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크모드
  • 목록
  • 아래로
  • 위로
  • 댓글 39
  • 쓰기
  • 검색

일본에서 분석한 '오징어 게임'의 대성공 요인

golgo golgo
39799 62 39

일본의 저널리스트 마츠타니 소이치로의 기사인데...

굉장히 좋은 내용이라 읽고서 감탄했고, 다른 분들도 보시면 좋을 것 같아서 옮겨봤습니다.^^

 

제가 보기에 한국서 이 정도로 장르를 이해하고 분석한 기사는 거의 못본 것 같아요.

원문은 아래입니다.

https://news.yahoo.co.jp/byline/soichiromatsutani/20210930-00260704

 

 

<오징어 게임>은 데스게임을 ‘무겁게’ 그렸다
한국판 <카이지>가 넷플릭스 세계 1위의 대히트

 

 

012101.jpg

 

7일 연속 전 세계 1위


9월 17일부터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한국 드라마 <오징어 게임>(전9화)이 전 세계적으로 대히트를 기록하고 있다.


독자적으로 세계 각국의 순위를 포인트화 하여 정리하는 ‘Flix Patrol’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부문에서 9월 23일부터 29일까지 7일 연속으로 세계 1위(유지 중)를 기록했다. (Top Movies and TV Shows on Netflix in September, 2021 by day) 일본에서도 22일 이후 계속 1위를 유지하고 있다. 비영어권 작품이 이렇게 전 세계적인 히트를 기록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오징어 게임>이라는 얼핏 보기에 우스꽝스러운 제목이지만, 그 내용은 소위 말하는 ‘데스게임’물이다. 주인공이 인위적인 게임에 휘말리고, 거기서 생사를 건 승부에 도전하는 장르의 작품이다.


이 <오징어 게임>은 영화로도 만들어진 후쿠모토 노부유키의 만화 <(도박묵시록)카이지> 시리즈와 비슷한 설정이다. 하지만 이 작품은 인간 드라마의 요소를 강화시킨 결과, 기존의 데스게임 장르에서는 쉽게 볼 수 없었던 독특한 ‘무게’로 인해, 전 세계에서 어필하고 있다.

 


죽음의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주인공 성기훈(이정재)은 빚을 지고서 도박으로 일확천금을 노리는 별 볼일 없는 중년 남자다. 아내와는 이혼했고 자식과도 헤어져서 살고 있다. 그런 그가 어느 날, 지하철역에서 만난 한 남자로부터 수수께끼의 전화번호를 건네받는다. 그것은 거금을 손에 쥘 수 있는 게임의 초대장이었다.


약속 장소에서 자동차를 탄 뒤 수면 가스를 들여 마시고, 어느새 끌려간 곳은 복면을 쓴 인물이 관리하는 수수께끼의 공간이다. 모두들 녹색 운동복을 입은 상태였는데, 그 중 기훈은 456번이라는 번호를 부여받는다.


첫 번째로 진행되는 게임은 ‘달마가 굴렀다’(한국에선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일본인들에게도 친숙한, 술래가 뒤돌아 본 순간에 움직이면 아웃되는 놀이다.


하지만 단순한 애들 놀이와는 다르게, 아웃된 순간 총에 맞아 사살된다. 기훈은 그런 식으로 데스게임에 휘말리게 된다.

 

02.jpeg

가운데 주인공 성기훈(이정재), 왼쪽은 그의 소꿉친구 상우(박해수), 우측은 탈북자 새벽(정호연)


‘가벼운’ 게임을 ‘무겁게’ 그리다


소설, 영화, 만화, 드라마, 게임 등 데스게임은 지난 40년 동안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히트를 치면서, 표현 장르를 넘어 서로 영향을 주면서 전개되어 왔다.


하지만 한국에선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다. 한국산 게임 <PUBG: 배틀그라운드>가 세계적으로 히트치기도 했지만, 영상물로는 일본의 <라이어 게임>이 리메이크된 정도였고, 그 밖에 (한국산 데스게임물은) 별로 눈에 띄지 않았다. <오징어 게임>은 그런 가운데 갑자기 탄생한 작품이다.


