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빗 린치의 《로스트 하이웨이》 해석 (강스포)

2007 0 0
페북의 컬트영화 그룹에서 누가 로스트 하이웨이 해석을
짤막하게 올렸는데 상당히 그럴 듯 하네요
여기에다 제가 조금 살만 붙여 보겠습니다
주인공의 해리 (dissociation) 로 인한 망상이라는 전제로
캐릭터들을 프로이트적인 초자아, 자아, 이드로 나누는거죠
그러니까...
딕 로렌트는 초자아(superego).
무엇이든 통제하고 억압하는 존재.
스스로가 율법인 것처럼 행동.
심지어 자신을 추월하고 모욕하는 운전자를 때려눕히기까지 하는 장면에서 뚜렷하게 드러남.
기괴한 모습과 언행의 "미스테리 맨"은 물론 이드(Id).
주인공 자신의 어두운 반사회적 욕망과 충동.
파티에서 주인공과 만나자 폰을 건네주며 자신은 이미 그의 집에 가 있으니 통화해 보라는 장면은 주인공이 이드의 지배를 받아 살인을 할거라는 암시.
정비공 피트는 자아(ego).
딕 로렌트가 자신의 차를 정비하러 피트에게 오는 장면은 초자아가 자아에게 과제 혹은 일거리를 주며 일상 기능을 돕는 메커니즘과 유사.
피트는 십대 후반 혹은 이십대 초반으로 보이는데 이는 주인공의 자아가 미성숙함을 암시.
그래서 자아는 강력하고 신출귀몰하는 이드에게 압도당한 상태.
피트는 본능 또는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초자아 즉 딕 로렌트를 살해.
마지막 장면은 주인공이 감전된 것처럼 고통스러워 비명지르며 끝나는데
이는 전기의자에서 그가 처형된 것을 암시.
(물론 이건 어디까지나 가능한 해석 가운데 하나입니다 ㅎ)
댓글 0
댓글 쓰기추천+댓글을 달면 포인트가 더 올라갑니다
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자세한 익무 규칙은 여길 클릭하세요
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자세한 익무 규칙은 여길 클릭하세요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