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훈 번역가 인터뷰로 알게된..내용들..

아래 글 읽고 궁금해서 찾아보게되었습니다..
인터뷰 내용을 보아하니.........이런 사람이더군요..
필모그래피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4월 개봉예정)
<클로버필드 10번지>(4월 개봉예정)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2015)
<인터스텔라>(2014)
<라이프 오브 파이>(2012)
<다크 나이트 라이즈>(2012)
<프로메테우스>(2012)
<어벤져스>(2012)
<소셜 네트워크>(2010)
<인셉션>(2010)
<킥애스: 영웅의 탄생>(2010)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2008)
<아이언맨>(2008)
<300>(2006)
<미스터 & 미세스 스미스>(2005)
<악마 같은 여자>(2001) 외 다수
한국영화 번역사의 산증인
1997년, IMF 경제위기 당시 영상번역회사를 운영하던 지인을 통해
<쉬리>(1998)의 영문 번역을 맡게 된 걸 계기로 영화 번역을 시작
현업 영화 번역가들 중 동판, 레이저, 디지털 자막 시대를 다 겪은 사람은 나뿐
번역이 경험과 기술이라고 생각
관객이 자막을 보고 있다는 것조차도 느끼지 못하게 문장이 읽혀야 하는데
중간에 ‘뭐지?’ 하고 걸리는 말이 생기면 실패다.
거창한 건 아닌데, 처음 번역을 시작할 때 선배에게 들은 말이다.
‘포르노를 번역하더라도 초등학생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하라.’
최대한 쉽고 간결한 것이 좋은 번역이라고 본다
인터뷰 원문 - >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40&aid=0000029774.
직배사 영화를 거의 도맡는 박지훈 번역가는 큰 기복 없이 300만~400만원을 받는다고 합니다 ((-> 다른 번역가에 비해 꽤 마니..받는..))
윤혜진 번역가는 “경력과 회사에 따라 천차만별인데 나의 경우 평균 150만~200만원”이라 밝혔습니다. “케이블 방영용 영화는 편당 30만원 정도예요. 일이 끊기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한달 내내 작업해도 200만원을 간신히 넘길까 말까입니다. 영화제 자막 번역은 영화제의 내부 규정에 따르는데, 대개는 60만~70만원 선이고, 100만원은 넘기기 힘들어요.” 정구웅 번역가의 친절한 답변입니다. 번역료를 밝히는 게 조심스럽다는 황석희 번역가는 “일반 회사원들이 받는 월급 정도로, 안 굶고 생활을 유지하는 수준”이라고 답했습니다. 활발히 영화 번역을 하고 있는 번역가가 손가락에 꼽을 정도라는 말도 덧붙여주었는데, 국내 영화 번역 풀이 얼마나 좁고 편차가 심한지 충분히 짐작해볼 만합니다.
인터뷰 원문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40&aid=0000029778
기사를 다 긁어오면 문제가 있을수 있을꺼같아서..몇개 뽑아왔어요..ㅎㅎ
다 읽고 싶으신분들은 링크로 ~~
추천인 27
댓글 67
댓글 쓰기정치,종교 관련 언급 절대 금지입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반박, 비아냥, 조롱 금지입니다
영화는 개인의 취향이니, 상대방의 취향을 존중하세요
자세한 익무 규칙은 여길 클릭하세요


성인도 이해하기 어려운..(..)

화나네요.
수많은 사람들에게 민폐 끼치면서 돈은 저렇게 받고...

요즘 관객수준이 높아졌는데.. 후..배급사들에서 번역가 선택에 신중해야할텐데요..

건드리기 힘든 철밥통 입지인 거 같아서 정말 걱정되는군요...
번역 훨씬 더 잘할 수 있는 사람들 몇 트럭은 될 텐데 말이죠.
당장 유튜브에서만 찾아봐도...

그러게요=ㅅ=
저는 가성비가 싸서 혹시 많이 담당하나 했는데 그것도 아니였군요..그럼 도대채 뭘까요? 연줄?

현존하는 번역가중에 제일 오래되신분이라하니..
연줄이 제일..클듯??

초등학생도 이해하기 쉽게라는 모토를 가지고 계신다니 자막속 오지랖스러운 의역들을 왜 하는지는 알겠네요. (근데 왜 번역해 놓은게 이해는 커녕 더 괴랄해 보일까요.)

전..워낙 외국어랑 담쌓은사람이라.. 오역의 여부를 잘 모르는데..흑흑..
자막때문에 영화를 제래도 못즐길수 있겠다..싶어서..무섭네요
아하,초등 대상으로 번역하나 하는 제 생각이 틀린게 아니었군요.오지랖이 지나치신 듯.
그래도 그렇지 번역을 해야지 창작을 하나.그 유명한 이윤기씨가 욕먹은 이유가 그건데..