설정은 후쿠모토 노부유키의 만화 <카이지> 시리즈와 비슷하지만, 접근법은 후카사쿠 킨지 감독이 영화로 만든 <배틀로얄>(2000)에 가깝다. <배틀로얄> 영화는 원작의 저변에 깔려있던 가벼운 분위기를 약화시키면서, 인간 드라마의 비중을 강화했다. 즉, ‘가벼운’ 게임을 ‘무겁게’ 그렸다. 그것은 <의리 없는 전쟁>을 연출했던 감독이 라이트노벨 같은 작품을 다루는 것으로 인한 화학반응이기도 했다.


<오징어 게임>은 소박한 게임들이어서 <카이지>와 같은 게임성의 묘미는 별로 없지만, 등장인물들을 탄탄하게 그림으로써, 인간 드라마로서의 깊이를 더했다. 서바이벌에서의 심리전은 등장인물들의 배경을 (시청자가) 인지하고 있기에, 무척 괴롭고 슬프고 아프게 느껴진다.


즉, <오징어 게임>도 ‘가벼운’ 게임을 ‘무겁게’ 그린 것이다.

 

03.jpeg

데스게임 외의 묘사가 많은 것도 <오징어 게임>의 특징이다.


데스게임 작품의 계보


데스게임 작품은 지난 20년간 엔터테인먼트의 중심에 있던 장르다. 1997년 개봉한 캐나다 영화 <큐브>와 1999년에 대히트한 타카미 코슌의 소설 <배틀로얄>을 계기로 전 세계에 퍼져나갔다. 


이런 유형의 작품은 1970년대 할리우드 영화, 그리고 일본의 (만화가) 테즈카 오사무의 <불새 생명편>(1980)에서도 찾을 수 있지만, 큰 영향을 끼친 것은 역시나 스티븐 킹의 소설이다. 그가 리처드 바크만이라는 필명으로 쓴 초기 작품 <롱 워크>(1979)와 <러닝맨>(1982)이 이후 다양한 변주 작품들을 이끌었다.


특히 타카미 코슌의 <배틀로얄>은 <롱 워크>에서 영감을 받아 집필된 소설이다. 중학생들이 서로 죽고 죽이는 내용을 담은 이 작품은, 이듬해 영화로 만들어졌고 훗날 미국의 소설, 영화 <헝거 게임> 시리즈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지금도 세계적으로 인기인 <배틀그라운드>(2017)와 <포트나이트>(2017)의 모델이 되기도 했다.


한편 일본에서는 만화의 세계에서 독자적인 데스게임을 발전시켜왔다. 후쿠모토 노부유키의 <도박묵시록 카이지>(1996)와 오쿠 히로야의 <간츠>(2000), 카이타니 시노부의 <라이어 게임>(2005), 카네시로 무네유키 원작, 후지무라 아케지가 그린 <신이 말하는 대로>(2011) 등, 약 5년 간격으로 히트 작품이 탄생하고 있다. 이 작품들은 나중에 모두 영상화되었고, 하나같이 대히트했다. 넷플릭스에서도 아소 하루의 만화 <아리스 인 보더랜드>(2010)를 작년 말에 드라마화하여 히트시킨 기억이 생생하다.

 

데스게임을 다룬 주요 영상 작품들
<죽음의 경주>(1975)
<롤러볼>(1975)
<러닝맨>(1987)
<쥬만지>(1995)
<큐브>(1997)
<퍼니 게임>(1997)
<배틀로얄>(2000)
<쏘우>(2004)
<자투라>(2005)
<라이어 게임>(2007)
<리얼 술래잡기>(2008)
<카이지>(2009)
<더 인사이트 밀: 7일간의 데스 게임>(2010)
<간츠>(2011)
<미래일기>(2012)
<소드아트 온라인>(2012)
<헝거 게임>(2012)
<인랑 게임>(2013)
<신이 말하는 대로>(2014)
<아리스 인 보더랜드>(2020)
<오징어 게임>(2021)

 


탈북자가 등장하는 데스게임


하지만 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한 이러한 데스게임 작품은 사회성과는 무관한 것들뿐이다. 주인공들 다수가 부조리하게 게임에 참가한다는 특징이 눈에 띈다. SF적 요소가 강한 작품이 많은 것도 그 때문이다.


이러한 히트작들 상당수는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적인 리얼리티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가벼움’을 지니고 있다. 설령 거기에 죽음이 그려져 있다고 해도, 대부분의 경우 심각성은 없어서, 그로 인한 ‘가벼움’이 좋은 의미에서든 나쁜 의미에서든 뒤틀린 매력을 발산하고 있다. 거기에 현실의 사회배경이 그려질 여지는 별로 없었다.


