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크모드
  • 목록
  • 아래로
  • 위로
  • 댓글 6
  • 쓰기
  • 검색

인사이드(스포일러 주의)

유대열 유대열
4959 0 6


[인사이드]는 2007년(해외 개봉 2005년)을 뜨겁게 달구었던 매력적인 공포 영화 [디센트]와 많은 부분 닮아 있다. 그것은 두 영화의 여주인공의 이름이 공교롭게도 아브라함의 아내이자 터미네이터의 여전사의 이름이기도 한 ‘사라’이기 때문만은 물론 아니다. 두 영화는 똑같이 외부의 사고(자동차)로 시작하여 주인공의 어두운 심연(내면 혹은 동굴)으로 빨려 들어간다. 그리고 그 중간 과정엔 약간의 악몽과 약간 명의 주변인들이 존재한다. 덧붙이자면 두 영화에서 자동차 사고는 주인공의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것을 잃는 매개체가 되고, 그것을 잃어버린 주인공들은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징후 중 하나인 가장 끔찍했던 사건의 재현, 즉 재경험(re-experience)의 환각을 겪는다. 그것은 나중에 동굴의 모습 혹은 이름없이 호출된 자신의 또다른 모습(윌리엄 윌슨?)으로 변형되어 등장한다. 



[인사이드]에서 사라(알리송 파라디)의 집을 방문한 그 여인이 누구인가 하는 것은 마지막의 반전을 위한 일종의 트릭에 불과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그 여인(베아트리체 달)-엔딩 크레딧에도 그녀의 이름은 La Femme라고 나와 있다-은 결국 사라(알리송 파라디)의 분신에 불과할 것이다(여기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이 있을 수 있겠지만 [디센트]의 경우처럼 그리고 영화 초반의 악몽에서 암시하듯 사라의 무의식이 경험하는 환상이라고 보는 것이 논리적으로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그렇게 되면 첫 장면에서 죽은 태아는 재반전을 거쳐 다시금 사라의 아이가 된다). 결국 [디센트]와 마찬가지로 [인사이드] 역시 끔찍한 트라우마를 겪은 영혼의 무의식에 관한 이야기로 돌아가는 것이다. 그 무의식의 층위의 정교함은 주변 인물들을 동굴이라는 공간 속에서 좀 더 효과적으로 배치한 [디센트]가 한 수 위라고 볼 수 있겠지만 외형적인 공포의 강도는 [인사이드]가 훨씬 강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