나는 번역이 경험과 기술이라고 생각한다. 무언가를 창조한다기보다 정해진 것을 우리말로 옮기는 일이다. 물론 어떤 능력들은 필요하다. 영어 번역은 회화를 얼마나 잘 구사하느냐가 중요하다. “right?”라고 말하는 것이 억양에 따라 동의를 구하는 표현일 수 있고, 비아냥일 수도 있다. 또 부모들이 애들을 재울 때 “see you in the morning”이라고 한다. 대개의 번역은 “아침에 보자”라고 해석하는데 나는 그냥 “잘 자”라고 쓴다. 직역하면 틀린 거지만 의미는 그거잖나. 단어를 많이 알고, 해석을 잘하는 것보단 구어적 표현을 이해하고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 문화권과 시대에 대한 배경은 인터넷만 봐도 대강 알 수 있다. <스파이 브릿지>(2015)의 1960년대를 나 역시 살아본 적 없지만 할리우드의 상업영화들은 세계 시장을 타깃으로 삼기 때문에 문화적으로 아주 낯선 이야기는 하지 않는다. 보편적 가치를 이야기하니까 어느 정도의 자료로도 충분하다.
라는 내용이 있네요 ㅋㅋㅋ
거의 유명한 작품들을 하셨네요...정말로 이런분이 돈을 많이 받고 어이가 없네요
계속해서 유명한 작품들을 맡으신게 인맥도 있는거 같네요..정작 고퀄리티 자막을 만드시는 번역가분들은
박지훈 번역가분 보다 페이가 더 적은데 오역 천지인 자막을 만드시는분은 많이 버네요 ㅋㅋ
올해 기대작들도 많이 하시네요...하 걱정입니다 한국에 영화 번역가분들은 참 많은데 이런분한테 맡기시니..

산 증인이라하니..워낙 오래되신분이라.. 그냥 맡기는듯..
번역료는.호봉제인듯합니다(..)..오래되면 마니 받는..ㅋㅋㅋ

인셉션을 초등학생이 보나요? 포르노는 당연히 초딩 수준이지... 영상에 메타포가 있는 것도 아니고 행위 자체만 보면 되는 영상물을 영화랑 비교하다니... 비교하는 수준도 저열하네요.
누가봐도 인맥빨인 티 팍팍 내네요. 하필 하는 영화도 어쩜 골라서 하는지... 다 기대작들 만하고.. ㅂㄷㅂㄷ

큰 배급사랑 전속 계약(?) 인듯...-0-..

서서히 교체되지 않을까요..
가장 오래된 번역가라는데 그동안 지내온 정(?)도 있고..
배급사들도 쉽게 떨쳐내긴 어렵겠지요 ㅠㅠ
다른건 몰라도 오역은 정말 번역가로서 소양 부족 아닌지...

시간이 부족해서 오역이 발생할 수 있다고해도..
아래 보아하니 아에영화의 흐름을 바꿔버릴수있는 내용으로 번역을 하니..걱정이네요
인터넷에 퀄리티 있는 자막 올리는 아마추어 자막가들보다도 못 하다는 생각이 드는 게 한 두 번이 아니에요. 첼로리스트는 아직도 잊을 수 없어요.

첼로리스트.....=ㅅ=?? 첼로 목록..??
첼리스트를 첼로리스트로;;

흠..(..)..하핫..찾아보니 첼로리스트로 쓰는 사람도 꽤 있나봐요..
네이버 검색해보니 첼로연주자를 첼로리스트라고 적은사람들 의외로 많네요 ㅋㅋㅋ

어벤져스 개봉 당시 그 '첼로리스트' 지적에 대해서 덧붙이자면,
'첼리스트라고 쓰면 알아듣기 힘들고 첼로리스트라고 써야 더 잘 이해할 거 아니냐,
첼리스트라는 단어를 안다고 잘난척 마라'라는 반응이 정말 의외로 많았습니다.
(먼 동네 얘기도 아니고 DP에서 벌어진 일이올습니다. 그때 번역가가 직접 덧글로 소통도 했었는데
그리 좋게 마무리가 되진 않았던 걸로 기억해요)
아닌 게 먹히는 건 아닌 게 통하는 세상/시절이라서입니다.

자꾸 첼로리스트를 되새기게 되네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읽으면읽을수록 첼로목록이라고 생각이 드는데..ㅠㅠ..

그분들 반응이 참 웃긴 게, 첼리스트가 알아듣기 힘들면 그냥 '첼로 연주가'로 자막 쓰면 되는데 있지도 않은 단어 사용을 옹호하다니요...
첼로리스트 지적을 잘난 척이라고 하는 것도 웃기고요.
첼로리스트 말고도 말도 안 되는 근거로 박지훈 번역 쉴드 치는 거 볼 때마다 어이가 없네요 참...

네, 그 '잘난 척' 드립에서 정말 기가 막히더라구요.
영화뿐만이 아니여도 번역 전문가분들 보다 아마추어분들중 자막 고퀄리티로 만드시는분들 많이 있는데..
그냥 영화말고도 드라마나 영상 자막 만드시는분들중 정말로 좋은 자막 많고도 너무 많습니다..!