그에 비해 <오징어 게임>은 데스게임 공간에도 한국 사회를 제대로 반영시키고 있다.


그 대표적인 등장인물이 20대 여성 강새벽(배우 정호연)일 것이다. 그녀는 북한에서 온 탈북자다. 오징어 게임에 참여한 이유와 탈북 했을 때의 상황, 그리고 가족의 현재 모습 등이 단계적으로 밝혀진다. 


데스게임 설정에도 불구하고 <오징어 게임>에는 한국 사회가 강하게 투영돼 있다. 그 결과, 데스게임 그 자체가 무거운 현실로서 그려지고 있다.

 

04.jpeg

탈북자 강새벽. 연기한 배우 정호연은 SNS 팔로워 수가 수백만 단위로 증가했다고.


엔터테인먼트에서의 사회성


이러한 작품의 지향성은 아무래도 각본, 감독을 맡은 황동혁 때문일 것이다.


황동혁 감독은 원래부터 사회파였다. 데뷔작 <마이 파더>(2007)는 입양된 한국계 미국인이 친부를 찾는 이야기, 히트작이 된 <도가니>(2011)는 장애인 학교에서 벌어지는 학대를 고발하는 내용이었다. 이후 일본에서도 리메이크된 코미디 <수상한 그녀>(2014)와 대작 사극 <남한산성>(2017)으로 흥행 감독으로서의 입지를 굳힌다.


<오징어 게임>에선 그러한 필모그래피를 지닌 황감독의 사회파로서의 요소와 엔터테인먼트 요소가 균형 있게 짜여 있다.


2012년 <도가니>가 일본에 개봉됐을 때 필자는 엔터테인먼트에서 사회 문제를 다루는 것에 대해 황감독에게 질문했다. 그러자 다음과 같은 대답을 들었다.

 

“(전략) 강한 사회성은 어드밴티지이기도 합니다. 한국은 지정학적으로 세계정세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다른 선진국과 비교해서도 국민들이 정치와 사회에 대단히 높은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그런 문제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거죠. 당연히 영화를 보는 사람들도 민감해 하니까, 사회성을 내세우는 것이 상업성을 높이는 것으로도 이어집니다.”


이러한 과거 발언을 감안해 보면, 데스게임에 무리하게 사회성을 집어넣은 것이 아니라, 강한 사회의식이 반영되는 다른 한국영화나 드라마와 마찬가지로 데스게임 설정을 다루었다는 것이다.


일본을 중심으로 한 데스게임 작품에서 ‘가벼움’은 최고의 매력이라고도 할 수 있는 요소지만, <오징어 게임>은 ‘가벼운’ 게임을 ‘무겁게’ 그림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히트하게 됐다.


그것은 ‘인위적’인 요소를 계속 비틀면서 축소 재생산 경향을 보이던 데스게임‘을, ’있을 법‘하게 만든 결과 ’새로워진 고전‘이 되었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05.jpeg

 

 

golgo golgo
90 Lv. 4133360/4500000P


익스트림무비 스탭
영화, 영상물 번역 / 블루레이, DVD 제작
영화 관련 보도자료 환영합니다 email: cbtblue@naver.com

신고공유스크랩

추천인 62


  • xwe8wj19al
  • gyedo
    gyedo

  • 쯧쯧
  • FutureX
    FutureX
  • Emre
    Emre
  • 멜로디언
    멜로디언
  • 다람이
    다람이
  • 소울
    소울
  • 남자의심장
    남자의심장
  • 비상식량
    비상식량
  • 메가드라이브
    메가드라이브
  • 호호아저씨
    호호아저씨

  • MEGAB□X

  • 화이트라뗴
  • 레히
    레히
  • 오뜨
    오뜨
  • 파프리카
    파프리카
  • 누가5야?
    누가5야?
  • 영죽아
    영죽아

  • 1010011101
  • 차이닉
    차이닉
  • 픽팍
    픽팍
  • 무비김
    무비김
  • Cine_Dragon
    Cine_Dragon
  • sayhoya
    sayhoya
  • DMI
    DMI
  • 하파타카차
    하파타카차

  • 푸른연

  • miniRUA
  • 독대
    독대
  • 하이데
    하이데
  • nekotoro
    nekotoro
  • 스타니~^^v
    스타니~^^v
  • Martion
    Martion
  • Nashira
    Nashira

