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영화수다 삼성영상사업단 부활할까? 삼성전자 잇단 영화 제작

  • deckle deckle
  • 10106
  • 53

삼성전자가 잇따라 단편영화를 공개하면서 이것이 삼성영상사업단 부활로 이어질지 충무로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1990년 중반 운영됐던 삼성영상사업단은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되던 한국 영화계에 현대적 경영과 관리 체계를 도입한 것으로 평가받는 조직이다.

28일 삼성전자는 유튜브와 올레TV, BTV, 유플러스TV 등 각종 채널을 통해 43분짜리 단편영화 '선물'을 공개했다. 메가폰은 '8월의 크리스마스'와 '덕혜옹주'를 연출한 허진호 감독이 잡았다. 주연은 최근 '바람 바람 바람', '극한직업'으로 코믹 연기 진수를 선보인 신하균과 K팝 스타인 엑소 수호, 각종 드라마와 영화에서 독특한 색깔을 드러낸 김슬기가 맡았다.

소재는 시간여행이다. 반짝이는 아이디어는 있지만 이를 실현할 자금은 없는 청년들 앞에 50년 전 과거에서 온 수상한 남자가 나타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았다. 이들은 의기투합해 열화상 카메라를 개발한다.

 

 

0004452439_002_20191028100735821.jpg

 

 

삼성전자는 이 영화를 청년 혁신창업 정신을 고취하기 위해 제작했다고 한다. 삼성전자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 'C랩'과 이를 통해 탄생한 열화상 카메라 '이그니스'를 소개하면서 삼성이 최근 그룹 차원에서 강조하는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부각하려는 취지다. 삼성 관계자는 "영상물에 익숙한 젊은층을 주요 타깃으로 삼아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시도의 하나"라고 설명했다.

영화계에선 삼성영상사업단이 부활하는 게 아니냐는 예측이 조심스레 고개를 들고 있다. 삼성전자는 2017년 말 '두 개의 빛: 릴루미노'를 선보이며 영화계에 첫발을 들인 이래 '별리섬', '메모리즈', 4부작 웹드라마 '고래먼지'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했다.

 

 

삼성영상사업단은 1995년 '헐리웃 방식의 엔터테인먼트 사업'이라는 깃발을 내걸고 삼성물산의 영상및 방송사업, 삼성전자의 음반사업, 제일기획의 방송및 음반사업 등을 통합해 출범했다. 이후 천재의 '감'에 의존하던 국내 영화계에 시스템을 적용해 지금의 한국 영화계 초석을 닦은 것으로 인정된다. 한국형 블록버스터 시초인 '쉬리'는 사업단의 대표작이다. 2000억원 이상의 적자를 낸 사업단은 1999년 해체했지만 이곳 출신은 영화계 곳곳으로 퍼져 '기획'부터 시작하는 체계적 제작 노하우를 전파한다. 

 

 

https://entertain.naver.com/movie/now/read?oid=009&aid=0004452439

 

삼성이 시장을 읽는 눈을 감안한다면 영상업계에 큰 바람을 불러올지도 모르겠습니다. 쉬리 판권이 삼성영상사업단에 묶여 있다는 이야기도 있었는데 반가운 소식이네요.

deckle deckle
36 Lv. 228580/230000P
| |
no_sign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no_comments
쌈박이오 쌈박이오님 포함 15명이 추천

추천인 15

  • 쌈박이오
    쌈박이오
  • SYSTEMATIC
    SYSTEMATIC
  • 백거빈
    백거빈
  • 유네르
    유네르
  • 요니
    요니
  • carpediem
    carpediem
  • 메트로이드
    메트로이드
  • 이마루
    이마루
  • 영화도령
    영화도령
  • 시네마키즈
    시네마키즈
  • golgo
    golgo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53

추천+댓글을 달면 포인트가 더 올라갑니다
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profile image
1등 golgo 19.10.28. 10:28

