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멘 저주의 시작 스포 리뷰

오컬트 장르와 호러 장르를 꽤 좋아하는 1인이지만 오멘은 그동안 미루고 미루다가 어제야 관람을 했습니다.
1편은 1976년 작품임에도 올드한 느낌이 들지 않더군요. 다만 흐름적인 부분에서 살짝 아쉬움은 있었습니다. 이는 엑소시스트와도 비슷한 느낌이더군요. 그럼에도 두 작품 모두 뛰어나다는 건 분명합니다.
오멘의 경우 귀신이나 악령에 대해 시각적으로, 직접적으로 표현을 하지 않았음에도 그 분위기를 잘 사로잡았습니다. 특히 사운드 측면에서도요. 그래서 이런 사운드를 잘 이어 갈 수 있을까? 모방이만이라도 잘하면 다행이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서론이 길었네요. 오멘 저주의 시작 이야기를 시작해보겠습니다.
이 영화의 공포도는 개인적으로 그다지 높지 않습니다. 오히려 기괴함과 고어함이 더 높죠.
점프스케어를 사용하여 억지 공포를 유발하기 보다는 분위기를 통해 다양한 공포를 선사합니다.
앞서 말한 1편의 장점인 사운드도 이번 퍼스트 오멘에서 매우 잘 활용했다 생각합니다.
아니 정확히는 압도적이었습니다. 사운드의 활용이 정말 매우 뛰어났습니다. 감탄했고 엔딩크레딧 내내 울려퍼지는 노래 때문에 극장에서 일어서질 못했네요.
연출적인 부분도 이게 15세? 라는 부분만 빼면 정말 대단했습니다. 몇몇 부분은 1편이 개봉한 당시 특유의 레트로함이 잘 드러났고 몇몇 부분은 정말 영리하다 생각했습니다.
(촛불로 만드는 이빨, 1편의 오마주와 전체적인 색감)
다만 반전의 아쉬움이 없지않아 있었습니다.
이는 후반부 결국 반전을 위한 트리거로 사용된 주인공 때문인데요. 이 반전이 초중반부터 눈치챌 수 있게끔 만들었습니다.
마가릿이 사실 또 다른 악마의 자식이다라는건 초반부터 너무 대놓고 연출에서 아쉽더군요.
그럼에도 그 적그리스도에 대한 해석과 방향성은 신선했습니다. 자칫하면 낭설이고 설득력 없는 잡설이 될 수 있는 부분을 꽤 그럴듯하게 연결지었습니다.
특히 실제 그 시절 로마에서 나타나던 시위나 세대 갈등이 맞물림으로써 꽤나 영리하게 풀어낸 것 같더군요.
또한 1편과의 연결성도 좋았습니다. 불타 죽었다던 데미안의 어머니, 그 묫자리에 있던 자칼의 뼈. 그 신부는 왜 그레고리 펙에게 데미안을 넘겨주었는가와 같은 1편에 대한 의문점과 그냥 넘기려면 넘길 수 있는 설정을 더욱 견고하게 완성시켜줬습니다.
엔딩의 적그리스도, 데미안의 탄생에 대한 연출은 그 음악이 완성시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음악 감독님을 칭찬하고 싶네요. 왜 안나오지? 이 음악을 안쓴다고?? 하고 있었는데 끝내 터뜨려버리더군요.
마지막 장면 자체는 사족같았습니다. 후속작을 위한 것, 혹은 데미안이라는 이름을 언급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지만 전자의 경우라면 굳이 싶고 후자의 경우라면 더 좋은 방법이 있지 않았을까 싶네요.
보면서 더 넌 2가 생각났습니다. 비슷한 배경과 분위기를 풍기지만 이렇게나 다를 수 있구나 싶었네요.
더 넌의 경우 악마와 귀신의 형체를 너무 남발하다보니 무너진 공포감이라면 이 작품은 악마의 존재를 절제하여 적당히 타협을 본 듯한 공포감이었습니다.
물론 누가봐도 악마를 형상화 한 모습이었지만 이를 그저 '자칼'로만 바라보고싶네요.
엑소시스트 믿는 자가 굳이 안해도 될 짓을 해서 1편의 위용만 높여준 작품이라면 더 퍼스트 오멘은 1편의 부연 설명과 적절한 재치를 통한 1편의 위용 높이기 같았습니다.
마치 할로윈 2018 같은 느낌이라고 할까요.
아무튼 돌비가 있다면 정말 좋았을 것 같은 오멘 저주의 시작에 대한 제 한줄 평은
★★★☆[7/10]
{기괴함과 기발함으로 시리즈의 위상을 높인 부연설명 같은 작품}
입니다!
납득이안가요
추천인 4
댓글 4
댓글 쓰기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자세한 익무 규칙은 여길 클릭하세요
저도.. <프리퀄 2> 세팅한 듯한 에필로그는 사족 같더라고요.^^
리뷰 잘 봤습니다. 저도 Ave Satani 음악 사용 칭찬하고 싶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