  • 아이아이아이아이이이이
  • 알폰소쿠아론
    알폰소쿠아론
  • 엘지트윈스1990
    엘지트윈스1990
  • A열중앙관객
    A열중앙관객
  • 나옹이_
    나옹이_

  • 조도루
  • raSpberRy
    raSpberRy

  • 아딜
  • 쿨스
    쿨스
  • zin
    zin

댓글 39

댓글 쓰기
추천+댓글을 달면 포인트가 더 올라갑니다
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자세한 익무 규칙은 여길 클릭하세요
profile image 1등
국책 산업이니 어쩌니 하는 이야기 빠지고 포인트 제대로 잘 잡아서 썼네요 ^^
12:43
21.09.30.
profile image
golgo 작성자
쿨스
어지간한 한국 찌라시 기사들보다 낫죠..^^
12:44
21.09.30.
profile image 2등

무겁게 그려야죠. 사람이 죽는데... 

'카이지' 언급 잘 했는데 그것도 일본의 포기한 젊은 세대와 빚이 만든 지옥도에서 출발한거 아니겠습니까.

12:48
21.09.30.
profile image
golgo 작성자
raSpberRy
카이지도 한국서 실사화했음 더 좋았을 거 같아요. 엉뚱하게 중국서 만들면서 괴상해졌는데...
12:49
21.09.30.
golgo
전 용과 같이 시리즈 한국에서 실사드라마로 만들어보면 좋겠습니다.
특히 이번 빛과 어둠의 행방이라는 작품이 현실적인 정치풍자나 빈곤문제, 극단주의 과격파 활동가 등등을 많이 다루고 비판하던데요.
22:43
21.09.30.
profile image
golgo 작성자
스테고ch
일본은 영상물보다 게임이 어떤 면에선 더 자유분방한 거 같네요.
22:43
21.09.30.
golgo
게임쪽은 자유분방하고 현실비판적인, 오락과 풍자를 겸하는 작품이 은근 많죠.
대표적으로 파이널판타지 7 있고, 코지마 감독의 메탈기어 솔리드와 데스스트랜딩, 용과같이 시리즈, 저지 아이즈 등등

역전재판 시리즈도 엔자이로 대표되는 일본 사법계의 문제점을 풍자한 작품으로 해석되구요.

RPG게임 중에선 페르소나 시리즈가 이런 류에서 가장 대표적이죠.
보스들이 아예 학생들을 학대하는 성과주의 체육교사, 악덕재벌, 인터넷 관심종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니까.
03:20
21.10.01.
'무겁게 그렸다' 에 평에 절대 공감합니다.ㅎ 전 오징어게임의 히트로 물론 인간 드라마도 있지만, 한국 특유의 '스릴러' 감이 세계에 저대로 먹혔다고 봅니다 . 이미 한드팬들에게 한국 스릴러 영화들의 작품성은 인정받았던 상태였구요.
13:02
21.09.30.
profile image
한국에서는 왜 이런 기사,칼럼이 없을까요? 많은 분들이 보셨으면 하는 좋은글입니다.
13:12
21.09.30.
profile image
golgo 작성자
엘지트윈스1990
전혀 엉뚱한 트집잡기 글 아님, 국뽕에 취한 글들 위주라 안타까웠는데 해외에서 좋은 글 보니 기분이 묘하더라고요.^^;
13:14
21.09.30.
profile image
golgo

golgo님 의견에 100% 공감 합니다.

 

제발 애국적으로 흡수하지 말고, '개인적인' 부분을 파고 들었으면 좋겠어요.

 

저도 관련해서 느낀 점을 말해보겠습니다.

 

수년간 봉준호 감독님에 관한 에세이를 작업중인 입장에서, 유튜브에 '봉준호'를 검색할 때 보다 'Bong Joon Ho'를 검색할 때 더욱 많은 깊이와 넓이를 얻게된다는 점에서 참 아이러니하더라고요.

 

즉, 한국인 유튜버들이나 온라인 활동을 겸하는 전문가들의 컨텐츠 보다, 해외 유튜버, 전문가들의 컨텐츠가 훨씬 퀄리티가 좋았습니다. (봉준호의 오랜팬이자 'BongHive'로서 가장 흥미롭고 습득이 많이 된 영상이 해외 영상들.) 국내 영상들은 이른바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볼 수 있는 컨텐츠를 고스란히 영상화 시킨 다음, 애국적으로 제작한 게 훤히 보이기 때문에 한마디로 오글거렸어요 ㅋㅋㅋ 

 

이것을 팬심으로 제작한 것이라면 유익한 컨텐츠이겠지만, 제목과 썸네일은 연구적이고 학술적인 느낌이 나게 온갖 유난은 다 떨어놓고, 클릭해보면 정작 전형적으로 현재 시류에 탑승하는 느낌이랄까요?

