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스트레이트] 넷플릭스 저작권 계약 문제 "1조원은 어디로"

넷플릭스가 우리나라와는 저작권료 계약을 불공정 하게 맺어서(다른 나라의 경우엔 다른 기준을 적용해서 계약 하는 경우고 있다고) 우리나라 콘덴츠 제작팀이 저적권료를 제대로 지급 받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제기와 집중 취재
예들 들면 대박 난
"오징어 게임" 같은 경우는 넷플릭스가 벌어들인 수익 대비 우리나라 제작팀은 1/100의 수억도 얻지 못했다니.. 저작권도 넷플릭스에 있어서 우리 제작팀은 저작권료를 받지 못하고..
논점은 " 넷플릭스가 막대한 투자금을 내세워 저작권을 다 가져가니 아무리 작품이 성공해도 한국 콘덴츠 제작업체는 수수료만 이득을 보고 건덴트 제작 하청업체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 뭐 이런 내용..
그런데 이 문제가 거대 글로벌 플랫폼 넷플릭이 나빠서나 넷플릭스 불공정 계약 문제로 보기보단.
저작권법이 잘 보호된 나라의 경우에는 넷플릭스가 다른 계약 조건을 적용해서 계약 한 걸 봐선 우리나라 자체 저작권법도 문제 있어서 개정안이 하루 빨리 필요한 듯 보이고.
"해외 저작권 강화…미국은 조합 협상, 유럽은 법 강화"되고 있다는 기사를 본 적 있었는데 이에 비해 우리나라는 창작자의 저작권에 대한 인식이나 법적 보호가 좀 취약해 보여서 걱정이네요.
하루가 달리 K문화가 성장해 가는 이때 더 좋은 K콘덴츠 문화를 개발할 수 있도록 창작자들의 저작권을 보호해서 다양하고 질높은 창작물을 육성해야하는데. 나라 차원에서의 저작권에 대한 인식 개선, 법안 개정 지원 등이 중요하단 생각이 드는 이 시점에. "어쩔 수 없이 불공정할 수 밖에 없다"라고 순응할 수도 없고, 개인이 거대 플랫폼에 대응하기엔 어려운 문제같네요. 나라 차원에서 보호할 수 있도록 발빠른 변화와 대응이 필요해 보입니다..
우리 K콘덴츠가 더욱 발전해서 더 다양하고 재밌고 좋은 작품을 볼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을 담아...
티티카카
추천인 3
댓글 9
댓글 쓰기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자세한 익무 규칙은 여길 클릭하세요
그리고 저건 MBC가 피지컬 100 잘됐는데도 돈 못벌어서 찡찡대는걸로 밖에 안보이네요
보건교사안은영부터 고요의바다 , 모범가족같이
흥행실패에 아무런 조건없이 수익챙겨주는 게 얼마나 모험적인 시도인데 ㅡㅡ
이 정부 돌아가는 것 보면 오히려 더 피해만 안 주면 다행이라는 생각밖에 안 들어서;;
아무튼 안타까운 현실이네요..

설마 지금같은 환경이 되겠어.. 싶어서 무심했던 입법기관들이었고
결국 소잃고 외양간 고치게 생겼네요.

원래 넷플릭스 계약이 저작권 다 넘어가는걸로 알고 있는데요. 실패시에는 책임을 묻지 않는데 성공하니까 계약은 무시한채 뒤늦게 돈 더 달라 이건 아니죠. 혹시 예를 들면 다크의 경우 독일은 돈을 더 줬다 이런 의미인가요 아닐텐데요
전세계 알려주는데 개소리좀그만.
그냥 한국에서 광고비나 위험 부담 다 안고 지들이 오징어게임 밀어주고 OTT있으면 그거
우리꺼 하는건 이해가지만 나중에 징징되는 꼬라지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