쉬리가 뒤늦게 터져서 철수한 뒤 CJ에게 패권을 넘겨주게 됐다. 뭐 그런 얘기들 들었네요.^^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8. 10:41
golgo
삼성이 2000년대 초까지 영상, 음반, 방송 업계에 남아서 제작이나 기획 노하우를 그대로 살려 큰 프로젝트를 몇 가지 진행했더라면 지금 영화시장이 완전히 달라졌을 수도 있었겠다 싶습니다. 특히 휴대폰 사업과 연계하여 제작환경을 이끌어주었다면 정말 무시무시했을 것 같습니다.
profile image
2등 왕정문 19.10.28. 10:34
영화제작비에 투자도 하는건가요? 충무로에 더욱 활기를 불어넣을수 있을듯 합니다.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8. 10:43
왕정문
시장을 잘 아는 삼성이 휴대폰 사업과 연계하여 영화제작에 다시 뛰어든다면 기존 업계를 크게 흔들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profile image
3등 시네마키즈 19.10.28. 10:37
삼성이 카메라도 그렇고 유독 영상 부분에서고전하네요.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8. 10:45
시네마키즈
90년대 말과 지금을 비교하면 접근성 높은 플래폼을 갖춘 삼성이 파고들 수 있는 지점이 훨씬 클 것 같네요.
profile image
영화도령 19.10.28. 10:41
어쨌든 긍정적인 영향을 주길 바랄 수 밖에요
삼성이 초기 한류를 이끌었단 얘기는 많이 들어봐서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8. 10:47
영화도령
예당음향 기억하시는 분이 있겠네요.
profile image
이마루 19.10.28. 10:45
삼성이 영화쪽으로도 진출한적이 있었군요. 처음 알았어요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8. 10:50
이마루
오래 전에 쉬리에 자본을 댔었습니다.
profile image
메트로이드 19.10.28. 10:50
삼성이 영화쪽에서 완전 죽쑤고 철수했다는 얘기를 들었었는데 흥미롭네요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8. 10:51
메트로이드
쉬리가 뒤늦게 터져서 시기가 도와주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소넷89 19.10.28. 11:02
자본이 투입되는건 좋게봐야겠죠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8. 14:32
소넷89
자본과 관심이 한데 모이는 곳을 잘 알고 있는 기업이에요.
profile image
carpediem 19.10.28. 11:14
흥미롭게 지켜볼만한 내용이네요~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8. 14:34
carpediem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산업으로 옮겨 더 큰 시장을 도모할 수 있음을 알고 있을 거예요.

profile image
요니 19.10.28. 11:28
오 새로운... 게다가 큰 자본이네요!!기대됩니다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8. 14:36
요니
그래서 관심 있게 보는 분들이 있겠습니다.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8. 14:37
킹스맨2
아직은 움직이지도 않는 단계 아닌가 싶네요.
sf매니아 19.10.28. 11:52

개인적으로 sf 단편 시리즈 구상중인데 삼성이 이런 영상분야 투자와 기획 다양하게 많이해서 많은 영화 지망생들에게 기회가 와도 좋겠군요   특히 sf장르는 기술적으로  vfx나 소품등에 비용이 막대하기 때문에  참신한 시나리오를 가진 이들에게 기술적인 경험을 제공해주는 협업 프로젝트들도 생기면 좋을것같아요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8. 14:38
sf매니아
바로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 image
ReMemBerMe 19.10.28. 12:06
컨텐츠의 중요성을 인식하는거같긴한데.... 에전ㅇ 드림웍스 투자도 거절했었고...

