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끄적끄적 보통 중고등학교 친구는 축의금 얼마하나용??

30대 초반이고 중고등학교 친구들은 

축의금 보통 얼마정도 하나요..?

 

친구중에 첫 결혼이라서 감이 안잡혀요.

 

익뮤님들 알러주세용 

 

 

 

슈크림도어가열립니다 슈크림도어가..
3 Lv. 1368/1740P
| |
no_sign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no_comments
이안커티스 이안커티스님 포함 16명이 추천

추천인 16

  • 이안커티스
    이안커티스
  • Dreamer_
    Dreamer_
  • AZURE
    AZURE
  • Gwenpool
    Gwenpool
  • 룰루리요
    룰루리요

  • leaf
  • odorukid
    odorukid
  • zin
    zin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24

자나깨나 익무질, 댓글달기 생활화!
profile image
1등 zin 22.05.16. 13:20
찐친에 30대 초반이면 10만원이요..?
2등 자몽에이드라멘 22.05.16. 13:20
제 주관적인 기준으로는 친하면 10이상으로 안 친하면 5정도면 될 것 같아요
3등 당직사관 22.05.16. 13:23
친하면 10 ~ 진짜 친하면 20까지는 줄 것 같고
안친하면 국룰로 5죠
profile image
땀돌이 22.05.16. 13:25
식대가 7~8만원 이상 하는곳도 있습니다.
그래서 5만원하면 욕먹어요~~
5만원 하고 애들까지 싹다 데리고 오는 사람도 아주 정말 많죠~~
보통 갈비탕 하나나 뷔페하나만 해도 5만원은 넘을것 같다는 생각드네요
많이 안가봐서 정확한 가격은 모르겠네요...
profile image
대화와음악 22.05.16. 13:25
청첩장 받으면서 따로 식사했으면 10 청첩장만 받았으면 5
profile image
odorukid 22.05.16. 13:26

가끔 보고 친하면 10만원 이상
연락처 있어서 1년 한두번 명절때만
안부인사 하는 수준정도로
별로 안 친하면 5만원

(대신 5만원은 결혼식 안가고

보내기만 할때..) 3년이상

연락도 없다가 뜬금없이 결혼한다고
연락오면 줘도, 안줘도 무방

profile image
라라라랜드 22.05.16. 13:27
대학 다니는 동안에도 꾸준히 연락하고 친했으면 10만원, 그냥 동창이면 5만원 적당합니다.
leaf 22.05.16. 13:31
결혼식장이 일반 웨딩홀인지 호텔인지도 축의금 액수 기준이 됩니다. 식대가 10만원 넘는 곳에서 예식을 진행한다면 축의금 20은 하셔야 해요. 결혼식에 직접 가셔서 식사까지 하고 오실 거면 최소한 식대보다는 비싼 금액으로 하시는 게 맞고, 사정상 축의금만 보내시는 경우라면 친한 친구일 때 10만원이면 적당하죠. 저는 아주 친하지 않더라도 결혼식에 직접 가는 경우에는 평균 10은 했던 것 같아요. 요즘은 일반 웨딩홀도 식대가 5만원 넘는 곳 많더라고요 😢
민배 22.05.16. 13:37
저 서른 후반인데 재작년에 정말 제대로 찐친 결혼할 때 50만원+휴롬 하나 선물 했습니다.
친구가 지방에서 결혼식을 하다보니 차비에 숙박까지 따지면 백만원 넘게 깨졌어요.
축의금은 친구와의 관계가 어떤가에 따라서 다를 것 같아요.

서로 중복되는 친구가 있다면 넌지시 얼마쯤 할지 물어보고 비슷하게 맞추는게 낫고,
그게 아니라면 생활에 부담되지 않는 선에서 10만원 이상 내면 될 듯 합니다.
(다른 친한 친구 결혼할 땐 10만원 밖에 안냈는데, 같은 모임 친구들이 다 그 금액으로 낼거라길래 저도 그냥 맞춰서 주고, 나중에 애들 모르게 선물만 하나 따로 사줬던 기억이 나요.)

전 친하지 않은 친구라도 장소가 호텔이면 그래도 10만원 정도는 내게 되다보니 요즘은 그냥 기본은 10만원 고정인데,
친하다 싶으면 그래도 조금 더 쓰는게 좋을 듯 싶구요.
존콜먼 22.05.16. 13:38
기본 10하고 진짜 친하면 따로 모아서 가전제품 사줬던 기억..
전 언제나 받아볼까요..
profile image
룰루리요 22.05.16. 13:43
전 그냥 저냥 아는 사이 5만원, 친한 사이 10만원, 아주 아주 베프 20만원 냈었는데 전 이번 생애에는 결혼 안 할거 같아서 20만원 낸거는 죄금 아깝더라구요...(20만원 낸 친구가 한 6명 되는데 결혼들 해서 그런지 연락도 잘 안 하고 잘 보지도 않아서리...) 그래서 이제는 최대 10만원 냅니다... ㅎㅎ
HoHoLAND 22.05.16. 13:44
30대 기준으로 계속 연락했던 사이면 10, 찐친이면 20이요. 뭐 각자 사정에 맞게 하면 되지 않을까요
profile image
Gwenpool 22.05.16. 14:03

찐친 30 그냥 친 10이죠 ㅎㅎ

profile image
멜로우 22.05.16. 14:11
얼마나 친하느냐에 따라 다를것 같은데 걍 이름만 아는 정도면 5 어느 정도 교류가 있었으면 10 자주 만나는 진짜 친한 친구면 그이상 해요
profile image
AZURE 22.05.16. 14:12
1년에 연락 횟수가 손에 꼽으면 5, 1년에 몇 번 만나면 최소 10부터, 찐친은 20~30부터 시작이요
profile image
현진러버 22.05.16. 14:41
찐친이면 30
1년에 약속잡아보는 친구 10 +참석
그냥 동창 3 계좌이체 or 5 참석
이렇게하고있습니다ㅋㅋ
옥수수쨩 22.05.16. 15:47
삭제된 댓글입니다.
profile image
꾸루 22.05.16. 16:40
친하면 10이상 아니면 5..? 정도면 되지 않을까요..?
profile image
Dreamer_ 22.05.16. 17:14
친구들과 상의해 보시는게 가장 좋을 것 같아요
choucream 22.05.16. 18:08
삭제된 댓글입니다.
profile image
이안커티스 22.05.17. 07:01
돈 잘 못버는 사람은 5도 힘든것임.. 성의가 중요하죠.. 어떤친구는 5만원을 해도 그친구의 형편을 알기에 와준것만으로도 고마운 친구나 지인이 있고, 어떤 친구는 10만원을해도(대체로 20이상은 다 괜찮은 관계의 사람들일 확률이 높으니..ㅋㅋ) 형편도 넉넉하면서 10 하면서 폼이나 자기공치사?는 다 하는 꼴보기별로인 친구나 지인도 있죠.. 무슨 결혼을 해본사람처럼 저는 얘기했지만, 아직 미혼의 입장으론 제 결혼식에 와주기만한것으로도 아주 고맙게 저는 생각이 드네요.. 물론 경제적으로 넉넉치않아 결혼을 후에 제가 하더라도 스몰웨딩으로 하려하지만요..^^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