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믹스커피' 많이 마시면 허리둘레 증가에 영향

'믹스커피' 많이 마시면 허리둘레 증가에 영향
커피믹스 한 봉지에 든 당류 함량 평균 5.7g
인스턴트 커피믹스의 섭취가 늘어날수록 특히 허리둘레와 혈중 중성지방 농도가 증가하는 등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대 식품영양학과 윤정미 교수팀이 2015년 7월부터 2016년 6월까지 광주의 한 병원을 방문한 건강검진 수진자 113명의 인스턴트 커피믹스 섭취량과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커피믹스의 섭취 횟수가 증가하면 공복 혈당과 혈중 중성지방 농도도 함께 높아졌다. 이는 커피믹스 섭취가 대사증후군의 발생 위험을 높일 수도 있다는 의미이지만 커피믹스와 대사증후군이 인과관계를 갖고 있다는 뜻은 아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하루에 1컵 이상 인스턴트 커피믹스를 섭취하면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인 혈중 중성지방 농도가 상승하는 연관성을 나타냈다”며 “특히 지방 섭취에 주의해야 할 사람은 커피믹스 섭취 빈도와 섭취량 조절 교육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커피믹스 등 인스턴트커피의 주원료는 커피원두ㆍ백설탕ㆍ원유 등이다. 당류 섭취에 기여하는 국내 백설탕의 소비 실태 조사 결과 커피류에서 5% 정도 사용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커피믹스엔 다량의 설탕이 들어 있으므로 정상적인 대사 조절을 위해 커피믹스 섭취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며 “여러 역학 연구를 통해 설탕이 든 음료의 과다 섭취는 혈중 지방 농도 증가와 인슐린 저항성ㆍ지방간ㆍ제2형 당뇨병ㆍ심혈관질환ㆍ대사증후군ㆍ복부 비만ㆍ고요산혈증의 발생 위험을 높아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에서 커피믹스 섭취와 공복혈당ㆍ허리둘레 등이 상관성을 보인 것은 커피믹스에 든 백설탕 등 당류의 과다 섭취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해석이다.
한국소비자원이 시판 중인 커피믹스 제품 12개의 당류 함량 표시를 조사한 결과 당류 함량은 커피믹스 1회 제공량(한 봉지, 약 12 g)당 4.9∼7g(평균 5.7 g)에 달했다. 커피믹스 한 봉지에 든 당류를 칼로리로 환산하면 22.8㎉ 수준이다.
연구팀은 국내에서 유통되는 인스턴트 커피믹스의 지방 함량이 7.7∼14%에 달하고 전체 지방 중에서 혈관 건강에 해로운 것으로 알려진 포화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이 99∼100%라는 사실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한국인이 많이 섭취하는 커피믹스 섭취량과 대사증후군의 발병 위험요인이 연관성을 보인다는 사실은 알게 됐지만 둘 사이에 인과 관계가 확인된 것은 아니며 연구대상자의 수가 적어 일반화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기술했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https://m.healthcaren.com/news/news_article_yong.jsp?mn_idx=189775
커피믹스 지방 함유량, 돼지고기 목살이나 삼겹살 수준
커피믹스에 들어 있는 지방 함유량이 돼지고기 목살이나 삼겹살 지방과 비슷한 수준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간편하고 저렴하게 커피를 마실 수 있어서 하루에 몇 봉지씩 커피믹스를 마시는 사람도 많다. 하지만 커피믹스를 마실 때 그 안에 든 지방이나 칼로리가 어느 정도인지 아는 사람은 적다.