본격적으로 뛰어들기엔... 레드오션이 되어버렸죠...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8. 14:39
ReMemBerMe
애플tv를 보면서 다시 컨텐츠 확보로 방향을 잡았으리라 봅니다.
larry 19.10.28. 12:07
좀 더 지켜봐야겠네요.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8. 14:40
larry
이제 시작 단계 같습니다.
profile image
ReMemBerMe 19.10.28. 12:09
가수 김원준이 제일기획 오렌지로 음반냈던거 기억합니다 ㅋㅋㅋㅋㅋㅋㅋ
그리고 보니 데뷔도 제일모직 카운트다운 광고모델로 했었던거같은데...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8. 14:40
ReMemBerMe
예당음향에서 음반 내는 뮤지션들 싱어들 많았네요.
염소 19.10.28. 12:12
이제 나쁜짓 안 하고 좋은 일 했으면 좋겠어요...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8. 14:42
염소
컨텐츠 만들기에 나서면 창작자들에게 이로운 일이 되겠어요.
profile image
유네르 19.10.28. 13:03
오...쉬리가 삼성에서 제작한거군요! 다시 영화계에 발 들이면 어떨지 기대됩니다.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8. 15:01
유네르
삼성이 컨텐츠가 왜 중요한지 애플을 보면서 느끼지 않았나 싶네요.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8. 15:04
백거빈
영상사업단이 계속 남아있었다면 크기를 더 키워서 배급에서는 견제를 하는 경쟁 관계였을 텐데 이제는 다른 방향과 위치에서 경쟁하는 사이가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profile image
Vortex 19.10.28. 13:34
선물이 삼성전자에서 만든거였군요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8. 15:06
Vortex
허진호와 합작을 했다고 하니 확장 범위를 예상해 볼 만합니다.
profile image
임시닉 19.10.28. 13:44
삼성영상사업단과 원더풀 데이즈 지원했던곳은 다른덴가요?
원더풀 데이즈 개봉전에 “우린 삼성에서 지원받았다! 삼성이 검증안된 작품에 지원하겠냐!”고 언플했던게 기억나는데 해체년도를보니 시기가 안맞네요.
마티아스쇼에나에츠 19.10.28. 17:14
두개의 빛 일루미노 인상 깊게 봤었는데, 기업의 사회공헌 측면에서의 참신한 접근이었습니다. 기회된다면 보시길!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8. 22:44
마티아스쇼에나에츠
삼성이 어떤 접근법을 펼치는지 한 번 봐야겠습니다.
여자친구 19.10.28. 19:06
영상 콘텐츠는 제조업과 달라서

손해를 많이 보다가 한 번에 만회하기에 기업 문화가 잘 맞지 않으면 쉽지 않죠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8. 22:45
여자친구
지금은 주력사업을 둘러싼 생태계가 또 변화하는 중이네요.
리리리리 19.10.28. 19:15
애플이 자체 영상 구독 플랫폼인 애플 티비 플러스를 준비한다고 합니다.
삼성: ‘!!!!!!!’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8. 22:45
리리리리
그래서 움직이는 것이라고 봅니다.
profile image
메밀꽃 19.10.28. 19:58
오 쉬리를 삼성에서 만든거였네요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8. 23:04
메밀꽃
비슷한 시기에 돈을 댄 다른 영화도 성과가 있었다면 지금 시장은 크게 달라져 있겠네요.
Moonknight 19.10.28. 21:02

예술인들 끌여들여 무슨짓을 할지 몰라 개인적으론 영화쪽엔 발도 들이지 않았으면 합니다 이씨 가문이 쫓겨난 후라면 환영입니다만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8. 23:05
Moonknight
애플tv가 컨텐츠 확보에 주력하고 있으니 따라 나서는가 봅니다.
춘박프러덕숀 19.10.28. 23:28
삼성 그리 좋아하지 않지만 영상사업단 부활 환영합니다.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9. 07:14
춘박프러덕숀
시장에 다른 기운을 불어넣어 준다면 좋겠네요.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29. 10:47
SYSTEMATIC
컨텐츠에 투자를 해야 한다고 생각할 거예요.
profile image
쌈박이오 19.10.30. 00:11
키드캅 판권도 여기 있나 모르겠네요.
아무리 요청을 해도 안 나오던데...
profile image
deckle 작성자 19.10.30. 08:42
쌈박이오
그럴지도 모르겠습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