMCinema에서 전 세계 30개 극장들 목록을 게시했다.


https://ymcinema.com/2023/06/05/oppenheimer-imax-70mm-screening-at-only-30-theaters-worldwide 
(※ 미국 19곳, 캐나다 6곳, 영국 3곳, 호주와 체코가 각각 1곳씩)

 

02.webp.jpg


놀란은 IMAX 15/70 필름으로 촬영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영화를 실제 IMAX 15/70 프린트로 찍어 전 세계에 배포하는 세계에서 유일한 감독이다. 필름 프린트를 제작하는 것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며, 특히 IMAX인 <오펜하이머> 프린트의 경우 무게가 600파운드(272kg)가 넘고, 풀어서 늘어트리면 길이가 11마일(17.7km)에 달하기 때문에 더더욱 그렇다. IMAX 포스트 프로덕션 책임자인 브루스 마코는 “우리는 모든 필름들의 품질을 일일이 관리하는데, 색상 등에 문제가 생기면 필름 한 릴을 다시 찍어야 합니다. 또 모든 프린트를 실시간으로 체크해야 해서 두어 달 길고 힘든 과정을 거칩니다.”라고 말했다. 


<오펜하이머>의 1.43:1 장면이 얼마나 많이 나올지 현재로선 알 수 없지만(공식 보도자료에는 “여러 시퀀스들”이라고 되어 있다.) IMAX가 풀 프레임으로 전환되는 순간은 항상 특별하다. 어떤 이들은 IMAX 풀 프레임이 거대한 액션 시퀀스에서만 가치가 있다고 주장할지 모르지만, 저명한 평론가 마크 커모드는 다소 유치한 홍보 영상에서 “IMAX와 같은 포맷으로 인간의 감정을 스크린에 담는다는 것은 정말, 정말 매혹적인 일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했다.


나머지 포맷 중 최고


안타깝게도 IMAX 15/70 스크린을 이용할 수 없다면, 차선책으로 표준 70mm 필름 프린트나 35mm 필름 프린트로 보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식과 화면비로 상영하는 극장이 사는 지역에 있는 걸 확인해 보는 것이 좋은데, 필름으로 영사된 영화는 놀란 감독이 의도한 진정한 화질을 제공한다.


필름 옵션이 없는 경우 디지털 영사 형식이긴 하지만 IMAX로 다시 돌아간다. 이들 모두 1.90:1 화면 비율의 스크린을 사용하므로 1.43:1의 장점을 다 누리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일반 극장 스크린보다는 더 크다. 그런데 이 형식 역시도 모두 같은 것은 아니다. 듀얼 레이저 영사기가 있는 스크린이 가장 좋으며(런던의 시네월드 레스터 스퀘어, ※한국의 용산 IMAX(1.43:1)), 그렇지 않을 경우 싱글 레이저 시스템으로는 불가피하게 화면이 작아질 수밖에 없다. 내가 사는 지역의 멀티플렉스에서 이 시스템을 제공하며 화질과 사운드의 품질이 아주 좋다. IMAX 레이저 시스템은 12채널 사운드를 지원하므로 원자폭탄이 터지는 듯한 웅장한 사운드 디자인도 즐길 수 있다.


그 다음에는 제논 영사기와 6채널 사운드를 이용하는 여타 IMAX 디지털 스크린이 있다.


놀란의 IMAX에 대한 집착을 고려할 때, 차선책으로 돌비 시네마를 택할 수도 있다. 최대 108니트 밝기의 선명한 4K 이미지를, 영사기 스크린으로 볼 수 있는 최고의 색상 및 명암비로 제공한다.


다음 선택은 4K 영사기와 돌비 애트모스 사운드를 결합한 여타 프리미엄 대형 스크린이다. 이 스크린의 화면비는 2.2:1로, 1.85:1 스크린 안에서 확대되어 역사기로 가능한 이미지 품질을 최대한 활용한다. 미국에서는 리갈 RPX, 시네마크 XD 또는 시네플렉스 울트라AVX와 같은 극장 체인 브랜드 이름으로 제공되며, 영국에서는 엠파이어 임팩트, 오데온 아이센스 또는 시네월드 슈퍼스크린이 여기에 해당된다.