서울대 식품영양학과 황금택 교수팀이 국내 시판 중인 커피 제품을 분석한 결과, 믹스 커피 지방 함유량은 돼지고기 삼겹살이나 목살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황 교수팀은 국내 시판 중인 커피 크리머 제품 14종류, 커피믹스 제품 11종류를 대상으로 지방․포화지방 함유량을 조사했다.
커피 크리머 제품 14종류의 지방 함유량은 15.4~28.5%였다. 그 중 1개 제품은 28.4%로 돼지고기 삼겹살 지방 함유 비율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9개 제품은 지방 함유량이 25%를 넘었다. 커피 믹스는 지방 함유량이 7.7%였던 제품 1개를 제외하고는 모두 9.5%를 넘어섰다. 9.5%면 돼지고기 목살 지방 함량보다 높다.
커피 믹스 안에 든 지방은 대부분 혈중 콜레스테롤을 높이는 포화지방으로 나타났다. 커피 크리머 제품 14개 중 12개는 전체 지방 중 포화지방 비율이 90%를 넘었다. 커피 믹스는 11개 제품 모두 99% 이상 포화지방이었다.
이번 연구결과는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되었다.
신장에 따라 bmi지수(★주2) 25~30 초과하시거나 대사증후군(★주1),
고혈압 당노 고지혈같은 성인병 등 기저질환 있으신 분들은 꼭 피하시길 추천드리고요
아직 저체중이고 마르신 분들은 하루 1잔 정도는 드셔도 될 듯 합니다.
★주1)
성인 중 ▷허리둘레 남성 90㎝, 여성 85㎝ 초과 ▷중성지방 150㎎/㎗ 이상 ▷HDL콜레스테롤 남성 40㎎/㎗, 여성 50㎎/㎗ 미만 ▷공복혈당 100㎎/㎗ 이상 ▷혈압 130㎜Hg/ 85㎜Hg 이상 중 세 가지 이상에 해당 할 때를 말한다.
★주2)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 자신의 몸무게(kg)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입니다
(예: 신장 170cm, 체중 70 kg인 사람의 체질량지수는 24.2 (70/1.702)로 비만이 아님) - 체지방량과 상관관계가 높아 체중 및 신장을 이용한 지수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 체질량지수와사망률 사이에는 J자나 U자모양의 관련성이 있으며, 체질량지수의 증가에 따라 비만 관련 질환들의 이환율도 증가하였습니다.
- 기준
-
세계보건기구
BMI ≥ 25 kg/m2 : 과체중
BMI ≥ 30 kg/m2 : 비만
-
세계보건기구 아시아태평양지역과 대한비만학회
BMI ≥ 23 kg/m2 : 과체중
BMI ≥ 25 kg/m2 : 비만
-
대한비만학회 비만 진료지침 2018
BMI 23-24.9 kg/m2 :비만 전 단계(과체중 or 위험체중)
BMI 25-29.9 kg/m2 :1단계비만
BMI 30-34.9 kg/m2 :2단계비만
BMI ≥ 35 kg/m2 :3단계비만(고도비만)
이러한 기준은 우리나라 성인에서 체질량지수에 따른 비만 관련 질환 증가가 체질량지수 25 kg/m2를 시점으로 1.5~2배로 증가하는데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
http://www.brainmedia.co.kr/m/media/view.aspx?contIdx=11014&menuCd=
추천인 8
댓글 17
댓글 쓰기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자세한 익무 규칙은 여길 클릭하세요


설탕을 섭취하려거든 믹스보단 차라리 케이크같은 디저트류가 낫죠.
그것도 많이 먹으면 안좋긴 마찬가지지만요.
저도 위염에 혈압 있어서 설탕은 피하려고 합니다.

믹스 커피 진작에 끊어서 ㅠ ㅜ... 속이 더부룩 하고 배에 가스가
지금은 원두커피와 아메리카노 마시고 있네요..

라떼 원츄요^^

대신 허리 굵어지는 건 책임 못집니다 ㅋ



카페인 중독자인데 1년정도를 믹스커피로 7잔전후를 먹으니 몸무게가 5킬로가량 늘었어요 ㅠㅠ
다른건 변화된게 없었으니 믹스의 영향이 큰건 확실하거든요 다행히 콜레스테롤은 정상유지해서...
그뒤로 인스턴트커피 먹을땐 카누나 g7 블랙만 왠만하면 아메벤티로 나눠 마십니다 ㅠ

최대한 물 많이 마시려고 요즘은 하루 1리터 이상 마시기 목표치를 정해두고 있어요ㅎㅎ


전 오래전부터 위염인데, 의사샘 말이 카페인보다 설탕이 더 위험하다고 당부하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