수입사에서 번역가 선택을 신중히 해야할꺼같아요..ㅠ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작품을 너무 많이 하다보니 귀찮아지신?!@

서..설마요
돈받고 하는 일인데..
아 그리고 예고편 번역은 배급사 자체해서 하는걸로 아는데
그걸로 까시는분들도 있지만 영화 자제에서 오역이 많으니 이렇게 까이는것 같아요...
박지훈 번역가분 보다 못하시는분들도 계시겠지만 이렇게 이슈가 크게 되는 이유는
워낙 오래하시기도 했고 유명한 작품들은 많이 하시는 더 까이는게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매니아 층이 두터운 영화일수록 오역에 대한 논란이 심할꺼같긴하네요..ㅠㅠ

마인드는..좋으신거같은데..ㅠㅠ..
언행일치가 안되시는듯..해서그렇..

별개로 번역가님들두 주요 필모그래피 외에도 이런저런 번역활동 하면서 경제활동을 하시는 거겠죠
생각보다 페이가 높진 않네요

아마 영화 필모인거같고..
케이블이나 다른것들도 많이 하시겠죠??
.

기자에 의해 좀 걸러지긴하겠지만.팩트가 바뀌진 않겠죠?
.

음..인터뷰 내용자체는 크게 문제가 없어보이는데..
어떤면이 이상한건가요..ㅠㅠ
.

그쵸..언행일치가 안되서 문제..(..)

그거 할래가 또 떠오르고..

뭘..할껀지..참..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글자수 제한이 꽤 있는거같더라구요..그래서 그런걸까요???

잘 하지도 못하면서 돈은 많이 받는다라? 이거 문제군요..에혀~

그..그래도 어떤건. 잘하는게 있지 않을까요..(..)
설마 죄다 문제가 있는데 계속 맡기진 않았을꺼에요...
인터뷰 보다보면.. 초반에 했던 번역들이 흥행에 성공하기도 하고 반응이 좋다고 하니까요..

작업한 작품을 보니.. 자막때문에 흥행한 것 같지는 않아서요..^^;;

사실.. 이번에 캐롤이나 데드풀처럼 번역 반응이 좋은거 자체가 참 드문일이자나여 ㅋㅋ
자막에 따라 작품 흥행도가 크게 차이나지도 않을꺼구여...ㅎㅎ
돈은 제일 많이 받는데, 퀄리티는 반비례하네요 ^^

워낙..오래 많이 하셨으니..그렇지 않을까요~~
회사에서도 별 능력없어보이는 부장님 월급이 사원이나 과장보다 많자나여 ㅋㅋ
정확한 비유시네요 ㅎㅎㅎ
이런 헬조선식 인맥 대신 실력 좋은 분들이 맡아야 할텐데 말이죠..

<--- 와 이사람 진짜 어이 없네요. 이 대목읽고 진심 혈압 올라서 댓글 달려고 진짜 오랫만에 로긴했어요.
제가 영화 보면서 중간에 "뭐지?" 하는 생각이 든 영화는 항상 박지훈씨 번역이었습니다. 그동안 이 사람은 한국에 영어할 줄 아는 사람이 자기 뿐인듯 오만한 번역을 한다고 생각했는데 진짜 이유가 있었군요. 초등학생이 기준이라... 참나...

많은분들이..그 대목에서 울컥하시네요 ㅋㅋㅋ
그런의미에서 실패가 많으신분인가봐요 ㅠㅠ
그런데 번역이 생각 외로 돈을 못받네요 굉장히 중요하고 어려운 작업이라 생각하는데...


영화자체로도 관심거리일 수 밖에 없는 대작들을 많이 했군요.
그런데 꾸준한 오역 논란이라니..
으으 ㅠㅠ

“토익, 토플, 텝스는 발가락으로 풀어도 만점을 받고,
미국 남부 사투리는 물론이고 이탈리아인들의 영어 발음까지 한번에 알아들을 수 있을 정도는 돼야죠......
이런데도 생각 보다 돈이 안되는군요 헐

누구의 잘못이라 하기에는 너무 애매하군요. 참 ... 발번역을 만나는게 하루 이틀도 아니고. 사정도 불보듯 뻔하니.
번역의 질은 경력에 전혀 비례하지 않는 군요.
쉬운 번역이든 어려운 번역이든 자신의 번역이 영화 자체를 훼손하는 일은 없어야죠.
대사 맥락도 못읽는것 같던데.

주먹왕 랄프 일본판 번역 스탭나올때 인상적이었던 것은, 패미통 편집부가 게임 용어 번역 검수로 들어가 있더군요.
덕분에 게임 용어들이 아주 매끄럽게 번역이 되었습니다.
그런식으로 전문가를 포함한 여러 사람의 의견을 모아서 번역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습니다만...
...300~400만원 정도로는 무리겠죠.
초딩도 이해시키라는 마인드...
그래서 '그거 할래?'가 나온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