스크린X나 4D와 같은 "기믹" 형식은 당연히 언급하지 않겠는데, 그것은 맨 아래에 있는 2K 해상도의 일반 2D 스크린에 해당된다. 이것은 프리미엄 포맷은 아니지만 티켓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올해 최고의 시네마틱 이벤트에 걸맞게(물론 <바비>는 제외) 집에서 보는 것보다는 훨씬 낫다.

 

 

요약으로, 내가 선호하는 순서대로 목록을 정리해 봤다.


1. IMAX 70mm: 15/70 필름 상영. 화면비는 1.43:1
2. 70mm 필름: 5/70
3. 35mm 필름: 35mm 아나모픽 필름
4. IMAX 레이저: 1.90:1 (일부에서는 1.43:1 듀얼 레이저)
5. IMAX 제논: 1.90:1
6. 돌비 시네마: 최대 108니트의 전체 화면 밝기
7. 4K 디지털 시네마: 대형 포맷, 돌비 애트모스 사운드
8. 2K 디지털 시네마: 집에서 보는 것보다는 나음.
 

golgo golgo
90 Lv. 4134784/4500000P


익스트림무비 스탭
영화, 영상물 번역 / 블루레이, DVD 제작
영화 관련 보도자료 환영합니다 email: cbtblue@naver.com

신고공유스크랩

추천인 10

  • 순하다
    순하다
  • 천둥의신
    천둥의신
  • Hide
    Hide
  • SOON_CINE
    SOON_CINE
  • 클로니
    클로니

  • 메가박스창원
  • blond
    blond
  • 침대는생명과학
    침대는생명과학

  • 필름매니아

댓글 9

댓글 쓰기
추천+댓글을 달면 포인트가 더 올라갑니다
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자세한 익무 규칙은 여길 클릭하세요
profile image
golgo 작성자
침대는생명과학

화면 작은 것 빼곤, 화질 자체와 사운드는 IMAX보다 돌비가 더 나을 거 같아요.

