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계인 2부의 ott공개가 아닌 극장개봉 관련
외계인 1부의 흥행 참패로 인하여
2부를 극장개봉하지 않고 ott에 공개하지 않겠느냐는 설이 분분했습니다.
외계인 2부 관련 p&a로 CJ가 얼마를 썼는지는 알 수 없지만
1부와 동일하게 30억을 썼다고 가정하면
이것만 회수하려해도 관객수가 70만은 넘어야겠지요.
하지만 모두 회수하지 못한다 해도 2차시장을 위한 광고효과는 확실히 있죠.
그런데 개봉하지 않고 바로 ott로 넘어갈 시
ott 입장에서는 단순히 "1부 실패로 인하여 개봉도 하지 않고 ott로 직행한 영화" 가 되어
넷플릭스나 쿠팡 같은 ott에서는 값을 제대로 쳐주지 않을 겁니다.
티빙, 웨이브, 왓챠와 같은 ott가 해당 콘텐츠 시청시간 등을 기준으로 지속적으로 수익을 배분하는 것과 달리
넷플릭스나 쿠팡은 한방에 거금을 주고 일정기간 독점공개 권리를 사가는 구조인데
(CJ의 계열사인 티빙에 당연히 먼저 공개되겠지만 추후 다른 ott에서도 공개되겠죠)
그 가격의 기준에 박스오피스 성적도 당연히 포함되므로
바로 넘길 시 1부의 흥행성적을 고려하여 가격이 책정되겠죠.
(가령 1부가 관객수 150만이니 2부의 가치는 그 절반이하로 생각할 겁니다)
더구나 CJ는 계열사인 티빙에 공개할텐데 티빙에 독점공개한다해서 티빙의 ott 시장점유율, 2부로 인한 구독자 수 증가 등을 고려했을 때
이게 수익성이 있을지 의문이죠.
그러나 2부 극장개봉으로 인하여 그 낮은 기대치를 조금이라도 반전시킬 수 있는 흥행성적이 나온다면 그게 광고가 되어
vod 수익이든, 티빙에서의 수익이든, 넷플릭스 등에 넘길 수익이든 더 나아질 겁니다.
물론 극장개봉도 p&a비용이 무시못할 수준이므로 1부보다는 그 규모를 줄였을 것 같네요(30억 이하).
결론은... 2부로 인하여 외계인시리즈가
"역대급 폭망한 영화" 라는 인식에서 "실패하긴 했지만 그럭저럭 볼만한 영화" 라는 인식만 줘도
2차시장 등을 고려할 때 성공한 거라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2차 시장 생각하면 개봉해서 인지도라도 올리는게 나은 전략이겠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