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연출 공부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꿈나무
17278 6 7
안녕하세요 영화/드라마 감독이 목표인 17살 학생입니다
제목 그대로 영화나 연출 공부를 어떻게 해야할지가 막막합니다
찾아보면 무조건 영화를 많이 보면 된다고 공통적으로 말씀하시던데
정말 그냥 좋아하는 영화 여러 영화 몇번이고 반복해서 돌려보고 그렇게 많은 영화를 접하면 되는걸까요?
망망대해에 놓여진 기분이라 약간 불안합니다ㅋㅋㅋㅋ.....ㅠㅠ
꿈나무
추천인 6
댓글 7
댓글 쓰기추천+댓글을 달면 포인트가 더 올라갑니다
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자세한 익무 규칙은 여길 클릭하세요
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자세한 익무 규칙은 여길 클릭하세요
1등
11:03
22.01.11.

https://youtube.com/c/SkimOnWest
이 분이 픽사 애니메이션 연출가 이신데 한 번 참고해보셔요~ 이 분 진짜 대단한 분이세요! 한 번 보시면 알아요
먼저 영화의 촬영기법과 연출에 대한 기본을 확실히 공부하시고 그 다음에 영화를 보시면서 여기선 이런게 사용되었구나하고 스스로 공부하는 것도 나뿌지 않아요!
직접 카메라를 들고 할 수 있는 선에서 촬영을 해보는 것도 좋구요! (뭐든지 직접 해보는게 제일 빠르고 좋은 것 같아여. 글고 ...우린 돈이 없기때문에 엄청 좋은 걸가져야만 이걸 할 수 있다라고 생각하기보다는 내가 할 수 있는 여건에서 어떻게 최대한의 것을 만들 수 있을까 하고 연구하는 것도 좋아요! )유튜브나 인터넷에 많이 나와여
열공하세여! 😆😆😆😆
(멋있어요
11:05
22.01.11.

루이스 자네티의 '영화의 이해'가 영화 공부할 때는 '수학의 정석' 같은 스테디셀러일 거예요ㅋㅋ 한번 구해다 읽어보셔요
11:07
22.01.11.

17살이신데 급할 것도 없고 기초부터 차근차근 하는게 가장 중요하고요, 그 기초의 첫 번째가 최대한 많은 영화를 보는 것이죠. 그리고 영화 관련 비문학 서적들 찾아 읽고 하시면서 기초 이론에 대한 윤곽을 만드시면 되는데요, 중요한 건 이런 서적들에서 이론을 다룰 때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로 특정영화를 든다는거죠.
<예: 하이앵글 카메라 기법에 대해 설명할 때 박찬욱의 친절한 금자씨 마지막 장면에 대해 얘기함>
근데 님이 친절한 금자씨를 본 적이 없으면 그 예시를 보고도 무슨 말인지 정확히 이해할 수 있을까요?
그러니까 이론 서적도 서적이지만, 서적의 내용을 이해하려면 우선 먼저 많은 양의 데이터베이스가 자신 안에 있어야 합니다. 그러니 영화를 일단 최대한 많이 보세요.
<예: 하이앵글 카메라 기법에 대해 설명할 때 박찬욱의 친절한 금자씨 마지막 장면에 대해 얘기함>
근데 님이 친절한 금자씨를 본 적이 없으면 그 예시를 보고도 무슨 말인지 정확히 이해할 수 있을까요?
그러니까 이론 서적도 서적이지만, 서적의 내용을 이해하려면 우선 먼저 많은 양의 데이터베이스가 자신 안에 있어야 합니다. 그러니 영화를 일단 최대한 많이 보세요.
11:09
22.01.11.

스토리텔러가 되고싶으시다면 본인이 어떤 이야기를 좋아하고 말하고싶은지, 자신의 이야기 취향을 아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영화 볼때도 그냥 감상만하는게 아니라 개인적으로 좋았던 씬의 카메라 구도는 어땠는지, 조명과 음향은 어떻게 디자인 되었는지, 연기 디렉팅은 어땠을것 같은지 등등 기술적인 부분들을 고민해보시는게 좋을것같습니다. 영화를 많이 보는것도 좋지만 그 외 다양한 문화생활을 하셔서 영감을 얻는걸 추천해드립니다. 영화가 좋다고 영화 안에서만 놀면 시야가 좁아지기 마련이라고 생각하거든요. 특히 언젠가 단편이든 장편인든 본인의 시나리오를 돌릴 날이 올텐데, 좋아하는 영화들의 각본을 찾아 읽어보시고 짧은 이야기를 쓰는것부터 해보시는게 어떨까요?
영화 볼때도 그냥 감상만하는게 아니라 개인적으로 좋았던 씬의 카메라 구도는 어땠는지, 조명과 음향은 어떻게 디자인 되었는지, 연기 디렉팅은 어땠을것 같은지 등등 기술적인 부분들을 고민해보시는게 좋을것같습니다. 영화를 많이 보는것도 좋지만 그 외 다양한 문화생활을 하셔서 영감을 얻는걸 추천해드립니다. 영화가 좋다고 영화 안에서만 놀면 시야가 좁아지기 마련이라고 생각하거든요. 특히 언젠가 단편이든 장편인든 본인의 시나리오를 돌릴 날이 올텐데, 좋아하는 영화들의 각본을 찾아 읽어보시고 짧은 이야기를 쓰는것부터 해보시는게 어떨까요?
11:09
22.01.11.

기술적인 것보단 영화 많이 보시고, 소설 많이 읽는 게 좋다고 봅니다. 기술적인 건 나중에 고민하셔도...
11:22
22.01.11.
영화 공부만 하는 친구들 많이 봤는데 하나같이 양산형 영화 스타일의 깊이 없는 영화만 만들더군요. 본인의 내적 깊이를 쌓아나가는 것이 중요할 겁니다.
12:27
22.01.11.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지금은 틈틈이 기본적인 부분만 공부하시고, 여러 영화보면서 영화에 어떤 연출이 인상적이었는지 정리하는 부분부터 하셔도 될 것 같아요. 성적 관리하셔서 관련 학과 있는 대학교 준비한다는 마인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