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 시리즈, 리미티드 시리즈 등 미드 관련 용어 해설

일본 eiga.com에 유익한 칼럼이 있어서 발췌해 봤습니다.
좀 헷갈리는 미드 관련 용어를 알려주네요.^^
https://eiga.com/news/20200611/11/
‘시리즈(series)’란 계속 이어지는 것을 전제로 만들어지는 TV 드라마를 뜻하며, 대부분의 미국 TV 드라마가 여기에 해당된다. 일단 드라마가 인기를 얻고, 그 인기가 유지되는 한, 방송국은 계속해서 만들길 희망한다. 나머진 제작진과 출연자들 사이의 계약이 잘 성사되느냐에 달렸다. 1년 동안에 만들어지는 에피소드 수는, 네트워크 방송사 드라마의 경우 22~24편, 케이블 방송국과 스트리밍의 경우 8~13화가 일반적이다. 또한 1년간 방송되는 에피소드들 묶음을 ‘시즌’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NCIS 해군범죄수사국>은 최근에 17시즌 방송을 끝냈다.
시리즈 중에서 드라마 요소가 강한 작품은 드라마 시리즈 부문, 코미디 요소가 강하다면 코미디 시리즈 부문으로 카테고리가 나뉜다.
<체르노빌>
그럼 리미티드 시리즈(limited series)는 무엇일까? 리미티드란 ‘제한된’이라는 의미로, ‘한정 시리즈’가 된다. 가능한 한 계속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시리즈’와는 다르게 ‘리미티드 시리즈’는 1시즌으로 완결된다. 총5화 구성의 <체르노빌>이 여기에 해당된다.
<트루 디텍티브>나 <파고> <아메리칸 호러 스토리> 등 같은 세계관을 유지하면서도, 시즌 별로 다른 이야기를 다루는 앤솔로지 시리즈도, 에미상에선 리미티드 시리즈로 분류한다.
<트루 디텍티브>
특이하게도 방송사에서 ‘미니 시리즈(miniseries)’라는 명칭을 쓸 때도 있다. 말 그대로 ‘작은’ 시리즈라는 뜻으로, 리미티드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1시즌으로 완결되는 드라마다. 다만 ‘리미티드’가 ‘완결’되는 것을 뜻하는 것과는 다르게 ‘미니’는 에피소드 수가 적은 것을 의미한다. 즉, 두 가지 경우 모두 1시즌으로 완결된다고 해도, 에피소드 수로 따지면 ‘미니 시리즈 < 리미티드 시리즈’라는 관계가 성립되는 것이다.
<빅 리틀 라이즈>
한편 ‘리미티드 시리즈’ 중에서도 시리즈가 계속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니콜 키드먼, 리즈 위더스푼 등 호화 출연진으로 유명한 <빅 리틀 라이즈>는 당초에 미니 시리즈로 홍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시즌 2가 만들어졌다. 원래는 1시즌으로 완결될 예정이었지만 반응이 좋았던 덕분에, 해당 드라마를 방송한 미국 HBO의 새 주인인 통신회사 AT&T의 요청에 따라서 제작 편수를 늘여야 했던 뒷얘기가 있다.
또한 1시즌으로 완결되는 드라마가 ‘이벤트 시리즈(event series)’로 홍보되는 경우도 있다. ‘특별 시리즈’라는 의미지만, 실질적으로는 미니 시리즈나 리미티드 시리즈와 차이가 없다. 이벤트임을 강조해 시청자들의 관심을 사려는 식의 마케팅 용어다.
바쁜 사람들은 에피소드 수가 적은 미니 시리즈, 리미티드 시리즈, 이벤트 시리즈를 감상하는 걸 권한다.
golgo
추천인 4
댓글 1
댓글 쓰기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자세한 익무 규칙은 여길 클릭하세요
방송국에서는 1년을 4분기로 나눠서 관리하기땜에 13회가 기본 한세트가 되는데 13회에 못미치고 끝나는 걸 미니시리즈라고 했다고 해요.
'야망의 계절'이 히트하면서 미니시리즈라는 말이 세간에 뜨기 시작했고 이어서 슈퍼블록버스터 미니시리즈 '뿌리'가 나오면서 80년대에 미니시리즈 전성시대가 열렸었죠. 'V' '남과북' '전쟁의 폭풍' 같은 게 줄줄이 나오고 우리나라에도 거의 수입이 되면서 한국에도 미니시리즈라는 이름이 알려졌죠. 미국의 방송계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미니시리즈라는 말만 알려졌죠. 곧이어 우리나라에도 미니시리즈라고 자처하는 것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는데 기본 수십(?)부작은 되는 것들이 많아서 저게 왜 '미니'인지 의아해했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