15:56
23.07.26.
2등
용아맥에서는 그러면 모든 장면이 1:1.43으로 나오는건가요?
16:01
23.07.26.
profile image
golgo 작성자
분노왕
본문에도 있다시피 전체는 아니죠.
16:01
23.07.26.
golgo
아하 ㅎ 모든시퀀스는 아니라는 말을 제대로 못봤네요 ㅎ
16:10
23.07.26.
profile image 3등
언젠가 저 30곳중에 한곳에서 꼭 봐보고 싶네요
16:16
23.07.26.
profile image
golgo 작성자
blond
점점 줄고 있다고 한다니 슬프네요..T_T
16:18
23.07.26.
profile image
개인적으로 어정쩡한 아이맥스에서 볼 바엔 돌비시네마가 더 좋더라구요.
아이맥스는 지점마다 편차가 너무 심해서 선호하는 편은 아닌데 화면비 때문에 고민되네요...
23:15
23.07.26.
profile image
golgo 작성자
SOON_CINE
화면비가 그렇긴 해요. 돌비도 그냥 1.90:1로 해주지 말입니다.
23:23
23.07.26.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HOT (약스포) 가위를 보고 1 스콜세지 스콜세지 2시간 전02:50 129
HOT <스머프: THE MOVIE> 예고편 1 카란 카란 5시간 전00:03 632
HOT 2025년 2월 6일 국내 박스오피스 golgo golgo 5시간 전00:01 698
HOT 미치에다 슌스케, 중국잡지 <나이트(KNIGHT)> 화보 1 손별이 손별이 7시간 전21:49 389
HOT 판빙빙, 패션잡지 <정품구물지남> 화보(홍콩영화 복고... 2 손별이 손별이 7시간 전21:45 453
HOT 7월 개봉하는 블록버스터 3종 3 taegyxl 8시간 전21:26 1222
HOT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 돌비 포스터 공개 2 시작 시작 8시간 전21:11 1267
HOT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 팝업스토어(용산 아이파크몰 ) 4 전단메니아 전단메니아 8시간 전20:52 856
HOT 발렌타인데이 중국개봉 영화 5편(화양연화, 캡틴 아메리카, ... 4 손별이 손별이 9시간 전19:41 478
HOT [넷플릭스] 최근 8일간 추가된 2025/02/05~2025/06/27 공개 ... 2 deskiya deskiya 10시간 전19:19 851
HOT 브로큰 및 퇴마록 간단히 8 하늘위로 10시간 전18:44 1165
HOT [고독한 미식가] 마츠시게 유타카, 유재석 만난다...'... 2 시작 시작 10시간 전18:39 856
HOT (업뎃) 루벤 외스틀룬드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이즈 다... 2 NeoSun NeoSun 12시간 전17:20 583
HOT <에일리언>시리즈는 역시 1(1979)이 최고인것 같아요 12 Balancist Balancist 12시간 전17:11 779
HOT '마이클' 디지털 코 포함 제작 예산 초과, 4시간 ... 2 NeoSun NeoSun 12시간 전17:02 687
HOT 한국에 온 고로상 6 카란 카란 12시간 전16:34 2095
HOT <간니발> 새로운 캐릭터 예고 영상 5 카란 카란 14시간 전15:30 923
HOT <서브스턴스> 40만 관객 돌파 3 넷플마니아 넷플마니아 14시간 전15:15 843
HOT 주윤발 신작 '당탐 1900' 로튼토마토 리뷰 2 golgo golgo 14시간 전15:12 717
HOT '검은 수녀들' 로튼토마토 리뷰 2개 2 golgo golgo 14시간 전14:55 1063
1165840
image
스콜세지 스콜세지 2시간 전02:50 129
1165839
image
NeoSun NeoSun 4시간 전00:54 394
1165838
image
hera7067 hera7067 5시간 전00:16 155
1165837
normal
기다리는자 5시간 전00:11 287
1165836
normal
카란 카란 5시간 전00:03 632
1165835
image
golgo golgo 5시간 전00:01 698
1165834
image
hera7067 hera7067 5시간 전23:51 208
1165833
image
hera7067 hera7067 5시간 전23:42 325
1165832
image
선우 선우 5시간 전23:33 410
1165831
image
시작 시작 6시간 전23:22 521
1165830
normal
선우 선우 6시간 전23:18 619
1165829
image
GI 6시간 전23:02 308
1165828
normal
울프맨 6시간 전22:44 511
1165827
normal
그레이트박 그레이트박 6시간 전22:43 191
1165826
image
hera7067 hera7067 7시간 전22:27 491
1165825
image
hera7067 hera7067 7시간 전22:25 349
1165824
image
hera7067 hera7067 7시간 전22:22 227
1165823
image
손별이 손별이 7시간 전21:49 389
1165822
image
손별이 손별이 7시간 전21:45 453
1165821
image
taegyxl 8시간 전21:26 1222
1165820
image
시작 시작 8시간 전21:11 1267
1165819
image
전단메니아 전단메니아 8시간 전21:11 748
1165818
image
전단메니아 전단메니아 8시간 전20:52 856
1165817
image
전단메니아 전단메니아 8시간 전20:38 530
1165816
image
쾌남홍길동 9시간 전20:24 328
1165815
image
울프맨 9시간 전20:24 410
1165814
image
쾌남홍길동 9시간 전19:54 228
1165813
image
e260 e260 9시간 전19:53 231
1165812
image
e260 e260 9시간 전19:52 434
1165811
image
e260 e260 9시간 전19:52 430
1165810
normal
방랑야인 방랑야인 9시간 전19:42 406
1165809
image
손별이 손별이 9시간 전19:41 478
1165808
normal
전단메니아 전단메니아 9시간 전19:34 337
1165807
image
쾌남홍길동 9시간 전19:32 245
1165806
image
RandyCunningham RandyCunningham 10시간 전19:21 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