 

단언컨대, 이 영상들이 국내 영상들 보다 훨씬 깊이있고 넓습니다. (BongHive로서 장담 합니다.) 

 

 

 

 

 

훨씬 많은데, 댓글에는 이 영상들만 대표적으로 일단 올리겠습니다.

 

제발 자부심을 느껴주기 위한 흡수 기능으로 전락하지말고, 작품과 컨텐츠 '그 자체'에 집중하며 파고 들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렇지 않을거면 아예 대놓고 '덕질'하는 식으로 기사를 게재하던가요.

 

익무에서 영화로 다양하게 떠드는 사람으로서 앞으로 비평 맛집이 늘어났으면 좋겠고, 덕질도 하는 덕후로서는 덕질할 거면 대놓고 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야 원하는 글들을 찾아 클릭할테니까요.

14:10
21.09.30.
profile image
사회성을 오락에 적절히 버무려낼수만 있다면, 확실히 강력한 어드밴티지로 작용하는 것 같아요! 글 잘 읽었습니다😁
13:58
21.09.30.
하이데
https://realsound.jp/movie/2015/12/post-580.html
저 분은 예전에 <베테랑>도 비슷한 맥락으로 해석하셨네요.
살인의 추억, 베테랑, 기생충, 1987, 택시운전사, 남산의 부장들 등등 당장 생각나는 한국 블록버스터 대부분이 사회적이네.
03:23
21.10.01.
profile image

게임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그 게임을 하고 그 안에 '사람'이 있다는 것을 지점을 예리하게 포착했군요 :)

14:00
21.09.30.
profile image
일본은 참 분석에는 능한거같아요 ㅎㅎ 혐한적인 요소 빼고 객관적으로 쓴 분석들 보면 날카롭다고 느낄때가 있어요
14:11
21.09.30.
지붕고양이
관리자가 삭제한 댓글입니다.
14:14
21.09.30.
profile image
내용도 좋으면서 술술 읽히는 글이네요. 공유 감사합니다.
15:31
21.09.30.
profile image
golgo 작성자
Cine_Dragon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15:32
21.09.30.
좋은 글 감사합니다. 기자분 분석이 설득력있는 양질의 내용이네요
23:06
21.09.30.

다른 나라에서는 장르 안에 사회를 넣는 작품이 많이 없나? 궁금증이 드네요
우리나라에서만 너무 흔한건가...

12:35
21.10.01.
profile image
golgo 작성자
율은사랑
미국, 일본만 따졌을 때...
할리우드 장르 오락물의 사회 비판 요소는 한국보다 직접적이진 않고...10대 20대 취향에 주로 맞춰진 일본 오락 영화들에선 더더욱 드물고요. 사회 비판 요소 담긴 영화들이 관객들에게 큰 사랑 받는 한국은 특수한 케이스 같아요.
12:38
21.10.01.
profile image

사실 이런 장르 전문은 일본인데, 일본은 실사화만 했다 하면 오글 폭발이라 ㄷㄷㄷ

13:06
21.10.01.
profile image
수요일부터 보기 시작했는데 이제 7~9화만 남겨놓은 상황입니다.
좋은 글 올려주신 golgo님께 다시 한 번 감사 드립니다.
17:44
21.10.01.
profile image
golgo 작성자
FutureX
6화가 상당했죠. 나머지도 재밌게 보세요.^^
17:45
21.10.01.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HOT <귀멸의 칼날> 애니메이션에 대한 스기이 기사부로의 ... 2 중복걸리려나 27분 전20:48 222
HOT 최동훈의 이야기 1 영화를읽다 영화를읽다 35분 전20:40 233
HOT <나타지마동요해> 개봉 5일만에 30억 위안 돌파 2 손별이 손별이 36분 전20:39 165
HOT 담주 <런닝맨>에 출연하는 로버트 패틴슨 1 카란 카란 1시간 전20:00 525
HOT 데이비드 린치 감독의 멀홀랜드 드라이브 3 ivanovo 2시간 전18:56 556
HOT 잭 퀘이드 [노보케인] 4DX 포스터 공개 2 시작 시작 4시간 전17:13 777
HOT '오징어 게임'이 세계를 열광시킨 이유(일본 매체... 2 golgo golgo 4시간 전17:05 1307
HOT “긴다이치 고스케 걸작선” 특별 한정 합본판 1 Sonatine Sonatine 4시간 전16:45 601
HOT (약스포) 천장미 간호사 안하영 현실과 드라마속 온도차이 -... 2 NeoSun NeoSun 4시간 전16:17 953
HOT 말할수없는비밀 필마 / 아트카드 / 오티 / 스티 완성 3 카스미팬S 5시간 전16:08 449
HOT 소피 대처 ‘컴패니언’ 로튼 관객스코어 90% 1 NeoSun NeoSun 5시간 전16:00 644
HOT 크리스토퍼 놀란 오디세이 캐스팅 모음 5 호러블맨 호러블맨 5시간 전15:33 850
HOT 추영우X주지훈 일냈다…[중증외상센터] 9일째 15개국 1위→전... 4 시작 시작 6시간 전14:16 1523
HOT 간지나는 니콜라스 레이 3 Sonatine Sonatine 8시간 전13:07 1280
HOT 전 웨이브 코믹스 프로듀서 징역 6년 구형 3 GI 9시간 전11:46 1749
HOT 넷플릭스 <데몬 시티: 악귀 죽이기> 포스터 &예고 6 카란 카란 10시간 전10:46 2326
HOT <서브스턴스> 37만 관객 돌파 6 넷플마니아 넷플마니아 11시간 전10:08 1150
HOT 로버트 에거스, ‘노스페라투’ 비주얼 영향 준 팀 버튼 ‘배트... 1 NeoSun NeoSun 11시간 전10:05 1083
HOT 제이슨 스태덤, 데이빗 에이어 ‘어 워킹 맨’ 뉴 스틸 2 NeoSun NeoSun 11시간 전10:00 918
HOT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 손절한 아카데미 7 시작 시작 11시간 전09:41 2579
1165315
image
볼드모트 볼드모트 13분 전21:02 110
1165314
image
중복걸리려나 27분 전20:48 222
1165313
image
손별이 손별이 29분 전20:46 126
1165312
normal
영화를읽다 영화를읽다 35분 전20:40 233
1165311
image
손별이 손별이 36분 전20:39 165
1165310
image
e260 e260 53분 전20:22 118
1165309
image
e260 e260 54분 전20:21 111
1165308
image
e260 e260 54분 전20:21 106
1165307
normal
그레이트박 그레이트박 1시간 전20:03 69
1165306
image
카란 카란 1시간 전20:00 525
1165305
image
ivanovo 2시간 전18:56 556
1165304
image
시작 시작 4시간 전17:13 777
1165303
image
넷플마니아 넷플마니아 4시간 전17:13 386
1165302
image
golgo golgo 4시간 전17:05 1307
1165301
image
Sonatine Sonatine 4시간 전16:45 601
1165300
image
NeoSun NeoSun 4시간 전16:17 953
1165299
image
카스미팬S 5시간 전16:08 449
1165298
image
NeoSun NeoSun 5시간 전16:00 644
1165297
image
호러블맨 호러블맨 5시간 전15:59 561
1165296
image
호러블맨 호러블맨 5시간 전15:33 850
1165295
image
판자 6시간 전14:49 234
1165294
image
판자 6시간 전14:46 278
1165293
image
시작 시작 6시간 전14:16 1523
1165292
normal
처니리 처니리 7시간 전13:51 753
1165291
image
넷플마니아 넷플마니아 7시간 전13:39 484
1165290
image
Sonatine Sonatine 8시간 전13:07 1280
1165289
image
GI 9시간 전11:46 1749
1165288
image
NeoSun NeoSun 9시간 전11:18 519
1165287
image
카란 카란 10시간 전10:46 2326
1165286
image
NeoSun NeoSun 10시간 전10:33 537
1165285
image
넷플마니아 넷플마니아 11시간 전10:08 1150
1165284
image
넷플마니아 넷플마니아 11시간 전10:06 1346
1165283
image
NeoSun NeoSun 11시간 전10:05 1083
1165282
image
시작 시작 11시간 전10:04 761
1165281
image
NeoSun NeoSun 11시간 전10:00 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